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吳淑芳-
dc.creator吳淑芳-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9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94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real state of inservice training of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in secondary school, through which it might present the various problem existing and the better way to activate the inservice trai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ndles with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inservice training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types of inservice training, and the real state of inservice training of the teacher of social studies in our country and other countries. 'This study also analyze the problems in the inservice training through the survey on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of 38 public middle schools in Seoul. The survey is broadly divided into several parts: the degree of acknowledgement of inservice training, the content and effect of the center-based training and individual-based training, and the methods of activating overseas studies and seminars of soci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ing; Above all, most of the teachers, irrespective of sex, major, degree, and teaching years, think the inservice training is very important. They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improving their knowledge and enhancing their teaching competence as a teacher, through periodical inservice training. Scondly, most of teachers think that the individual-based training i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various types of inservice training. they point out that miscellaneous duties in school and the lack of time are the major obstacles in the inservice training. They suggest a kind of individual-based self training with pay as a solution. Thirdly, most of teachers don't think the center-based training is so effective for solving the various problems in reality becaus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it are not adequate to the real aspects in school. They don't think that it meets their expectations, either. Most teachers of social studies request that the center-based training should offer more helpful programs for discus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iving guidances in the very teaching and learning site. And they prefer the experienced inservice training teacher as an instuctor. Forth place, it is found that many of teachers actually do not have opportunities of individual-based training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overwork is prevalent, though most of them feel that the individual-based training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Most of them read a technical or academic magazine as a way of individual- based training. But the handicap is that books on the subject matter are not so much available in reality. The fifth point: only a few teachers have experienced overseas study. The truth is that traveling expense is great, but most of them have no choice but to take the burden of all the expenses. So they request that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support the overseas study programs. The sixth; most of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feel that the periodical seminars of social studies are desperately necessary, in which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introduced and developed and devices of textbook reformation are discussed. They point out that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real classes because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textbooks do not realize the actual integration. In the result, teachers agree to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inservice training. But there are some hindrances to the successful inservice training like the insufficient chances of the inservice training, constraints due to overwork, and so on. In this situation, some reform measures can be suggested as following: Firstly, the real aspect or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should reflect on the content and the procedure of the inservice training. It is very helpful to hold the periodical seminar of social studies and discuss the subject matters in it. Secondly, the miscellaneous duties of the teachers must be reduced not only for the teachers to have chancees of individual-based training but for them to concentrate on their teaching activities. Thirdly,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must be diversified in order for the teachers