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미-
dc.creator김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참여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교육과정에 정착하고 있는 학교중심 교육과정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한 방안의 모색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정도와 참여정도가 어떠한지를 밝혀줌으로써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ㆍ운영의 실태를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능력을 함양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실행 가능성을 제고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과 교육과정의 학습자에 대한 적합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시행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참여정도는 어떠한가?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편성 및 시안작성에의 교사의 참여는 어떠한가?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운영에의 교사의 참여는 어떠한가?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평가에의 교사의 참여는 어떠한가?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참여태도는 어떠한가? 3.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참여정도는 어떠한가?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인식정도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가?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참여정도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은 편이며 경력이나 직위가 높을수록 인식정도가 더 높다. 특히,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은 교육과정의 전면적인 개발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속에서 학교 상황에 맞게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을 의미한다는 것을 잘 인식하고 있다. 이는 교사들이 이미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교사집단의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외부 집단에 의해 강제적 성격을 띠고 도입되었다는 것도 잘 인식하고 있으며, 비록 자율적인 도입은 아니지만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교육적 효과를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서도 매우 높은 인식수준을 보인다. 이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사의 가장 전문적인 영역이 수업이므로 자신들이 전문성을 가장 높게 발휘할 수 있는 영역도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렇게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목적,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서는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ㆍ운영이 시행되는 법적 근거에 대한 인식정도는 낮은 편이다. 또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어떤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지와 각 단계에서 해야 할 구체적인 일들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정도를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비교해 볼 때 경력과 직위가 높을수록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수준이 높고, 개발ㆍ운영의 절차에 대해서도 경력과 지위가 높은 교사일수록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인식수준이 높다. 둘째,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ㆍ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참여정도는 미흡한 수준이다. 상당수의 교사들이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ㆍ운영이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높여준다고 인식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참여하기는 꺼리고 있으며 참여를 한다고 해도 자율적인 참여는 낮은 수준이다.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ㆍ운영의 참여수준은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서도 큰 차이가 있다. 공립학교의 일반 교사들은 사립학교의 교사들에 비해 그 참여수준이 소극적이고 타율적이다. 공립학교에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ㆍ운영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으나 교사들의 참여수준이 저조한 것을 볼 때 의도된 교육과정과 실행된 교육과정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과 참여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원하는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들과 개발 절차에 대해 체계적인 연수를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잘 모르는 채 자신이 맡은 교육과정 관련 업무를 통해 부분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교사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고 그 의견이 수용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영역별로 팀을 구성하여 그 활동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가 교사라고는 하지만 현실에서는 교사가 배제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교장과 교감, 일부 교사에 의해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사들은 새로운 의사결정 구조를 원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교사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교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level of teachers in the development,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o identify what gap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level of teachers and to inform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The more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rank the teachers have, the better their understanding is.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s not focused on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system. Rather,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hanges curriculum to meet individual school needs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regul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already are developing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like this. The teachers are well aware that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has been imposed by external organizations. However, regardless of how it has been implemented, the teachers have had a positive reaction to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Furthermore, teachers understand their role and its importance. They feel that the most important domain for specialization is the classroom; therefore, they feel that lectures are the best way to show their special knowledge and abilities. Although teacher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foundation, objective, necessity, and their roles, they do not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legal basis for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Furthermore, they do not know what procedures or steps need to be taken in order for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o be implemented.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and experie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differs. More experienced teachers have an overall better understanding of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the number of teachers who participate in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s quite low. Although most teachers understand that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an offer specialization and autonomy, many are reluctant to voluntarily participate. Participation also depends highly on teachers’ background and level of experience. My findings show that public school teachers are much less likely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curriculum council workshops and conferences and use projected curriculum plans than private or special school teachers. Although public schools have been attempting to implement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due to the lack of enthusiasm for it by the teachers, there is a cleavage between the projected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it. Third, in order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projected and actual practice of school-centered curriculum development,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needs and wants of the teachers. Teachers want an opportunity to study and attend workshops to learn about the details and procedures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generally do not think that participation in workshops and conferences are necessary. They think that they can learn about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experience. Furthermore, teachers want their opinions to be honored through democratic means. In other words, they would like to be a part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Although teachers should be at the forefront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reality, there are many cases where only the principal and teachers with seniority make the decisions. Teachers also believe that teams should be organized by tasks and fields to foster school-centered curriculum development. In order for school-centered curriculum development to succeed, we must listen attentively to teachers’ opinions an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등장과 개념 4 1.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4 2.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개념 7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과 의미 8 B.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의 단계 12 1. 계획 단계 12 2. 편성 단계 13 3. 운영 단계 13 4. 평가 단계 14 C. 학교중심 교육과정과 교사 16 1.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 16 2. 교육과정 재구성자로서의 교사 17 3. 학교중심 교육과정과 교사의 역할 19 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과 교사의 참여 24 D. 선행연구 28 Ⅲ. 연구방법 32 A. 연구 대상 32 B. 연구도구 33 C. 연구 절차 및 자료처리 35 1. 연구 과정 35 2.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36 Ⅳ. 연구 결과 39 A.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정도 39 1. 개념 인식 39 2. 목적과 필요성 인식 40 3. 절차 인식 42 4. 역할 인식 43 B. 교사의 배경변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정도 분석 45 1. 직위에 따른 교사의 인식정도 차이 45 2.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의 인식정도 차이 46 3. 학교규모에 따른 교사의 인식정도 차이 46 4. 설립구분에 따른 교사의 인식정도 차이 47 C.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참여정도 49 1. 편성 및 시안작성에의 참여 49 2. 운영에의 참여 53 3. 평가와 지원 프로그램에의 참여 58 D.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교사의 참여 증진을 위한 방안 62 Ⅴ. 결론 및 제언 64 A. 결론 64 B. 제언 71 참고문헌 73 부록: 설문지 76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73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참여정도 분석 및 참여증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Level of Teachers about the 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t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Sun Mi-
dc.format.page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