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초등학교 5,6학년의 사실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두상 부조 표현

Title
초등학교 5,6학년의 사실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두상 부조 표현
Other Titles
Improvements of realistic expression, after teaching head relief : expression to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uthors
홍은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부조(Relief)는 조소 표현 중 평면위에 조금씩 드러나게 만든 반입체로 정면에서 감상할 수 있는 형태이다. 회화와 구분될 수 있는 조소의 특징으로는 재료에 있어서의 지속성과 공간표현에 있어서의 3차원성을 들 수 있다. 3차원적 특성은 회화에서처럼 채색된 색 면의 평면적 시각 기능과 달리 조소작품들은 시각과 촉각을 동시에 이용하여 공간을 표현한다. 부조는 2차원적인 동시에 3차원의 특징을 지니며 표면의 도드라진 면에 반사되는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이용한다. 부조의 정면성은 평면에 조각된 형상과 배경 사이에 가상공간을 형성하여 때로는 회화에서 사용되는 환영적 거리감을 연출하기도 한다. 5,6학년아동의 발달적 특징은 아동들은 눈으로 관찰한 사실적인 외부의 세계와 자신들이 그린 것을 비교할 때 그린 것이 눈에 비치는 것만큼 사실적으로 닮지 못하기 때문에 불만을 느낀다(김춘일 1984,59). 이처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은 과학적 사고를 가지고 자신의 작품을 판단하는 시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각하고 있는 만큼 사고와 손의 표현이 협응 되지 않을 때 좌절감을 느끼게 되며 미술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된다. 점토를 이용한 표현은 점토가 가지는 가소성으로 지속적인 수정과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동이 자신이 지각한 세계를 객관적이고 분석적이며,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작품제작의 흥미와 미술표현의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표현발달단계에 맞는 사실적 부조표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들의 사실적 표현이 향상되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경기도지역의 S초등학교 5, 6학년 11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06년 2월에서 3월에 걸쳐 총4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성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과 프로그램 적용 후의 사전, 사후 검사를 동일한 집단에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작품 중 파손된 작품과 평가가 곤란한 작품을 제 외한 총 101점의 작품을 검사 하였다. 연구의 유의미함을 밝히기 위한 통계자료로 사실적 표현과 입체표현, 용구사용의 적절성에 관한 자료 처리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였으며, 사실적 입체 부조표현의 향상도 분석은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두상 부조 표현은 5,6학년 아동의 부조표현에서 사실적 표현력 향상 실험에서 사실적 표현 t=-7.080, 입체의 표현에서는 t=8.699, 용구 사용의 유용성에서는 t=-9.798로서 세 영역 모두 유의 수준 0.1%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사실적 부조표현을 위한 사실적 표현, 입체의 표현, 용구 사용의 유용성에서 사전 검사보다 사후검사결과 모두 향상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실적 부조 표현이 표현의 과도기를 격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의 미술표현을 위한 적극적인 학습 자료로 활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Sculpture education is not only a form of true sculptural expression but it is also a proces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constructing structural balance. That i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a foundation for people to develop creativity and express artistic emotio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In spite of these benefits, the study of sculpture is still lacking compared to studies of other art fields. Furthermore, the area of relief expression is rarely included in such studies. Relief may be considered as a painting when these facts are considered. First, it is accomplished by expression through emphasis using dots and lines on a plane. Secondly, a perspective method can be achieved by highlighting the main subject. Lastly, one can use visual art to achieve spatiality. On the other hand, relief can also be considered as a sculpture because clay is used to protuberantly express the object (i.e. spatial art using the sense of touch). High Relief can be called ‘the sculpted painting’, and Flat Relief ‘the painted sculpture’. Sculpture is currently taught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is considered a mere formality, and is not taught properly. Children in the Realistic Stage are dissatisfied with their paintings their paintings do not resemble the realistic outside world. This is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he Realistic Period (Kim Chun Il 1984, 59). This is the period that children judge their work with objective views. When they discover the gap between their ability and their perceived thoughts they feel frustrated and lose interest in Art. Clay’s plasticity allows continuous correction and detailed expression. This ability of clay can function as a foundation for the children to objectively, analytically, and realistically express their perceived world without loss of interest. This study reveals the inadequacy of relief expression through analyzes of relief expression with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grades 5 and 6).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isclose the improvements of the children’s realistic expression ability, after teaching Realistic Period children with Realistic Relief Expression Program that fit the children’s expression during their developmental stage. In this study 4 classes were taught to 117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ung Ki Do area from Feb. 2006 to Mar. 2006. The group of students was observed bo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that fit the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was used to teach the classes, which helped to determine the accomplishment level of the program. A total of 101 Relief pieces were examined out of 117 total. Excluded were only the pieces that were in a condition that was not fit for examination.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and realistic expression were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data. The appropriateness of tool usage was used to obtain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Realistic Relief Expression. The resulting data was gathered from these method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ree dimensional expression, realistic expression, and appropriate tool usage were all improved after the program was introduced to the children, thus improving their ability to express realistic three dimensional relie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