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지연-
dc.creator서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76-
dc.description.abstractIn the developed modern industrial society, a human being came to pursue aesthetic beauty in addition to a basic demand, together with enhancement in quality of life. Particularly in women whos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gets higher, the importance of fashion styling is being newly recognized. In the previously modern society, a style is being positioned deeply even in life of the masses. It is what is not hesitant about making oneself more beautifully or allowing oneself to be different image from others. This is because an interest in quality of life came to increase due to improvement in income level, and because a demand for beauty was swelled. Also, as the modern fashion industry is being progressed into the tendency of total fashion, the relative importance, which is possessed by hair-style, makeup, other trifling articles and accessories, became great, as the elements of producing fashion style other than clothes like before. Besides, the importance of fashion styling is further requested by the fields such as drama, movie, advertisement, publication, fashion show, apparel maker, and wedding, which are being developed mor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as well as by general women. Especially in professional presentation of fashion style such as the advertisement field that aims at sales promotion by well delivering the characteristic of a product visually, the drama & movie field that needs to emphasize reality of a story with styling in line with the ag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publication field that needs to offer the fashion trend and the market information, the production of fashion image with high perfection comes to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creative combination in model, hair & makeup, accessory, place and trifling article. Like this, the modern fashion seems to need to be attained a professional interest and research as an element aiming at the expressive method in diverse fashion styles and at the presentation of a fashion style while clothes, hair, makeup and accessory are the element of elevating perfection in a fashion style depending on an individual's personality, not on the form of the fixed beauty, and the element of changing diversely.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9 photos in the production of fashion image, which was newly interpreted by being met with modern space in line with the modern sensation and the fashion trend,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in the fashion of the 1920s, which appeared in modern fashion. This is aimed ultimately to allow the fashion styling to perform a leading role in the section of presenting fashion image through this, by building a system in a method of investigating into styling as well as academically establishing a concept, function and role in fashion styling, and by putting forward creative and innovative style in fashion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flapper image, which speaks for the 1920s, is defined as the soft womanly beauty of not losing free image, the sexy beauty of including mannish sense, and the decoration beauty of containing exotic mystery. Second, the elements that are featured by a style in the 1920s include exotic pattern, elaborate beading, fringe, low-waist silhouette of not revealing decorations such as ruffle and flounce, soft materials such as velvet, silk and chiffon, soft pastel colors such as ivory, pink and green, red blue in exotic sensation, and black, gold and silver colors. Third,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modern collection, these characteri- -stic elements in image and style of the 1920s are still becoming a design motive in many designers, and are being expressed by being newly re-interpreted in the center of trend. Fourth, clothes, which were manufactured with modern sensation, could stress decoration with elaborate beading, large corsage, fringe, and can express feminine attraction with coordination in pearl necklace and earring of diverse lengths, gloves, and shawl that was made of materials such as silk and fur. Fifth, the reactionary model image was completed by the expression of transparent skin tone and red cheek, makeup in slim eyebrows of a half-moon shape and in smoky eye, makeup that was designed with red lip slim-line, soft finger wave, and hair style of short bobbed hair, and it could be known that hair & makeup is an element of styling easy for explaining and expressing the age sensation. Sixthly, the linear spaces, which were formed with geometrical pattern and modern furnitures, played a