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실-
dc.creator이은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1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194-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의 전 생애동안 모든 면에서 가장 빠르게 습득하고 많이 배우는 시기는 영유아기이다. 특히 영유아기 때 양육자와의 친밀한 애착관계는 전 일생의 심리발달에 걸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존 볼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과 매리 솔터 아인스워스(Mary D. Salter Ainsworth)의 영아와 어머니와의 분리, 애착관계에 관한 실험을 통해 정립한 애착유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영유아가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어 가는 애착관계와 애착유형에 대한 이론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어릴 적 부모 또는 1차 대상인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하나님 표상이 형성된다는 애너-마리아 리주토(Ana-maria Rizzuto)의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하나님 표상 형성에 관한 이론도 다루었다. 이 두 이론을 바탕으로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애착관계가 하나님 표상 형성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고찰했고, 형성된 하나님 표상이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애착유형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하나님과의 애착유형을 형성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볼비의 애착이론에 관한 개념과 애착발달, 애착유형, 대상관계 이론과의 유사점을 통해서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애착관계를 볼 때 안정애착인 경우에는 긍정적인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을 통해서 자기 확신적이면서 대인관계에서도 안정적인 삶을 형성하는 것을 봤다. 그러나 불안정애착관계를 형성한 자는 부정적인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을 통해 자신감의 결핍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통한 부정적인 삶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하나님 표상이 형성된다는 리주토의 하나님 이해를 살펴보았다. 어릴 적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한 영유아는 긍정적인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고 있었고, 불안정애착관계를 형성한 영유아는 부정적인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거나, 반동형성을 통한 방어기제로 긍정적인 하나님 표상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안정애착관계를 형성한 자들에게 하나님 표상이 긍정적인 가치를 주고 있다는 것 또한 보았다. Ⅳ장에서는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애착관계와 애착유형을 통해서 어떤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는지 애착유형을 갖게 되는지에 대한 상관관계에 관한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리 컥패트릭(Lee A. Kirkpatrick), 리차드 백(Richard Beck), 앙기 맥도날드(Angie Mcdonald) 등의 학자들의 이론과 여섯 명의 내담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고찰했다. 이를 통해 어릴 적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애착관계가 내담자들의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에 긍정, 부정적인 영향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애착유형이 하나님과의 애착유형과 일치하고 있다는 것과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불안정애착관계를 형성한 자들에게 하나님 표상이 긍정적인 가치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부모와의 애착관계를 통해 형성되어진 애착유형이 하나님 표상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론을 간략히 요약정리 하였다. 본 연구과정 가운데 드러나는 한계점과 제언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첫 번째 영유아가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애착관계를 통해서 하나님 표상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하나님 표상은 추상적 개념도 아니고 제도적인 종교의 가르침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도 아니라 부모와의 애착관계를 통해서 하나님 표상이 형성된다. 두 번째 부모와의 안정애착유형을 형성한 사람은 하나님 표상에 대해서도 안정애착유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부모와의 불안정 저항애착과 회피애착, 혼돈애착유형을 형성한 자들은 하나님 표상에 대해서도 불안정 저항애착과 회피애착, 혼돈애착유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세 번째 하나님 표상이 부모 또는 양육자와의 불안정애착관계를 형성한 자들에게 안정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긍정적인 가치를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하나님과의 불안정애착관계를 형성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교회 공동체와 목회상담자의 역할을 통해서 하나님과의 새로운 안정애착관계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It is during the infancy that people obtain and gain knowledge most rapidly.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and the parent provides greates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very aspect of the infant. This research utilizes studies and the thesis done by John Bowlby regarding attachment, and forms of attachment which has been built up throughout many case studies by observing separations between mothers and infants and relationships of attachment, which also has been researched by Mary D. Salter Ainsworth. This paper is focusing on forms of attachment and type of attachments that are formed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and their parents. Furtherm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thesis of Ana-maria Rizzuto; what kinds of images of God are 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parents or their guardian. Based on these two theses, I would like to do research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parents effects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how the attachment with parents develops their views of image of God. In chapter two, I studied thesis of John Bowlby; thesis of attachment, attachment-development, various formations of attachment, and thesis of similarity to infant's object. From his thesis, we can learn that in a stable life, infant can grow with healthy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with healthy self-image, when the infant has a healthy attachment with his or her parents or guardians. On the contrary, those infants who had an unstable attachment-relationship with a parent or guardian usually show his or her negative self image, create negative life-style and have bad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In chapter three, through the research of the Ana-maria Rizzuto; how people develop their image of God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people. When an infant has a stable and healthy attachment with her or his parents or guardians, he or she can have a positive image of God, in opposition, an infant who has a negative relationship or attachment with his or her parents or guardians, (s)he usually has a negative image of God; and when they exhibit positive image of God; it is result of their defense reaction for the sake of reaction formation. Even those who had an unstable attachment, the image of God is positive due to their defense reaction. In chapter four, the attachment development is studied; how it i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ir guardians. Thesis of John McDargh, Lee A. Kirkpatrick, Richard Beck, Angie McDonald and 6 (six) test subjects were used. Through them we were able to see that their positive and negative self images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were the result of their earlie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or guardians. Also we were able to see,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early models were that of their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there were people who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God despite their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early role models. Th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infants do develop image of God and attachment through their early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or guardians. The development of God's image is through their early attachments with their early role models and it is not through religious teaching or through cultural ideology. Second, those who had comfortable or safe attachment also developed comfortable or safe attachment with God. Also those who had uncomfortable or unsafe attachment with infancy parents and guardians also developed unsafe and not 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God. Third, people were also able to develop good and comfortable attachment with God even though they had uncomfortable and unsafe attachment with their infancy parents or guardians. They were also able to live a normal life. Fourth, even those who had developed uncomfortable attachment with God can be helped through counseling in the church community and church staff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ⅳ Ⅰ. 서론 1 A. 연구 목적과 동기 1 B. 연구 방법과 범위 3 Ⅱ. 존 볼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 4 A. 애착의 개념 4 B. 애착의 발달 8 C. 애착의 유형 11 D. 애착이론과 대상관계 16 Ⅲ. 애너-마리아 리주토(Ana-maria Rizzuto)의 하나님 표상 이론 20 A. 하나님 표상에 관한 리주토의 이해 21 B. 하나님 표상의 형성과정 23 C. 리주토가 이해하는 환상의 긍정적 가치 26 D. 리주토 연구의 공헌과 한계 28 Ⅳ. 애착과 하나님 표상과의 관계 31 A. 애착과 하나님 표상과의 연관성 31 B. 부모와의 애착과 하나님 표상에 관한 사례 35 1. 어머니와의 안정애착관계와 하나님 표상 35 2. 아버지와의 안정 애착관계와 하나님 표상 40 3. 아버지와의 불안정 저항애착관계와 하나님 표상 46 4. 부모와의 불안정 회피애착관계와 하나님 표상 52 5. 부모와의 불안정 혼돈애착관계와 하나님 표상 57 Ⅴ. 결론 73 참고문헌 75 〔부록1〕면접 동의서 78 〔부록2〕하나님에 관한 질문들 79 〔부록3〕가족에 관한 질문사항 82 〔부록4〕성인 애착 면접 질문지 83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21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title부모와의 애착관계와 하나님 표상과의 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Attachment and the Image of God-
dc.creator.othernameLee, Eun sil-
dc.format.pagev,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