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정아-
dc.creator손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4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461-
dc.description.abstractThe Seventh National School Curriculum in Korea has emphasized autonomous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Language learning also aims at developing learner autonomy in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Autonomous language learning ultimately enables learners to achiev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in real-life. In particular, listening comprehension greatly contributes to achie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early stages of language learning. There are cognitive, efficiency, utility and affective advantages for focusing on listening in language learning(Gary, 1975). Therefore learners should be encouraged to utilize listening strategies, which can promote learner autonomy in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Pre-listening activities help learners to develop strategic competence by activating relevant schemata of learners. Hence teachers need to supply missing content knowledge via pre-listening activ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re-listening activities on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narratives. The primary aims of this study are: (a)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formal, content and linguistic schema activities) on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narratives: (b)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re-listening activity types and listening proficiency: and (c) to compare and identify the effects of pre-listening activity types on general, specific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of English narratives.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he study was conducted in June 2006 involving 94 first year students of Korean middle school.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 formal schema group, a content schema group and a vocabulary group, and completed their assigned pre-listening activities. The three types of pre-liste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for activating respectively formal schema, content schema and linguistic schema. The students were also divided into two different proficiency-level groups: high proficiency and low-proficiency level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re-listening activity types and listening proficiency. Each group's listening comprehension was assessed through a six item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consisting of general, specific,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ques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t indicates that there was no relative effectiveness of different pre-listening activities in this study Such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do not support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inconsistency of the findings could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text genres or treatment conditions. Second, there seem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e-listening activity types and listening proficiency. That is, no proficiency groups gained benefits from the pre-listening activities.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the scores of low-proficiency group were as high as those of high-proficiency group. It is presumable that pre-listening activities were more helpful for the low-proficiency group and the high-proficiency group did not gain as many positive benefits from the pre-listening activities as the low proficiency groups did in this experiment. Third, the effects of pre-listening activity types on general, specific,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were shown to vary. First of all, in the general comprehension test, both of the formal schema group and content schema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vocabulary group on the first time tes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 the second test for general comprehension even though the formal schema group achieved the highest score. The inconsistency of the content schema group's results on the two tests is accounted for the fact that the content group were provided with unfairly more amount of background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activity, which contributed to their better performance on the first test than on the other one. Next, in the specific comprehension assess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 the first test, while the content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vocabulary group on the second test. Lastly, in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test, the content schema activity was proven more significantly effective than the other activities only in the second test.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of pedagogy. First, pre-listening activities need to be designed to meet specific listening purposes of the various text genr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ore effective pre-listening activity types for the narrative text comprehension by activating formal, content, and linguistic schema. Even though some of the results remain unclear and further study is needed, learners should take advantage of pre-listening activities by activating relevant schemata. In addition, pre-listening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to promote intended schemata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strategic listening skills.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pre-listening activities on other genres of English texts.;7차 교육과정은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고, 그 어느 때보다도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능력 신장을 강조하고 있다. 외국어 학습 역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목표로 한다. 듣기 학습은 인지적, 효율성, 유용성, 정의적인 장점 때문에 외국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하며, 말하기 학습에 선행되어질 필요가 있다(Gary, 1975). 이처럼 듣기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전략적인 듣기 수업 절차가 요구된다. 전락적인 듣기는 듣기 전 활동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듣기 전 활동은 학습자들이 듣기이해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자기 주도적 듣기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듣기 전 활동 유형이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영어 이야기체 글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듣기 전 활동을 형식 스키마 활동, 내용 스키마 활동, 어휘 스키마 활동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듣기 전 활동이 이야기체 글의 전반적, 세부적, 추론 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의 듣기 능력 수준에 따라 각 듣기 전 활동 유형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고찰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습자 94명을 대상으로 형식 집단, 내용 집단, 어휘 집단의 세 실험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에게 듣기 전 활동으로 형식 스키마, 내용 스키마, 어휘 스키마 활동을 실시 한 후, 각 듣기 전 활동이 이야기체 글의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듣기 수업은 총 2차시로 구성되어 2주간 동일한 교사에 의하여 실시되었고, 듣기 수업의 절차는 듣기 전 활동, 듣기 중 활동, 듣기 후 활동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 전 활동 유형에 따른 집단별 이야기체의 듣기이해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1차시 평가와 2차시 평가의 결과, 형식 집단의 점수 평균이 나머지 두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록 이야기체 글의 듣기 이해에 보다 효과적인 듣기 전 활동 유형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1차시와 2차시 평가에서 모두 형식 집단의 점수가 가장 높았던 점을 고려할 때, 형식 집단에게 스키마 활동으로 제공되어졌던 그림은 듣기 내용에 대한 문맥 정보를 보다 많이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듣기 능력 수준에 따른 듣기 전 활동 유형의 효과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1차시 평가와 2차시 평가의 결과, 상위 집단의 형식, 내용, 어휘 집단 간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형식 집단의 평균 점수가 다른 두 집단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하위 집단의 경우도 각 집단 간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형식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로 보아 형식 스키마 활성화 활동은 상위 및 하위 집단 모두에게 듣기 내용의 맥락에 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듣기 이해를 도모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듣기 전 활동 유형이 이야기체 글의 전반적, 세부적, 추론 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반적 내용 이해의 경우, 1차시 평가에서는 형식 스키마 활동과 내용 스키마 활동이 모두 어휘 활동보다는 효과적으로 나타났지만, 2차시 평가에서는 듣기 전 활동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세부적 내용 이해의 결과를 살펴보면, 1차시 평가에서는 듣기 전 활동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2차시 평가에서는 형식 스키마 활동이 어휘 활동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추론 내용 이해의 경우, 1차시 평가에서는 내용 스키마 활동이 형식 스키마 활동과 어휘 활동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지만, 2차시 평가에서는 듣기 전 활동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키마 활성화 유형에 따라 듣기 전 활동이 이야기체 글의 듣기 이해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집단별 듣기 전 활동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습자의 듣기 능력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도 없었다. 한 편 이야기체 글의 전반적, 세부적, 추론 내용 이해에서는 부분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듣기 전 활동 유형이 밝혀졌다. 그러나 각 듣기 전 활동에서 제공 되어지는 배경지식 정보의 양이 모두 동일하지 않았고 특히 형식 스키마 활동의 경우 듣기 내용과 관련된 직접적인 정보가 너무 많이 제공되어졌음을 고려할 때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이를 보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듣기 이해과정 4 B. 스키마 이론 9 C. 듣기 전 활동 15 D. 선행연구 22 Ⅲ. 연구방법 30 A. 연구 질문 30 B. 연구대상 30 C. 실험자료 32 D. 실험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38 E. 연구의 제한점 4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3 A. 집단 간 듣기 전 활동 유형에 따른 효과 비교 43 B. 듣기 능력 수준별 듣기 전 활동 유형에 따른 효과 비교 45 C. 듣기 전 활동유형이 전반적, 세부적, 추론 내용이해에 미치는 영향 49 1. 듣기 전 활동 유형이 전반적 내용이해에 미치는 영향 49 2. 듣기 전 활동 유형이 세부적 내용이해에 미치는 영향 51 3. 듣기 전 활동 유형이 추론 내용이해에 미치는 영향 53 Ⅴ.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62 <부록 1> 듣기 지문 67 <부록 2> 듣기이해 평가지 69 <부록 3> 듣기 전 활동지 72 <부록 4> 듣기 전 활동의 수업 지도안 80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06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듣기 전 활동 유형이 중학생의 영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Pre-listening Activities on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Narratives-
dc.creator.othernameSohn, Jung ah-
dc.format.page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