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봉령-
dc.creator고봉령-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7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1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의 요인인 다양성, 방향성, 시간성, 흐름변화, 표현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본 프로그램은 Slater(1993)의 동작의 구성요소인 신체, 노력, 공간, 관계 그리고 창의적 신체표현력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및 자료를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분량은 40분 수업의 16차시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내용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무용교육 전문가 3명과 초등학교 교사 12명에게 배부한 후 수정 검토를 요청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A초등학교 1학년 아동 29명으로 주 2회씩 8주간에 걸쳐 개발된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에 의한 수업을 받게 하였다.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은 Slater(1993)는 동작활동 전개방식을 도입단계, 움직임 익히기 단계, 창의적 표현단계, 평가단계 등의 4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동작활동 전개방식은 Slater(1993)의 4단계 전개방식을 적용하면서 특히, 움직임 익히기 단계에서는 움직임을 탐색하면서 동작기술을 익히도록 하였고, 창의적 표현단계에서는 짧은 이야기나 동화 등을 통한 동기화에 중점을 두면서 탐색된 움직임을 표현하도록 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기본동작능력 발달 검사도구는 김혜옥(1995)의 Hoffman, Young과 Klesius (1981)가 아동을 위한 유의미적 움직임에 제시한 자아 평가와 발달 측정도구를 토대로 구성한 문항내용과 Flinchum(1975)의 Motor Ability Test의 문항을 기초로 하여 김은심(1994)이 재구성하고 김미중(2004)이 일부 수정한 것을 재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창의적 신체표현력 발달 검사는 Laban(1975)의 이론을 기초로 배현숙(1990)이 작성한 도구를 토대로 김은심(1994), 김미중(2004)이 수정한 것을 초등학교 실정에 맞도록 재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전의 평가자 간 신뢰도는 기본동작능력 발달 검사 70%, 창의적 신체표현력 발달 검사 80 % 이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t-test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유의미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적 신체표현력에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동작의 다양성에 있어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유의미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따라서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동작의 기초영역과 동작의 응용영역을 통합 구성하는 것이 아동으로 하여금 동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동작의 방향성에 있어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유의미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따라서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동작의 기초영역과 응용영역을 통합 구성하는 것이 아동들이 동작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용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동작의 시간성에 있어서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유의미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따라서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동작의 기초영역과 동작의 응용영역을 통합 구성하는 것이 아동들의 동작활동에 있어 시간의 요소를 적절히 사용하여 움직이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동작의 흐름 변화에 있어서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유의미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따라서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동작의 기초영역과 동작의 응용영역을 통합 구성하는 것이 아동으로 하여금 동작활동에 있어 신체 부분들 간의 연속성, 동작과 동작과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동작의 표현성에 있어서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에 유의미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따라서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동작의 기초영역과 동작의 응용영역을 통합 구성하는 것이 아동으로 하여금 동작활동에 있어서 동작주제에 적절한 표현을 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영상자료를 활용한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의 창의적 신체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앞으로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초등학교에서의 무용교육은 아동의 신체창의력 개발은 물론 21세기를 향한 미래교육으로서 학교교육에 이바지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ive motion program by employing teaching media and to examine what impact it had on the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of children including diversity, direction of movement, time consciousness, change in motion flow and expressiveness. A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data on Slater's motion components involving the body, effort, space and relationship and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run 40 minutes each in 16 sessions, and three dance education experts and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review and modify the program to improve its adequacy before it was appli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 first graders at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o took lessons for eight weeks, twice a week, by using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that took advantage of teaching media. That program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including introduction, motion acquiring, creative expressing and evaluating, according to Slater(1993)'s motion development theory. In the motion- acquiring stage, the children were taught to take a careful look at the movements of their demonstrator to acquire motion skills, and in the creative-expressing stage, they were motivated by utilizing short stories or fairy tales to express what they saw.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their basic motion skills was Kim Hye-ok(1995)'s inventory that was based on Hoffman, Young and Klesius(1981)'s Self-Assessment List and Denver Develop- ment Screening Test which were presented in Meaningful Movement for Children. Another was Kim Eun-sim(1994)'s revised version of Flinchum (1975)'s Motor Ability Test, which was modified by Kim Mi-jung. The two instruments were re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ircumstances. To evaluate their development of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Kim Eun-sim(1994)'s and Kim Mi-jung(2004)'s revised versions of Bae Hyeon-suk(1990)'s inventory that was based on Laban (1975)'s theory was remodified to fit into the elementary school and local community. Its reliability turned out to range from 70 percent to 92 percent.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e study, t-test was implemented to make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assisted by teaching media affected the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of the children was investiga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p<.001) in them after that program was conducted. So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could be said to have an impact on their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Second, how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aided by teaching media concerned the diversity of their movements was check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p<.001)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combination of fundamental and applied movements through teaching media exercised an influence on letting the children make a diverse movement. Third, how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aided by teaching media influenced their direction of movement was examin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p<.001)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integration of fundamental and applied movements through teaching media had an impact on having them move in various directions. Fourth, how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assisted by teaching media affected their time-conscious movement was prob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p<.001)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As a consequence, the integration of fundamental and applied movements by the use of teaching media could be said to exert an influence on letting them make a movement in consideration of time. Fifth, how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assisted by teaching media affected their shift in the flow of movement was check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p<.001)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Accordingly, the integration of fundamental and applied motions by the use of teaching media could be said to have an impact on ensuring their sequential movements and organic connection among the parts of their bodies. Sixth, how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assisted by teaching media affected the expressiveness of their motion was investiga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p<.001)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Consequently, the combination of fundamental and applied motions by the use of teaching media could be said to exert an influence on having them express the themes of movements properl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integrative motion program assisted by teaching media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of the children. If discreet research efforts are made to prepare efficient programs to elevate the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of children, it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futuristic elementary dance education and the body creativity of children in the 21st centu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II. 이론적 배경 5 A. 동작교육 5 B. 창의적 신체표현 교육 15 C. 선행연구 24 Ⅲ. 연구 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연구설계 27 C. 연구절차 29 D. 연구도구 31 E. 자료분석 37 Ⅳ. 프로그램의 실제 및 결과 38 A. 프로그램의 실제 38 B. 프로그램의 결과 59 V. 결론 및 제언 66 A. 결론 66 B. 연구의 제한점 68 C. 제언 69 참고 문헌 70 부록 74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85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아동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향상을 위한 영상자료 활용 통합적 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Integrative Motion Program Assisted by Teaching Media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e Body Expressiveness-
dc.creator.othernameKo, Bong-Ryung-
dc.format.pageix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