View : 813 Download: 0

통합예술공간으로서의 도심 오픈 스페이스의 계획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통합예술공간으로서의 도심 오픈 스페이스의 계획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program of city open space for an integrated art space : affirmated on the space art of diversity of contemporary art and installation art
Authors
김선화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통합예술공간도심디자인다원주의현대예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은 자연(nature)과 인공환경(built environment)과의 관계속에서 환경적 자극에 반응하며, 새로움과 변화를 계속 추구하고 있다. 도시 환경 또한 단순한 물리적 구조체, 즉 건축물이나 도로, 가로환경 등의 가시적인 형태와 구조들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 문화 현상과 다양한 인간의 행위, 사건들이 결합되어 살아 움직이고 있는 유기체와 같은 특성을 지녔다고 본다. 즉 매스(mass)의 집합체라기 보다 복합적인 요소가 혼재되어 움직이는 총체적 시각환경이라 할 수 있다. 도시 환경은 다른 예술 영역과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삶의 가치를 부여하고 미래 사회의 첨단화·기계화 속에서도 자율적 기능을 회복 시켜주는 어떠한 심리적 기능, 즉 예술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예술은 그 시대의 반영이며, 미술이든 디자인이든 어떠한 형태로든 인간에게 유익한 가치와 긍정적인 자극을 제공해야 한다. 21세기로 향하는 이 시점에서 환경디자이너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예술전반의 변화·시대 개념을 올바로 인식하고 계획해야 할 것이다. 현대 예술(contemporary arts)은 이제 '순수미', '절제미'를 추구하던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났으며, 예술 그 자체 대상보다는 그것을 향해 인간에게 어떠한 기능을 부여하는 목적 지향적인 것으로 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예술을 보고, 즐기기 위한 하나의 대상으로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다양한 행태의 기능을 지원한다는 관점이다. 특히 20세기 말 다원주의적 예술 양상은 영역간의 상호소통과 다양한 매체간의 결합 그리고 새로운 개념과 방법을 수용하는 자세 즉 열린사고를 지향하고 있다. 다시말해 전통적 예술 양식에서 탈피하여 어떤 특징적 이념이나 경향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고, 창의적인 실험정신을 강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술적 태도변화나 새로운 시각은 새로운 환경디자인 방법을 연구하는데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제 예술분야에서 탈경제, 탈영역 등 인터미디어 예술이 출현하게 되었고 인간과 자연의 통합 그리고 회화·조각, 실내·건축·외부환경이 서로 상호침투 되어 다양성과 복합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특히 오늘날 도심 오픈스페이스는 더 이상의 물리적 기능의 수행이나 단순한 공간론적 인식에서 벗어나 현실에 대한 태도로서 새로운 시각환경에 대응하는 다양한 매체와 조형적 방법을 활용하여 의미·정보로서의 예술공간, 즉 다차원적 경험과 체험을 제공하는 환경적 장으로서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히 환경안에서 인스델레이션 아트(Installation Art)는 다원화된 20세기말 예술 영역 속에서 새로운 표현양식을 확보해 가며 통합예술로서 위치를 잡아가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문제시 되는 공간이 오브제가 놓이는 3차원의 공간을 넘어서 사회, 문화, 역사, 정치적 영역으로 확대된 인식론적 공간이며, 전통미술이 도외시 했던 시간의 축에까지 관여하는 다차원적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2차원이 3차원으로 그리고 4차원으로 확대되고 복합화되며 혼성화되는 오늘날의 각 학문, 예술, 문화, 사회의 현상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현대적 의미의 환경디자인은 타 예술 영역, 타 학문영역과의 교류 및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예술의 각 영역을 통합하여 총체적 예술형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현대예술에서 인스털레이션 아트의 개념을 도심 오픈 스페이스(City Open Space)와 결합시킴으로써 도심오픈스페이스를 위대한 예술작품으로 자극적이고 대담한 드라마나 공연물로 인식, 그것을 우리의 참여, 포함 그리고 예술작품 속에 들어가 있는 행위를 허용하는 극도의 창조성을 지닌 공간으로 연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미래를 향한 발전적 모형사례를 제시하는 디자인 방법의 연구이며, 다음과 같은 방법과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연구의 목적, 방법과 주된 용어의 정의를 기술하였다. 2. 현대예술의 다원화 경향과 통합예술로서의 인스털레이션 아트의 개념, 조형요소 즉 오브제, 미디어와 테크놀러지, 아이디어와 개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현대예술은 평면, 회화, 조각 등 장르의 구분없이 복잡하고, 광범위한 예술개념으로 입체로, 공간으로 조형의 표현영역을 확대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설치'라는 개념으로 불려지는 인스털레이션 아트은 조형의식의 확장에 따른 공간의 다양한 적용으로 임의적 공간 즉 실내공간 및 건축, 오픈스페이스에서 조형적 통합환경을 이룩해 낼 수 있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 인스털레이션아트의 발단을 오브제의 출현과 동일선상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어떠한 공간속에 사물을 놓는다. "라는 의미에서 오브제는 놓인 공간을 단순히 주어진 장에 의해 파악되고 또 의미가 주어질뿐, 그 자체로서 공간에 작용하지는 않는다. 이와는 달리 인스털레이션 아트는 공간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나아가서는 공간을 창조 그것을 구조화, 작품화 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 현대예술의 한 경향으로 인스털레이션이 작품의 물리적 측면보다는 어떤 개념성의 비물질적 측면을 중요시, 완성된 작품 그 자체보다는 제작의 아이디어나 과정이 바로 예술이라고 하는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3. 20세기말 복합적이고 혼성적인 성격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털레이션의 경향으로 사이트(site), 미디어(media), 담화(dialogue)에 대해서 타 예술 영역 대지미술,.