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신형-
dc.creator최신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의 역량강화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보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의 특징과 집단 프로그램의 유용성, 그리고 다양한 음악치료 기법과 역량 강화 모델을 검토하기 위한 문헌 연구를 하였고, 저소득층 아동과 관련된 음악치료사와 사회복지사 등의 전문가와 면담을 바탕으로 14회기로 구성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인천 소재지의 B 공부방 H 아동 복지관과 그리고 A 종합사회복지관과 연계하여 추천받은 18명의 아동 중 각 9명의 아동을 통제. 실험 집단으로 구분한 후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상호작용을 질적인 내용분석과 집단과정 기술방법을 활용하여 어떤 내용의 상호지지가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자기 평가서를 통하여 집단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호지지의 진도의 증가를 살펴보았다. 본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아동의 역량강화를 위해 개인적 차원의 자기 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 능력, 대인적 차원의 그룹원의 정서적 상호지지를 목표로 대화, 발견, 발달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구성 초기에는 개별 세션으로 음악 감상을 통한 자기 탐색을 하고, 세션을 통해 수립할 개인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발견의 단계에서는 그룹 음악치료로 전환되어 악기 연주와 감상, 다양한 음악창작을 통해 아동의 강점을 그룹 내에서 표현함으로 그룹원간의 상호지지를 강화하였다. 마지막 단계는 발전의 단계로 개인이 만든 음악작품의 공유와 긍정적인 자기 변화의 인식을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의 사전검사에 비해 역량지각과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음악치료에 참여하고 난 후의 사후 검사에서 향상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내용분석 결과 역량강화를 위한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 따라 저소득층 아동은 다양한 유형의 상호 정서적 지지를 교환하였다. 이는 언어적인 내용뿐 아니라 음악 활동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 내용을 각 아동별로 관찰함으로 기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았을 때,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역량 강화에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한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의 역량강화 측면을 고려하여 개입 방안을 적용하고 구체적인 실천전략과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저소득층 아동을 비롯한 많은 대상의 역량강화의 접근에 있어 음악의 가능성을 제시한다.;This study is to develop, implement music therapy program on empowerment for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and to demonstrate its effec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t has set the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1) How does this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personal empowerment (self-efficacy, coping behavior competence)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2) How does this program in process of time affect children's mutual support in experimental group?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literature stud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e effectiveness test,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Research question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the utility of the group program, and the validation of the various music therapy technique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hen, 14 sessions program has been prepared on the basis of research question 1.Research question 2 and 3 were evaluated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pre/post test design is applied. There are 18 children recommended by the welfare worker who are linked to 'A integrated social service center' and 'H welfare center for children' in Seoul city or Incheon city. And 18 subjects a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re divided into 3 groups which were examined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revision after selecting the contents.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with statistical procedures of paired samples t-test by the data analysis computer program, SPSS 12.0. Research question 4 was used to show the types of mutual support, and the increase in the mutual support frequency in the process time of group program. Music therapist has made a recording film at every session and analyze the self-rating test stated by children themselves 's views in the experimental group.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re of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is determined by the music therapist. According to literature studies, Research question 1 is consisted of singing song, music appreciation, impromptus, and musical performance. At the beginning time, each session involve interaction between the therapist and children to make a pre-discussion, form the rapport the self-inquiry and be also needed in this time. Second,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in the experimental group make an improvement in personal empowerment compared to pre-test result. That is, self-efficacy and coping behavior competence of them were promoted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in the experimental group make an improvement in mitigation of negative emotions compared to pre-test result. the other words, anxiety and stress of that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were mitigated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Fourth,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hanged the mutual support in the group music therapy processing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group program on empowerment for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연구문제 4 D.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 6 1.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의 개념 및 분류 6 2.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의 특성 9 B. 역량강화 12 1. 역량강화의 개념 및 요소 12 2. 역량강화의 전략과 방법 15 3.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과 역량강화 18 C. 저소득층 부적응 아동의 역량강화를 위한 음악치료 20 1. 역량강화를 위한 음악치료 20 2. 역량강화를 위한 음악치료 기법 2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9 A. 연구대상 29 B. 측정도구 32 1. 객관적 검사도구 32 2. 질적 관찰을 위한 측정 도구 34 C. 연구 방법 및 절차 35 1. 연구 기간 35 2. 연구 방법 36 3. 평가 방법 36 D.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절차 37 1. 프로그램의 구성단계 37 2. 프로그램 논거 38 3. 프로그램의 구성 43 Ⅳ. 연구결과 81 1. 개인적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81 2. 대인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114 Ⅴ. 결론 및 논의 125 A. 결론 125 B. 논의 127 참고문헌 129 부록 141 ABSTRACT 1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60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저소득층 부적응 아동의 역량(Empowerment)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he group program on empowerment for maladjustment children in poverty and its effectiveness-
dc.creator.othernameChoi, Shin-Hyoung-
dc.format.pagex, 1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