role in leading the reactionary style in the 1920s, which was emphasized soft womanly beauty and decoration, to a new image of modern sensation, and due to this, it could be known that the importance, which is possessed by space among elements of forming the styling in fashion styling, is very great. As the above, this study was aimed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in the diverse motives of creating the styling with a new concept and in a method of fashion styling, by applying characteristic elements in the fashion of the 1920s, which appeared in modern fashion, completing the new 1920s style in line with the modern sensation and the fashion trend, and trying to put forward the photos of producing fashion image, which was newly interpreted by being met with modern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hoped to be continued a research on the field of producing new fashion mage.;발전된 현대산업사회에서 생활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인간은 기본적 욕구 외에도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게 되었다. 특히 사회적 활동의 참여가 높아지고 있는 여성들에게 있어서 패션 스타일링의 중요성은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이미 현대 사회에서는 대중들에게도 스타일이 생활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자신을 보다 아름답게 또는 자신을 남과 다른 이미지로 만드는데 주저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는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미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 패션산업이 토탈 패션화 추세로 진행되면서 예전처럼 의복만이 아니라 패션 스타일 연출의 요소로서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기타소품과 장신구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또한 패션 스타일링의 중요성은 일반여성 뿐만 아니라 현대 산업 사회에서 더욱 발전되고 있는 연극 영화, 광고, 출판, 패션쇼, 어패럴메이커, 웨딩 등의 분야에서 더욱 요구된다. 특히 제품의 성격을 시각적으로 잘 전달해 판매촉진을 이루고자 하는 광고 분야, 시대적 공간적 특성에 맞는 스타일링으로 스토리의 리얼리티를 강조해야하는 방송ㆍ연극ㆍ영화분야, 유행의 경향과 시장의 정보를 독자들에게 제공해야하는 출판 분야 등의 전문적인 패션 스타일 연출에 있어서는 모델, 헤어&메이크업, 액세서리, 장소 및 소품 등의 창의적인 조합에 따라 완성도 높은 패션이미지 연출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현대 패션은 고정되어진 미의 형태가 아니라 개인의 개성에 따라 의복, 헤어 및 메이크업, 액세서리 등은 패션 스타일의 완성도를 높이는 요소이며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로서 다양한 패션 스타일의 표현법과 패션 스타일 연출을 위한 요소로서 전문적인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20년대 패션의 특징적 요소들을 응용하여 현대적 감각과 유행경향에 맞는 모던한 공간과의 만남으로 새롭게 해석된 패션 이미지 연출 사진 9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패션 스타일링에 있어서 개념, 기능 및 역할을 학문적으로 정립함과 동시에 스타일링 연구 방법의 체계를 세우고 패션분야에 있어서 창의적, 혁신적 스타일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패션 스타일링이 패션이미지 제안부문에 있어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대를 대변하는 플래퍼 이미지의 특징은 자유로운 이미지를 잃지 않은 부드러운 여성미, 매니시한 감각을 겸한 섹시미, 이국적인 신비함을 담아낸 장식미로 정의 된다. 둘째, 1920년대 스타일을 특징짓는 요소로는 이국적인 패턴, 정교한 비딩, 프린지, 러플과 플라운스 등의 장식과 허리선을 드러내지 않는 로우 웨이스트 실루엣, 벨벳과 실크, 시폰 등의 부드러운 소재, 아이보리ㆍ핑크ㆍ그린 등의 부드러운 파스텔 컬러와 이국적인 감각의 레드, 블루, 그리고 블랙, 골드, 실버 컬러이다. 셋째, 현대 컬렉션을 분석해 본 결과 이러한 1920년대의 이미지와 스타일의 특징적인 요소들은 아직까지도 많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트렌드의 중심에서 새롭게 재해석되어 표현되어지고 있다. 넷째, 현대적인 감각으로 제작된 의상들은 이국적인 패턴의 정교한 비딩과 커다란 코사지, 프린지 등으로 장식성을 강조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길이의 진주목걸이와 귀걸이, 장갑, 실크와 모피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쇼올 과의 코디네이션으로 여성적인 매력을 표현 할 수 있다. 다섯째, 투명한 피부 톤과 붉은 볼 표현, 반달형의 가느다란 눈썹과 스모키 아이 메이크업 그리고 붉은색의 가느다란 립 라인으로 디자인된 메이크업과 부드러운 핑거 웨이브, 짧은 보브형 단발의 헤어스타일등은 복고적인 모델 이미지를 완성해 주었으며 헤어&메이크업이 시대적 감각을 설명하고 표현하기에 용이한 스타일링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기하학적 패턴과 모던 가구들로 이루어진 직선적인 공간들은 부드러운 여성미와 섹시미 그리고 장식성이 강조된 20년대 복고 스타일을 현대적인 감각의 새로운 이미지로 이끄는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하여 패션 스타일링에 있어 스타일링을 이루는 여러 요소 중 공간이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20년대 패션의 특징적 요소들을 응용하여 현대적 감각과 유행경향에 맞는 새로운 20년대 스타일을 완성하고 모던한 공간과의 만남으로 새롭게 해석된 패션 이미지 연출 사진을 제시해 봄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다양한 스타일링 창출 모티브와 패션 스타일링 방법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으며 동시에 새로운 패션 이미지 연출 분야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지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x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3 2. 이론적 배경 4 2.1 패션 스타일링에 관한 고찰 4 2.1.1 패션 스타일링의 개념 4 2.1.2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 6 2.1.3 패션스타일리스트의 기능과 활동영역 11 2.2 1920년대 패션에 관한 고찰 16 2.2.1 사회ㆍ문화적 형성 배경 16 2.2.2 1920년대 패션 이미지 분석 24 2.2.3 1920년대 패션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패션 스타일링 사례 41 3. 작품 제작 및 해설 72 3.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72 3.2 작품 해설 75 4. 결론 및 제언 102 참고 문헌 105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07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1920년대 패션이미지를 응용한 패션스타일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Styling in Application of Fashion Image in the 1920s-
dc.creator.othernameSEO, JI YEON-
dc.format.pagexi,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