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미술관 진입공간 디자인 연구

Title
미술관 진입공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signing attributes in Ingress Space of Art Museum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공간체험을 통해 미술관의 1차적 기능인 감상을 지원하며, 문화적 욕구가 증가되는 현대인에게 만족감을 주며, 이용자의 편의 증진과 사회가 요구하는 변화된 미술관의 역할을 충족시킬 수 있는 미술관 진입공간의 제안을 그 목적으로 한다. 21세기의 미술관은 전시와 더불어 교육 · 조사 연구 · 수장 · 커뮤니티 센터로서의 역할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더욱이 미술관이 과거 사회적 엘리트 계층이나 특권층의 전유물에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의 장으로써 변모되어 감에 따라, 대중의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한 미술관 및 박물관 관람은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그러나 점차 증가되는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미술관은 수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거대화 · 복잡화되어 이용자로 하여금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전시라는 절대적 기능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전시공간 이외의 공간은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등한시 되며, 진입공간, 연결공간, 휴게 · 서비스 공간 등 그 외의 다른 공간들은 상대적으로 등한시됨으로써 전시의 효과까지도 저하시키고 즐거운 감상이 아니라 박물관 피로를 가중시키는 불쾌한 경험을 유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진입공간은 공간체험의 가부를 결정하고, 공간 변화의 완급을 조절하며, 주목적 공간의 대표성을 갖는 공간이다. 특히 미술관에서의 진입공간은 전시 관람을 위한 동선을 분배하고, 전이공간으로써 급격한 변화를 완충하고 이용자의 지속적인 움직임을 유발하여 전시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입공간의 기능적 특성을 강화시켜 사회가 요구하는 미술관의 확대된 역할을 지원하며, 이용자로 하여금 미술관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증가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미술관 진입공간의 디자인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하여 공간체험에서 진입의 의미와 진입공간에 대한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미술관 진입공간의 기능적 특성 강화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제 3장에서는 미술관의 일반적 개념을 고찰하고,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미술관 진입공간의 구성과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디자인 적용의 틀을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대상지를 선정하고 실측조사를 통하여 문제점과 가능성에 대한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과정을 통해 설정된 디자인 방향을 대상지에 적용하여 미술관 진입공간 모형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건축적 체험의 관점에서 진입공간은 공간체험의 가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구성공간으로 이용자의 심리적 흥미를 유발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둘째, 전시시설에서 진입공간은 단순한 접근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전시’라는 절대적 기능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사람들에게 거닐고 느끼고 생각하는 생산적 장소로까지 개념이 확대될 수 있는 공간으로 미술관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수 있었다. 셋째, 연속적 공간체험 속에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능동적인 움직임은 단순한 이동행위가 아닌 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진입공간은 이러한 움직임을 매개로 형성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었다. 넷째, 도심 입지형 미술관의 경우, 진입공간은 전시를 관람하는 이용자 뿐 만 아니라 주변 시설 이용자까지도 수용할 수 있는 휴식처로서 기능을 지원할 때, 미술관을 활성화시키는 역할까지도 담당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관 진입공간의 기능적 특성과 역할을 이용자의 편의와 전시효과의 극대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미술관의 다양한 기능 및 프로그램 수용, 이용자의 관점에서 미술관은 사회적 변화에 어떠한 공간적 대응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였다.;The research presents "appreciation" function obtained by a variety of space experiences, provides "amusement" to modern people increasingly aspiring for diverse cultures, and proposes "responsibility" art museum toward customer satisfaction and social requirement. Art museum in 21st century enlarges its functions not only exhibition but also education, research, preservation, community center. As it changes to shared place where common people can communicate instead of privileged or elite classed ones, the touring art and historical museum becomes one of common social activities. Even though the number of museums increases, it could not provide the high quality service due to its complex and huge attributes. Furthermore, it is true that art museum has strictly limited to exhibiting itself and does not approve other functions ranging from entry space, interface space, restfulness to service. The emphasis on limited function only resulted in people feel fatigue and uncomfortable. Entry space determines the availability of space experience, controls the strength of space fluctuation, and represents the main space. It is worth while to recognize that entry space of museum allocates the circulation of exhibition, alleviates the big fluctuation coming from exhibition space, and enhances the effectiveness by bringing out the consistent movement of people. Therefore, the research makes it possible for us to strengthen the enlarged responsibility of museum by the functional analysis and materialize the design of entry space through allowing more access to the location of museum. The architecture of contents and composition is as followings. Chapter 1 Description of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ology of research Chapter 2 Historical case analysis for meaning and concept of entry in space experience and its contribution to strengthen the functionality of entry space in museum Chapter 3 Study for general concept toward art museum and the introduction of composition, responsibility and functions of entry space in museum through case studies Chapter 4 Analysis for problems and possibilities by differentiating the targets and the role model for ideal entry space in museum by design resulted from research The research process made the involving researcher hav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entry space stands out itself as very important part of museum by creating the psychological interests of users. Second, the entry space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absolute function, "Exhibition" rather than limits itself into a simple space and stretches out into a space where people walk, feel and think. Third, the active movement chosen by users throughout a series of space experience played a crucial role in composing the space rather than transferring activity. The entry space could become an artificial space arranged by this concept of movement. Fourth, The analysis for museum within city made us to realize that the real proliferation of museum only comes from its social activity as a rest place for people. The research summarizes the functional attributes and responsibilities from the viewpoints of both user satisfaction and maximized exhibition. Also, it proposes the variety of functions in museums and program acceptance. Finally it presents the answer about how museums reacts spatially toward the social change from viewpoints of us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