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일심-
dc.creator신일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3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386-
dc.description.abstract도시 환경은 기능적인 공간과 편리함을 강조하고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양적 팽창으로 인한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질적 환경이 악화되었고, 개별적인 특성이 강한 현대인은 인간성을 상실하고 타인과의 커뮤니티가 파괴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바쁜 일상 속에 개인화로 인한 소외감의 복구를 위한 공간, 자연과의 관계성, 이웃과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도시는 인구의 밀집으로 인한 빌딩의 고밀화, 고층화로 인하여 여유 공간은 점점 사라지고 차량 위주의 도시계획, 빌딩에 의해 형성되는 스카이라인으로 도시의 인간미와 보행인을 배려하는 도시공간의 계획이란 거의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공공성 부재의 도시 환경은 비인간화, 기업의 개인적이고 내부 지향적인 공간 계획으로 도시민은 더욱 범죄의 위험에 노출되게 되고, 이웃과의 커뮤니티 형성, 직장인들의 육체적, 정신적 쉼의 장소는 사라지고 도심은 독자적으로 설계된 건축물의 지배하에 있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인은 즐겁고 편안한 마음으로 정서를 풍부하게 해 주는 여유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과밀화된 도시 공간에서의 여유의 공간을 마련하기에는 역부족이므로 고층 빌딩의 진입 공간에 ‘공성(共性)’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다. 현재 고층 빌딩들은 공간 계획시 보행의 편의와 쾌적성을 위해 외부의 진입공간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접근하기 쉽지 않고 아직은 공공성이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빌딩의 진입공간에 공공성을 강화하여 지역 도시민에게 제공함으로써 도시에 활력을 주고, 접근성을 강화하여 다양한 행태를 지원해 주는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계획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시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도시를 공간의 관점으로 인식하여 문제점을 찾고, 도시 공간 계획의 목적과 방향성을 살펴봄으로써 공공성을 강화한 빌딩의 진입 공간이 필요함을 인식한다. 제 3장에서는 현대 사회의 특성을 기반으로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간의 이론적 배경을 설정하여 건축 사례 분석을 함으로써 진입 공간의 특성을 알아본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디자인 적용 원리를 추출하여 효율적인 진입 공간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제 4장에서는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대상지의 현황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의 디자인 적용 원리를 토대로 공간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쳐 공공성을 강화한 빌딩의 진입공간에 대한 디자인 모형 사례를 제시하고 종합, 평가를 통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제 5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적합성,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도시공간에서 공공성을 강화한 빌딩의 진입공간을 계획하여 도시민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부족한 공공공간의 증대하고, 공간 이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행태를 지원하는 창조적인 공간을 형성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렇게 도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 3의 공간을 도심지 가까운 곳에 형성함으로서 접근성과 공공성을 강화하여, 현대인의 정서적, 사회적,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의의를 찾고 삶의 태도에 대한 변화를 추구하며, 삶의 질적 향상을 높이는데 연구의 가치와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에서의 디자인 모형 사례를 통해 사용자의 개별성을 존중할 뿐 아니라 이웃과의 시간적, 공간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여유의 공간으로서 제 3의 공간이 삶의 구심점이 되어 더불어 사는 사회임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또한 향후 미래 사회는 이러한 제 3의 공간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며 다양한 기능 공간에 적용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심에서의 여유 공간인 제 3의 공간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를 기대한다.;Since functional spaces and convenience have been empathized, quantitative expansion has occurred from physical aspect. However, from emotional aspect, qualitative of the environment has gotten worse. Also, modern people with str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lost their humanity resulting in distorted communities. Accordingly, because of busy working schedules and personalization people need spaces to restore a sense of alienation,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o reinforce connectedness with neighbors. Unfortunately, free spaces in cities are taken up by high-density and high-storied buildings to meet the needs of the dense population.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touches of humanity due to the skylines formed by skyscrapers and the plans for spaces in cities for pedestrians. The absence of the public in the environment provokes depersonalization. Also it exposes citizens to a risk of crimes due to commercialized and inside-oriented space plans by enterprises. Moreover, communities living with neighbors that provide physical and emotional shelters are also disappearing. Finally, downtowns have been gradually dominated by buildings that are designed independently. Consequently, modern people are raising their voices to request for the spaces of calmness which would bring relaxation and comfortable minds therefore pleasure them with abundance of satisfying emotions. Unable to find spaces mentioned above, it is most realistic that we use entry spaces as public spaces