퍼포먼스, 미니멀리즘과 결합하여 살펴보았다. - 환경적 장으로서 대지미술은 도시와 실내의 제한된 전시공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의 예술활동이 주로 화랑이나 박물관등의 실내에서 이루어지던 것으로부터, 실외 즉 자연으로의 해방을 가져왔으며 예술의 소재와 환경을 무한한 규모로 확대시키는 계기를 만들게 되었다. 더불어서 대지미술은 자연, 예술 그리고 대중 나아가 이들 모두에 얽힌 사회적·환경적인 요소들을 작품속에 하나로 관련짓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작품 그 자체의 정보가치보다는 미디어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정보의 가치쪽이 더욱 중요해지는 경우가 발생 즉 예술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퍼포먼스의 원인은 복합적인 미디어 구조의 성립에 있는 것이며 그러한 미디어 구조를 조건으로 예술작품의 반물질화 즉 정보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임을 제시하였다. - 인간의 신체행위 즉 의미가 담긴 퍼포먼스와 공간이 연결될때 비로소 공간과 인간과의 작용은 단지 물리적 차원의 관계가 아닌 정신적 의미에서의 만남을 합친 상호작용의 장소가 된다. 그러므로 퍼포먼스 아트라는 개념은 도시공간, 건축공간 그리고 참여로 이루어지는 인간의 행위를 의미함을 확인하였다. - 미니멀리즘은 환경성을 띠는데 이것은 작품과 관람자의 대둥한 관계를 성립시키고 주위환경에 대한 새로운 체험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게 만든다. 즉 환경성은 단지 공간적 확장으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외부적인 상황을 통해 대상과 자기존재에 대한 확인을 함으로써 미니멀리즘의 정신적 의미를 기술함을 제시하였다. 4. 도시환경에 있어서 오픈스페이스에 대하여 관련서적과 논문을 통해 고찰하였다. - 오픈스페이스의 일반적인 개념과 사회적 역할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도시 환경에 있어서 오픈스페이스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 도시 생활공간의 요소인 광장, 공원, 가로에 대해서 그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도시민의 이용과 기능면뿐만 아니라 공공예술로서의 도시환경의 중요성을 인식 그 사례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5. 앞서 논의 되었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황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환경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 현도심의 오픈스페이스의 문제점을 서술한 후, 대상지역에 대한 현황분석과 현황 요구도를 조사하고 관찰과 자료를 근거로 하여 문제점을 정리한후 디자인 목표체계를 확립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 그 결과는 환경 미학적 평가, 공간기능적 측면에서의 평가에 대한 환경디자인은 "환경의 예술화"라는 미학적문제 해결과 현대의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구조속에서 "환경의 인간화"를 촉진하고 보다 발전적인 도심오픈스페이스를 창출하기 위한 방향제시로서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도심 오픈스페이스에 현대예술의 인스털레이션아트의 개념을 적극 도입하므로써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시각적·신체적 참여자로서의 인간을 실현함으로써 예술의 민주화에 접근하고 있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가기 위하여 인간이 주체가 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모든 개인이 미적 문화의 주체가 되는데에 기여하는 환경, 즉 "환경의 예술화", "환경의 인간화"하는 연구방법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Human being is effected by the change between the na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and fresh achievement continuously. The form of city environment not only organizes by the visual form and the structure is the architecture, the road and the environment of around the road, but also have the speacial element that huge society cultural situation, multi human behaviors and incidents, so the combination of those elements show such an organization. Therefore, the mass is totally visual environment. The city environment gives people valuable life that in the future up date society and mechanization, it would heal humanity by those factors of the art. The art is reflected by the present society and the fine art and the design offer people good quality and affirnative excitement. As forward to 21 century environmental designer would consider new paradigm and the art of alterative and historical situation. The contemporary arts just get off from the view point of old tradition and the art is better itself than giving to pursue people's object. In general, people used to think the art is enjoyable, but also art is giving us diverse functions. Especially, diverse art intends to show different factors such as harmoniously communication, variety combination of the media, and flexible reception during end of the 20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contemporary art manifests openning mind, and inventive testing. Above the new attitudes and view points offer better opportunity to study environmental design. Nowaday, combination of human being and the nature