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십이지신을 소재로 한 캐릭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십이지신을 소재로 한 캐릭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racter Designs Using the Twelve Terrian Deities as Sources
Authors
안미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 민족의 전통을 담고 있는 소재인 십이지신은 오늘날 우리의 현대 생활과도 친숙하다. 사람들은 새해가 밝아 오면 그 해가 무슨 띠의 해인지 궁금해 하며, 그 해의 띠동물이 지니고 있는 상징적 의미를 알아본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한 해의 운세를 점쳐보고, 자신의 띠에 해당하는 인형이나 소품을 지님으로써 마음의 안정을 찾기도 한다. 옛날에는 운세적인 요소보다는 신앙의 대상으로 십이지 띠동물을 숭배 하였는데 부적을 통해 악귀를 달아나게 했으며 재액을 물리치고 소원을 이루게 하는 능력이 있다고 믿어왔다. 십이지신의 이러한 주술적 기능은 오늘날에도 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용도와 운세를 점치는 용도로 철학관이나 사주카페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십이지신의 이미지가 무겁고 어두운 느낌을 갖고 있어서 현대인들에게 시각적으로 어필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십이지신 이미지를 현대화시켜 많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고 호감 가는 캐릭터로 만들어 십이지신이 가지고 있는 민속적 의미를 살리고 우리 민속 캐릭터를 보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캐릭터와 팬시상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 국내외 캐릭터 개발현황, 우리나라 캐릭터 개발과 상품화의 문제점 및 효율적 방안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팬시상품 구매 실태와 캐릭터 선호도 조사를 참고하여 새로운 캐릭터 개발 자료로 활용했다. 캐릭터와 팬시상품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십이지신의 상징적 의미와 특성, 현대적 고찰, 상품화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새롭게 작업한 십이지신 캐릭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요소를 표현하기위해 기존의 많은 캐릭터들이 사용하고 있는 매끈한 라인보다는 판화기법을 이용한 수작업의 따뜻한 느낌의 라인으로 표현하여 개성을 살렸고 다른 사람들도 응용 가능하도록 그 작업 방법을 기록하였다. 재앙으로부터 지켜주는 부적의 기능을 현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자신을 지켜주는 수호천사 이미지를 담았으며 실용적인 캐릭터 상품의 기능에 심신의 안정을 주는 부적과 같은 의미를 더했다. 완성된 캐릭터들은 매뉴얼로 정리하여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쉽도록 했다. 로고타입, 시그니춰,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포함한 베이직 시스템과 제품적용 예를 보여주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으로 정리 하였고, 몇 가지 상품들은 샘플로 만들어 촬영한 사진을 첨부하여 상품화 가능성을 높였다. 본 연구자는 십이지신 캐릭터를 통해 민속을 소재로 한 캐릭터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고자 한다. 잘 만들어진 우리의 전통문화 캐릭터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관광기념품 시장에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외국 캐릭터에 익숙해진 우리의 아이들에게 재밌고 즐거운 우리 고유의 캐릭터와 팬시상품을 선보이고 싶다.;As a new year breaks, people are eager to know what Oriental zodiac character (animal) the year has and what symbolic meaning the animal has. And thereupon, people practice divination to be careful about any misfortune or carry a doll or an accessory representing their birth-year animals to feel comforted by the animals or their 'alter egos'. In ancient times, people used to worship the twelve animals of terrain deities rather than foretell their fortunes through them. They used to carry some talismans to terrify the evil spirits or expel their energies, while believing that the talismans would serve to prevent misfortunes and realize their wishes. Today, the function of expelling the evil energies is combined with the fortune-telling function to be used by fortune tellers or their websites, while the guardian animals are shown in dolls at times. This study focuses on not only the guardian and fortune-telling signs of the twelve animals but also their modern reinterpretations with their traditional elements derived to design their characters empathetic to our young gener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twelve animal deities and thereby, expressed them into some characters. Specifically, the researcher examined a variety of twelve animal characters and thereupon, identified their problems as cultural or fancy commodities and thereby, developed some character designs conducive to promotion of our cultural and fancy commodities. Although not perfect Korean sources, the twelve terrain deities may well be interesting enough to be applied for characters; since they have long been immanent in our Korean people's subconsciousness, they may be used effectively to express our Korean elements, and therefore, they were selected for researchers' character designs. While attempting to express the Korean elements, the researcher could not but use the print techniques for expression of warm manual works rather than express the artificial lines shown in the conventional characters. Of course, there were several stages set for the expressions. First, the sculpture knives would be used to carve the sketches on the rubber print. Second, the print would be stamped onto paper to be scanned and the sketches would be trimmed out with PhotoShop. Third, Illustrator would be used for the line work and then, the symbolic accessories would be inserted into them for diverse effects different from the printing technique. Fourth, the completed characters would be applied to actual commodities to enhance commercialism of the character commodities. The twelve terrain deities have been horrible subjects as well as guardians, while they have been expressed in various art works in specific and splendid ways, but today, they are much used for games, animations or cartoons for young generation. However, such commercial applications seldom feature our traditional deity animals, namely their uniqu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ll in all, the researcher added some Korean elements to the twelve terrain deity characters and then, produced some fancy and cultural commodities featuring them in a manual way to enhance uses of the twelve charac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