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여가동기 및 여가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Title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여가동기 및 여가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After School Inclusive Leisure program on Ego- Identity, Leisur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정귀순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청소년기는 성인기로 전이되는 시기로 앞으로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개인적 사회적 발달을 위해 긍정적 자아정체감의 형성이 필요하다. 이는 장애청소년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된다. 긍정적 자아정체감의 형성에는 여러 가지 변인이 있을 수 있으나, 특히 학부모, 교사, 또래들의 지원이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다양한 경험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자아정체감은 자아 존중감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긍정적 자아정체감은 성인기의 직업생활이나 지역사회 적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장애청소년들은 일반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경험이 적으며, 사회적 수용의 부족과 교사나 학부모들의 낮은 기대감으로 인해 자아존중감이 낮으며, 이는 곧 자아정체감의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장애고등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프로그램이 장애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여가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울러 장애학생의 여가 참여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 시내 Y특수학교와 E특수학교의 고등부에 재학중인 중등도 및 경도장애학생 24명으로, 이 중 Y특수학교학생은 12명은 실험집단에 배치하였고 E특수학교학생 12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각자 개별적인 여가시간을 보내도록 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가 끝난 후, 2개월에 걸쳐서 Y특수학교와 지역사회 시설(청소년교육문화회관, 볼링장, 유원지, 영화관, 박물관, 청계천)을 활용하여 여가교육과 여가활동을 실시하였다.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여가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는 박아청(2003)이 타당화 연구를 거쳐서 개발한 청소년을 위한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Korean Adolescent Ego-identity Scale)와 Baldwin과 Caldwell(2003)이 개발한 청소년 여가동기척도(FTMS-A)를 3점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에 대한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하였으며, 중재프로그램 실시 전의 사전검사와 실시 후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t 검정하였다. 한편 장애학생의 여가 참여행동의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합된 여가활동 과정을 관찰한 연구자의 관찰 기록 일지, 사진, 비디오테입, 참여한 일반학생의 평가기록지와 일반학생, 장애학생 어머니, 연구보조자의 면담자료를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의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6개의 하위영역 중에서 5개 영역(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주도성, 친밀성)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지향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여가동기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여가동기 변화정도와 각 하위영역별(무동기, 외재적 조절동기, 부과된 조절동기, 확인된 조절 동기, 내재적 동기)로 다르게 나타났다. 5개 하위 영역중에서 무동기와 내재적 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무동기 점수가 통제집단의 무동기 점수보다 낮아졌다. 반대로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내재적 동기점수가 통제집단의 내재적 동기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여가동기가 명확해졌으며, 자발적인 여가참여의식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학생의 참여행동의 질적 변화를 알아본 결과 장애학생의 참여행동 증진 뿐 아니라,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간 관계증진, 장애학생의 사회적기술 증진, 부수적인 성과의 4개 주제가 도출이 되었다. 장애학생은 여가활동에 참여하면서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참여행동이 증진하였고,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이 증진하면서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의사소통기술, 독립성기술, 여가기술과 같은 사회적 기술이 증진하였다. 부수적으로 일반학생들과 장애학생의 학부모들은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특히 일반학생들은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변화와 더불어 봉사점수와 무관하게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일반학생의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 참여 동기에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After School Inclusive Leisure program on Ego- Identity, Leisur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After School Inclusive Leisure program offers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d been educated in a special school and hadn't experienced inclusive programs. Twenty-fou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twenty-fou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Each group was consisted of 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After School Inclusive Leisur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Also twenty-four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After School Inclusive Leisure program to support 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experimental group. The After School Inclusive Leisur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4 month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Also 11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6 mothe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 graduate student who assisted this study had an in-depth interview to offer their experiences regarding their participation to the program.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ego-identities leve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leisure motivations level. From the qualitative analyses, four themes were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data which include observation recordings of activities in the After School Inclusive Leisure Program, evaluation recording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video tapes. Four theme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particip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increase in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ird, the improvement on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outcomes of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fter school leisure program would be the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ego-identities, leisure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behavior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