and painting, sculpture, architecture, and outdoor environment run to be diversity and complex as intermedia appears. Open-space of inter city is no loner simple space, it is really good area to be art area that exchage data and express by formative arts during dadaism, surrealism, and abstractionism appear. It is important that the chage of view point from the nature to human being. During end of 20 century, installation art in environment spreads new and own expression to be art. In this paper, the combination between installation art and open-space of inter city could be a strong work of art, The reason is that installation art can express extremly working by creative power.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offer an affirmative design program and its developmental model. The procedure and approach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considers the purpose, the way of solving and the term. 2. This study considers the diversity tendency of art and formula concept - object, media, technology, and idea in contemporary art. - Contemporary art can not distinguish because the field is too broad and it is expanding to expression of in three dimensions and a concept of space. ㆍInstallation art that using space diverse ways is surely the thoery that can combinate the inter space, the building, and the open space. object and installation art started same root, but object states that it can put any spaceis simply definition. It can't, exist in space. On the other hand, installation art comfirms creative structure and working by using space positively. -Installation of period is the mordern art that is important of creative idea, procesing period, and immaterial side. 3. During the end of 1980's installation art of complexity and mixture was tendency: site, media and dialogue. It observed installation art for perforrnents, suface art and minialism. - In the past, the surface art used to display at the musem and the The view It private place, but it was limited space for showing own face. point of "Freedom from the nature" gives people to have huge field. is connected by society and environment elements gradually. - The performence suggests that media system give special element: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s wave appears. - As connecting among performance, the space and human being are meeting each other, they will be interaction and mentelly place. Performence confirms that the room of city area and building area by human being. - Minialism includes the environmental factor because audiences and works are almost same class and having experiences make people to know where they are. Therefore, environmental factor is not only extension space, but also know where the ago is. So minialism suggest meaning of mantelity. 4. It considers city environmet by relative books and papers. - By looking over for gerneral thoesy and society part of open space, city - It is looking over living area of city's elements are square, park, and ㆍStudying for examples of using public art is important for citizens. environment recognizes important of open space. road and notion and composition element. 5 . It suggests and improves the present problem of emvironment design by above the date. - Before explaining the open space of inter city, it is consolidated the date and observation of analysis and requirement's map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n, the design applicates by the system of design purpose. - In result, environment design really fit to modern society and 21 Environment can create inventive open space of city and give century. us where we have to go. Finally, after studying thoery of installation induce into the art, and people approachs into democracy of art. The standard is human being to lead the culture of enviroment and the purpose is the new way of studying as art of enviroment and environment of human 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