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udy on the Students' School Life Influenced by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 of Adolescents
Authors
노원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effectively students' school life could be explained by the variable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s and also analyzed their correlations among the students' school life,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s well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search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classes of three variables, academic self-efficacy, stress coping styles and students' school life.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how effectively is the students' school life explained by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s? Second, what are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stress coping styles and students' school life? The 408 high school students of 12 class (266 in 1st grade, 142 in 2nd grade, 71 in male, 337 in female) registered in one high school in Seoul and four high school in Kyung-gi province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Measures for academic self-efficacy were used for the ones which were developed by Ahyoung Kim, Inyoung Park (2001). Measures for the stress coping styles were used for the ones which were designed by Lazarus Folkman (1984) and then modified by Junghee Kim (1987). And measures for the students' school life were used for the ones which were developed by Ahyoung Kim (2002) after the modification of ones by SookJoo Lee (2000) and Youngmee Cho(1999).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for this study. First, both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s were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students' school life. However, the academic self-efficacy (32.5 %) influenced more significantly to the students' school life than stress coping styles (7.5%) did. Second,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have high self-restrained efficacy and prefer the difficult project and actively cope with stress in the way of problem-oriented style and pursuit for the social resources, are significantly effective to school class or adaptation to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students' school life. Throughout the study, active stress coping style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cademic self-efficacy which were significant to students' school life. In terms of this observation, active stress coping based on the problem-oriented style may improve the students' school life by way of the enhanc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하위영역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을 어느 정도 설명하고 있는지를 표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영역 집합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집합간의 관련성을 찾아내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하위영역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가?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들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1개의 서울시 소재의 모 고등학교와 3개의 경기도 소재의 모 고등학교, 1개의 인청광역시 고등학교 1 - 2학년 12개 학급 408명(1학년 266명, 2학년 142명, 남자 71명, 여자 33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김아영, 박인영(2001)이 개발하여 표준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Lazarus Folkman(1984)의 대처방식척도에 기초하여 김정희(1987)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교생활 적응 척도는 이숙주(2000)와 조영미(1999)의 학교생활 적응 척도를 근거로 하여 김아영(2002)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데 모두 유의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32.5%의 설명력,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7.5%의 설명력을 갖고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을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의 4개의 하위영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7개의 하위영역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정준상관분석 결과, 학업적인 문제에 있어서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고, 난이도가 높은 과제를 선호하며, 스트레스 대처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를 하며, 사회적 지지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은 학생은 학교생활에 있어서 학교수업이나 교사관계 적응 능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현상과 일탈을 미연에 방지하고 건강하고 효율적인 학교생활 적응을 위하여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문제해결 중심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학업적인 자기효능감의 제고를 통한, 학교생활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