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상현-
dc.creator정상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3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321-
dc.description.abstract브랜드 감성과 합리적 가격을 중시하는 가치추구 소비자들의 증가는 공동주택의 브랜드 소비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주거환경은 단순히 거주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아닌 문화를 공유하고 감성적으로 만족감을 느끼는 공간으로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동주택인 아파트는 가치 추구를 지향하는 다양한 브랜드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으나 제시하는 이미지와는 달리 실내주거환경에서는 공급자 중심의 획일적이고 무차별화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주거환경에서 색채가 차지하는 중요성은 매우 크나 그에 대한 가치평가는 아직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으므로 주거환경에서의 친인간적, 친환경적 색채 개념의 적용은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주거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실내환경 색채계획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해 대상 브랜드 아파트를 중심으로 실내환경 색채계획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실내환경 색채계획을 통한 브랜드 아파트 이미지 강화방안을 위해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도심 위주의 주거생활이 자연친화로의 변화, 공동주택 시장에서의 브랜드 소비 심화, 주택기능의 디지털화, 고령화와 핵가족의 재분열 등의 사회의 다양한 변화 요인으로 인해 브랜드 아파트는 “환경친화”, “감성화”, “고급화”, “첨단화” 이미지를 공통적으로 추구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실내환경 색채계획을 위한 이론적 접근을 방법으로서 색채의 개념, NCS 칼라 시스템, 비렌의 조화원리와 감성 이미지 스케일에 대해 고찰하고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색채계획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국내 브랜드 아파트의 광고 및 실내 이미지의 색채현황을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4장에서는 디자인 전개를 위한 절차적 방안으로서 첫째, 지원성 강화를 위해 실내 주거환경에서의 색채의 기능을 선행적으로 이해하고 고려하였으며 둘째, 평형별 실내디자인 기준은 브랜드 아파트가 추구하는 이미지에 따라 첨단화는 모던 스타일(Modern Style), 환경친화는 내추럴 스타일(Natural Style), 감성화는 엘레강스 스타일(Elegance Style), 고급화는 클래식 스타일(Classic Style)로 정하였다. 셋째, 실내디자인 이미지에 따른 구체적인 색채선정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와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도출된 내용을 근거로 색채적용범주를 설정하였다. 넷째, 공간기능별 색채의 심리적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색채설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대상지의 선정 이유를 밝히고 대상지의 물리적·인문적 부분과 대상 브랜드 아파트 푸르지오의 브랜드 이미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본 후, 대상지의 실내환경 색채현황을 평형별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3장과 4장에서 밝힌 연구 내용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평형별 칼라팔레트와 거실의 3D 시뮬레이션을 제시하여 구체화시켰다. 6장에서는 실내환경 색채계획을 통한 브랜드 아파트 이미지 강화 연구에 대한 결론 및 타당성을 밝혔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아파트의 이미지 강화를 위한 실내환경 색채계획을 제시하였으며 색채의 문화적 기능 극대화를 통한 인간중심의 실내환경 창출, 환경의 질적 개선에 기여하게 되길 바란다.;Due to the increased of the value pursuing in consumer looking after brand emotion and rational price, brand consume in apartment construction market is deepening and residence environment is not only dwelling function but also developing emotional space as sharing culture. In this point, brand apartment is offering various brand image. But brand apartment is offering standard indiscriminate environment differently suggesting and pursuing brand image. The color in residence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but valuation is meager level. Thus the application of human being, environmental color notion in residence environment improving brand image furthermore, worth in new leading dwelling culture as the strategic plan. In this research, suggested was a methodology focused on the enhancement plan for brand apartment image through interi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1, suggested method and scope of this research on improving brand apartment image through interi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In Chapter 2, brand apartment is establishing brand image strategies pursuing environmental, emotionality, high quality, safe and convenience commonly caused of changing environmental of city-centered residence life, deepening brand consumption in apartment construction market, digital of residence function, aging, nuclear family re-disruption etc. In Chapter 3, suggested NCS color system, Birren's color harmony theory and emotional color strategie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of formulate and objective color plan as the theoretical approach. through survey analysis, present color conditions and some problems of advertisement and interior image in domestic brand apartment were analyzed and looked for some improvements. In Chapter 4, first understanded and considered color function in interior environment second, the interior designs as type were determined in Modern style in safe and convenience and Natural style in environmental, Elegance style in emotionality and Classic style ing high quality. Third, set up color application category based on analyzed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color image and interior design image. forth, the basis of color application was suggested psychological peculiarities in space. In Chapter 5, after making clear selection reason for site, looking around physical·cultual environment, analyzed color condition in interior environment and some problems suggested and then color palette and livingroom' 3D simulation based on the study of the chapter 3, 4. In Chapter 6, the conclusion and validity was described in this study on the enhancement plan for brand apartment image through interi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This study was suggested in interi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for improving brand apartment image an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people-oriented interior environment, qualitative elev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2. 사회적 관점에서의 주거문화의 이해 4 2.1 사회 변화와 주거문화의 연관성 4 2.2 소비 심화에 따른 아파트의 브랜드화 7 2.3 국내 브랜드 아파트의 경향 8 3. 국내 브랜드 아파트의 색채 이미지 현황 10 3.1 브랜드 이미지 10 3.1.1 브랜드 및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 10 3.1.2 브랜드 이미지의 구조 10 3.2 국내 브랜드 아파트의 브랜드 이미지 13 3.3 실내환경과 색채 15 3.3.1 실내환경 색채 개념 15 3.3.2 NCS 칼라 시스템 16 3.3.3 색채 조화원리의 이해 및 조화원리 기준 18 3.3.4 감성 이미지 스케일의 이해 20 3.4 브랜드 아파트별 색채적용 사례분석 22 3.5 국내 브랜드 아파트 실내색채 계획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33 4. 실내 주거환경 색채계획의 기능 및 전개 방안 34 4.1 실내 주거환경에서의 색채 기능 34 4.2 실내 주거환경에서의 심리적 색채 특성 35 4.3 거주자 선호 실내디자인 40 4.4 브랜드 아파트 이미지 강화를 위한 실내 색채계획 적용방안 43 4.4.1 실내디자인 이미지와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의 연계성 43 4.4.2 공간기능별 심리적 색채 특성에 따른 접근 48 5. 실내환경 색채계획을 통한 브랜드 아파트 이미지 강화 51 5.1 대상지 개요 51 5.2 대상지 브랜드 아파트 현황 분석 54 5.2.1 대상지의 물리적·인문적 분석 54 5.2.2 대상지의 브랜드 이미지 분석 56 5.2.3 대상지의 실내환경 색채 분석 58 5.3 브랜드 아파트 이미지 강화 프로그래밍 71 5.3.1 색채계획 개요 71 5.3.2 색채계획 적용안 72 5.4 종합 및 평가 91 6. 결론 93 참고문헌 96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8910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실내환경 색채계획을 통한 브랜드 아파트 이미지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nhancement Plan for Brand Apartment Image Through Interi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dc.creator.othernameJEONG, Sang-hyun-
dc.format.pagexiv,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