to have more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It might include the use of mass media like TV, radio and video tapes. A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cultivate and support the various inservice training programs.;본 硏究는 中等 社會科 敎師들의 現職敎育 實態에 대한 分析을 통해 社會科 現職敎育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合理的이고 效率的인 硏修敎育 活動을 위한 現職敎育의 活性化 方案을 摸索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硏究는 그 理論的 背景으로 現職敎育의 槪念과 原理, 現職 敎育의 類型과 우리나라의 現職敎育 現況, 現職敎育의 世界的 動向을 文獻 硏究를 통해 제시하였으며 社會科 敎師의 現職敎育 實態와 서울 시내에 위치한 38개 公立中學校 社會科 敎師를 대상으로 한 設問調査를 통해 中等學校 社會科 敎師와 現職敎育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現職敎育에 대한 認識度, 現職敎育의 현행 여건 및 효과적인 現職敎育의 方法, 機關中心 硏修의 內容 및 效果, 個人 自律硏修의 現況, 海外硏修의 實態와 活性化 方案, 敎科硏究會 및 現職敎育 활성화 방안으로 나뉘어 분석되었으며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現職敎育에 대한 認識度는 대부분의 社會科 敎師들이 남녀, 전공, 교직경력, 학력 등에 관계없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現職敎育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敎育現場에서의 끊임없는 再敎育을 통한 知識習得 및 교사로서의 資質向上에 있다는 觀點을 취하고 있다. 둘째, 社會科 現職교사들은 機關硏修, 학교내의 自體硏修, 個人 自律硏修로 분류되는 現職敎育의 類型 중 個人 自律硏修를 가장 중요시하고 있으며, 現職敎育의 沮害要素로는 과중한 업무와 시간부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대부분의 現職敎師들은 그 改善策으로 有給體職 硏修期間을 설정한 硏修形態를 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셋째, 機關 中心의 硏修는 교육현장의 문제해결의 기여도에 있어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견해가 앞서고 있으며, 그 이유로는 社會科敎師의 統合問題 등 社會科 교육의 현실과 거리가 있고 硏修內容이 요구수준과 맞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社會科 교사들은 機關中心硏修가 학생학습지도와 생활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敎育現場에 살아있는 내용으로 채워지길 원하며, 敎授方法도 교사들의 自律的 參與가 보장되는 방법이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機關中心의 硏修에서 바람직한 講師로는 現場敎育에 탁월한 현장근무교사를 원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硏修의 內容 및 方法 등에서 現場性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분석되었다. 넷째, 現職敎育의 방법 중 個人 自律硏修는 그 중요도나 필요성을 대부분의 교사가 業感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業務過多라는 교육현장의 현실여건 속에서 많은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個人 自律硏修의 機會를 갖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個人 自律硏修의 방법으로는 專門誌. 專攻分野의 學會誌 탐독 등의 방법을 주로 취하고 있으나 圖書目錄, 資料不足 등이 個人 硏修의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고 밝히고 있어 個人硏修의 여건이 肯定的이지 않음이 교육현장의 현실인 것으로 보여진다. 다섯째, 社會科 現職敎師들의 現場硏修 중 海外硏修는 아직 저조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海外硏修의 기회를 갖더라도 個人의 부담에 의한 비율이 가장 높아 行政當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社會科 敎師들의 現職敎育 중 社會科 敎師 敎科硏究會의 필요성에 대부분의 교사가 共感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社會科 敎科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수업 방법의 開發 및 紹介, 敎科別 學習資料 및 參考資料웨 製作, 補給, 敎科書의 再構成에 대한 論議가 이루어져 교육현장에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現職 社會科 敎師들의 생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社會科의 敎育現場에서의 가장 큰 문제로는 社會科의 統合敎育課程에 대한 문제로써 이는 통합교과의 내용이 실질적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授業과 硏修에 어려움이 많다는 지적이다. 위의 결과를 볼 때, 중등학교 社會科 敎師의 現職敎育 實態는 그 필요성이나 중요성 등 現職敎育의 認識度에 있어서는 많은 교사들이 공감하고 있으나 硏修機會의 不足, 敎育現場이서의 過業務로 인한 制約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노정되어 있으며, 이의 개선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現職敎育의 내용이나 방법이 敎育現場에 걸맞는 現場性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機關中心의 硏修보다는 個人 自律硏修의 擴大가 제도적으로 뒷받침 됨으로써 실질적 現場性을 確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의 구체적 방안으로는 社會科 敎師 敎科硏究會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敎育現場의 業務改善이 필요하다. 現職敎育의 의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직의 잡다한 업무로 인해 現職敎育의 時間的 機會를 갖지 못하고 있음을 감안 할 때, 교육현장에서의 시급한 업무개선이 실질적으로 現職敎育을 뒷받침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째, 現職敎育의 種類와 方法이 더욱 확대되어 보다 많은 교사들이 참여 할 수 있는 誘引體制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는 조사결과에서도 지적되었듯이 放送媒體 활용을 통한 通信敎育의 活性化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국내외 現場硏修의 制度的 支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과 目的 = 1 B. 硏究의 內容과 方法 = 3 C. 硏究의 제한점 = 4 Ⅱ. 理論的 背景 = 5 A. 現職敎育의 槪念과 原理 = 5 B. 現職敎育의 類型과 實態 = 11 C. 現職敎育의 세계적 동향 = 19 Ⅲ. 中等社會科 敎師의 現職敎育에 관한 調査分析 = 28 A. 社會科의 現職敎育 = 28 B. 調査 方法 = 35 C. 調査結果 및 分析 = 38 1. 現職敎育觀 = 38 2. 現職敎育의 方法 및 與件 = 41 3. 機關硏修의 運營 및 效果 = 48 4. 自律硏修의 內容 및 方法 = 64 5. 海外 硏修 = 70 6. 敎科硏究會 및 現職敎育 활성화 방안 = 73 Ⅳ. 結論 및 提言 = 78 參考文獻 = 88 ABSTRACT = 91 附錄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63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등 사회과 교사-
dc.subject현직교육-
dc.subject활성화-
dc.subjectSocial Studies-
dc.title中等 社會科 敎師의 現職敎育 活性化를 위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service Education of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in Secondary School-
dc.format.pageix,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