in high-storied building. Nowadays, although buildings offer exterior entry spaces for walkers’ convenience and comfortableness, it is not easy to access them and its public supply is quite insufficient. Therefore through reinforcing the public and creating more accessibility of these entry spaces, I would like to plan to make the spaces that would give cities more energy and bring various supports. This study follows the order below. In chapter 1, it suggests background information & purposes and methods & scope. In chapter 2,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a city and of view of spaces, the study looks into the purpose with the direction of the plans for city spaces and the necessity of entry spaces which reinforces the public. In chapter 3, in order to reinforce the public, entry spaces are recognized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s of space planning.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icient space planning through analyzing the function, the shape and the characteristic of entry spaces. Furthermore, the study abstracts the principle of space designing application which is then applied to other designs. In chapter 4, the objective place for the study is selected and analyzed. Also, by using the principle of designing application from chapter 3, the design model case of entry spaces that are reinforcing the public through space programming process is suggested. Finally, the research on the reasonability of the study through evaluation is completed. In chapter 5, the results &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s of the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The researcher of the study plans the entry spaces of building which reinforce the public by providing citizens with easy access. Also the purpose is to increase public places that are currently in short supply and to make creative spaces which would provide space users with various types of suppor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satisfying modern people by presenting them with spaces where emotional, social and sensitive desires can be fulfilled thus eventually helping them to find out the meaning of life, and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s life. Also its purpose serves to increase the overall qualitative of life. In this study, by the use of design model case, individualities of the users were respected. Meanwhile, the study offers chances to share spaces with neighbors from time and place aspect. Accordingly, as a result from that spaces functioned as a center of life, even before they had been just the 3rd spaces, people realized the spaces as a part of our society in which we live together. Finally, in the futur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3rd spaces like this will become more significant and as a result, there will be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functional spaces. I look forward to seeing in-depth studies about the 3rd spaces as calm spaces in downtow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ii 1. 서론 1 1.1. 연구 배경과 목적 1 1.2. 연구 범위와 방법 2 2 2. 도시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 4 2.1. 공간의 이해 4 2.1.1. 공간의 개념과 특성 4 2.1.2. 내-외부공간과 중간공간의 개념 6 2.2. 도시공간의 이해 8 2.2.1. 도시의 이해 8 2.2.2. 도시공간의 분류와 기능 9 2.2.3. 도시공간의 문제인식 11 2.2.4. 도시공간 계획의 필요성 13 2.2.5. 도시공간의 목적과 방향 15 3. 공공성을 강화한 진입 공간의 이해 18 3.1. 공공성의 의미 18 3.1.1. 공공성의 일반적인 의미 18 3.1.2. 진입공간에서의 공공성 18 3.2.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간 계획의 이론적 배경 19 3.2.1. 상호작용성 20 3.2.2. 행태지원성 25 3.2.3. 불확정성 27 3.3. 공공성을 강화한 건축사례분석 31 3.3.1. Ewha Campus Center 31 3.3.2. Yokohama International Port Terminal 33 3.3.3. Seattle Public LibraryIII 35 3.3.4. Ponte Parodi 37 3.3.5. Denver Art Museum 38 3.4. 공공성을 강화한 진입공간의 이해 41 3.4.1. 진입공간의 개념 41 3.4.2. 공공성을 강화한 진입공간의 필요성과 목적 42 3.4.3. 공공성을 강화한 진입공간의 행태와 기능 44 3.4.4. 공공성을 강화한 진입공간의 성격 47 3.5. 공공성을 강화한 진입공간의 디자인 적용원리 51 3.5.1. 연속성 51 3.5.2. 접근성 53 3.5.3. 영역성 54 4. 공공성을 강화한 진입 공간의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59 4.1. 디자인 개요 및 진행 과정 59 4.1.1. 디자인 개요 59 4.1.2. 진행 과정 59 4.2. 디자인 프로그래밍 60 4.2.1. 대상지 환경 분석 60 4.2.2. 공간프로그래밍 66 4.2.3. 디자인 적용 개념과 시각화 67 4.3. 공간 계획 및 디자인 적용 75 4.3.1. Zoning 및 공간 구성 계획 75 4.3.2. 공간별 이용행태 및 행태 지원물 78 4.4. 디자인 도출 단계 79 4.4.1. 배치계획의 전개과정 79 4.4.2. 최종디자인 81 4.5. 종합 및 디자인 평가 90 5. 결론 91 참고문헌 93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13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공공성을 강화한 빌딩의 진입공간에 관한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of the Entry Spaces of the Building with Reinforcing the Use of the Public-
dc.creator.othernameShinm Il shim-
dc.format.pageix,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