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지역문화 콘텐츠를 위한 정보디자인 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지역문화 콘텐츠를 위한 정보디자인 체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ormation Design System for Local Cultural Contents
Authors
이주혜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rom the past, it keeps on ceaselessly compilation works to preserve native local-culture. Recently, the web as mass media of communicating knowledge-information is generalized, the various works that digitalized native local-culture resources are in progress. But, it has not been constructed for being considered native local-culture of each region with systematical and syncretic approach formula. Accordingly, systematic model and syncretic design process to be synthetic and to consider flexibility, scalability is demanded that can develop native local-culture contents information system. I have studied to find out how to digitize distinct attribute of native local-culture contents and also formulated those attribution into a systematic model(Glocul Digital Contents[GDC] developement model) and phased design process as a successful information Database system that apply development model to systematize this as construction example. If native local-culture resources are constructed as information system and conjugated, it would be a foundation that can be used by a meson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well as activation of native local culture.;글로벌 문화시대의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를 지향함에 있어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디지털화 과정은 필연적이다. 문화콘텐츠는 문화 가치의 발굴에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 및 산업육성의 극대화는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 및 중요성이 높아져가고 있음을 뜻한다. 또한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에 있어 핵심적인 경쟁력은 콘텐츠이며 디지털 콘텐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시대의 흐름에 적합한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여 디지털화하는 체계화된 방법론을 지역문화 콘텐츠 산업 육성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정보를 제공하는 가장 보편적인 매체인 웹을 통하여 지역 문화 자원들을 다양한 형태로 디지털화하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 방식으로 구축되지 못하고 단편적인 정보 제공 위주의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다. 지역문화 콘텐츠는 이미 발굴된 자료 뿐 아니라 새롭게 지역문화의 소재를 발굴하여 디지털화하고 정보 기술을 매개로 정보가 축적되고 확장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레임워크가 체계화되어 지역의 문화가 집대성 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정보가 공유되고 확장되어 지역 문화 자원의 잠재적 의미와 활용 가치를 찾고 지역문화 콘텐츠를 다양하게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문화 콘텐츠를 디지털화하여 정보시스템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유연하며 확장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모델 및 통합적인 디자인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와 디지털 콘텐츠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여 지역문화 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차별적인 속성을 살펴보고 정보디자인과 연관된 다양한 개념과 역할을 디지털 매체가 갖는 특징과 결부시켜 살펴보았다. 또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구축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문화 콘텐츠 정보시스템 구축 방법론을 모델화하여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구축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정보가 확장되어 지식과 지혜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체계적인 정보디자인 모델 및 단계별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단계를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을 설정하여 지역문화 콘텐츠의 구체적인 정의와 정보디자인의 기본적 특징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둘째, 문헌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문화의 편찬 사업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기존의 지역문화 콘텐츠를 디지털화한 국내외 유사사례를 분류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역문화 콘텐츠 디지털화의 차별적인 속성을 도출하고, 셋째, 디지털화의 차별적인 속성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GDC(Glocul Digital Contents) 개발 모형과 GDC 구축을 위한 통합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지역문화 콘텐츠 디지털화의 차별적인 속성은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제 1속성은, 지역에 대한 기초조사를 통한 항목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분류체계와 기본지침을 위한 상하 수용적 패턴 및 분류화를 제안하며. 제 2속성은, 전체 프로세스에서 콘텐츠 제작부터 고려하여 모든 단계별 프로세스에 연계되어야 할 지역성, 전문성, 시공간성, 지속성을 제안한다. 제 3속성은, 원시소스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차용, 해석 모델과는 다르게 저작자와 개발자가 상호 유기적인 평가를 통해 디지털화 하는 평가 모델을 제안하며, 제 4속성은, 지역 문화 콘텐츠가 정보시스템으로 구축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콘텐츠가 확장되어 축적될 수 있도록 UCC(사용자 제작 콘텐츠)적 시공간 스토리텔링을 속성으로 제안한다. 4가지의 디지털화 속성을 토대로 지역문화 콘텐츠를 정보 시스템으로 구축하는데 적합한 GDC 개발 모형을 제시하였다. GDC 개발 모형은 콘텐츠 제작과 가공, 시스템 구축 단계가 기존의 선형적인 프로세스와는 달리 모든 프로세스가 상호 평가관계를 주고받으며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 시공간적, 지속적으로 구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기존의 개발자, 공급자 중심의 차용 또는 해석모델을 중심으로 순차적 디지털화 작업으로부터 평가모델을 중심으로 저작자(원 콘텐츠 제작자) 중심의 상호 구축적 디지털화 작업으로의 전환이 그것이다. 특히 기초 콘텐츠를 제작하여 콘텐츠를 가공하는 단계에서 디지털 매체의 환경을 고려한 저작활동(authoring)이 정보시스템으로 개발, 구축되는 단계가 아닌 원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 저작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지역문화 콘텐츠의 내용적인 특징을 부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역문화 콘텐츠의 중요한 속성인 지역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GDC 구축을 위한 단계별 디자인 프로세스는 자료수집부터 콘텐츠 구축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모든 프로세스의 단계별 연관성을 높여 프로세스의 밀접화 및 연계화를 좀 더 성숙한 상태로 전이시키기 위하여 각 단계별 세부 과정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정리하여 총체적인 프로세스 방법론을 표준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단계별 구체화된 요구사항은 4가지의 디지털화 속성과 GDC 개발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크게 기초 조사 단계와 콘텐츠 제작, 콘텐츠 가공, 시스템 기획 및 구축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지역문화 콘텐츠를 정보 시스템으로 구축하는 프로세스의 정형화된 방법론은 없지만, 본 연구는 실제 진행된 개발 사례를 기준으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및 지식 정보 시스템 구축에 하나의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서 개발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활용하여 국내 각 지방의 지역 문화의 자료를 끊임없이 수집, 발굴하여 디지털화하고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의 변화되는 모습을 끊임없이 축적하여 지역의 모든 문화를 집대성 한다면 지역문화의 활성화는 물론 문화 콘텐츠 산업에 중간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지역문화 콘텐츠 구축과 디지털화의 체계적인 개발 모형 및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지만 지역문화의 콘텐츠도 목적과 범위, 활용에 따라 세부적인 프로세스는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지역문화와 관련된 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프로젝트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향후 디지털화 속성이 구체적으로 구현되어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터랙션 방법에 대한 연구와 지역문화의 특성과 정보시스템의 특징을 반영한 실제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문화의 기본 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양하게 산업적 시나리오화 하여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