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고전시가 단원의 변천에 대한 연구

Title
고전시가 단원의 변천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Classical Poetry Chapters : on the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uthors
劉玉順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고전시가단원고등학교국어교과서한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정신을 학습의 장에서 구체화하기 위한 자료의 성격을 띤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의 학교 교육에서는 교과서를 가르치는 것 그 자체가 교과 목표가 될 만큼 교과서가 중시되어 왔고, 특히 국어 교과서는 지금까지 거의 문교부에서 편찬, 발행한 제1종 교과서였으므로 그 위치는 절대적이었고, 교육에 미친 영향도 막대하였다. 따라서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세밀히 분석하여 각 시기별로 교육의 방향과 변천과정을 알아보는 것은, 그동안의 교육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고등학교에서의 사용한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단원을 분석하여 고등학교에서의 고전시가 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 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우선 해방 이후 미군정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의 기간을 모두 7단곌 나누어 각 시기의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의 편찬 실태를 파악하였다.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초창기에 국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 교수요목에서는 읽기, 말하기, 짓기, 쓰기, 문법, 국문학사 등 6항목으로 교수사항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광복과 더불어 우리말 교육이 강력히 요청된 결과, 미군정기의 국어과 시간 배당 기준에 의하면 읽기 항목에 상당한 비중을 두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언어 사용 기능을 강조하였고, 문학 학습은 읽기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했다.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제재 선정의 기준을 마련하여 문학에 관한 내용을 선정, 지도할 것을 규정하였다.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표현, 이해 기능, 언어, 문학의 세 영역으로 지도 영역을 구분하여 문학 영역을 독자적으로 신설하였고, 제5차 교육과정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언어, 문학의 6영역으로 나누어 언어 사용 기능을 강종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편찬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는 대부분 학년별로 1권씩 총 3권으로 편찬되었으나, 학제 개편 이전인 미군정기에는 오늘날의 고등학교를 포함한 6년제 중학교의 정규 국어 교과서를 2개 학년에 1권씩 상,중,하 3권으로 발행 하였으므로 고등학교용은 『중등국어교본』 (중권, 하권) 2권으로 볼 수 있다. 제5차 교육과정기에는 『국어』 상, 하 양권으로 편찬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교육과정 분석 결과와 교과서 편찬 방침을 고려하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전체 체제를 분석하고, 국어 교과서의 문학 영역에 있어서 고전시가의 위상을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국어』 교과서의 전체 단원수는 미군정기부터 점차 증가하여 3차 교육과정기에 가장 많은 단원수를 보였고, 문학 영역 단원도 이 시기에 가장 많이 수록되었다. 그러나 4차 교육과정기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5차 교육과정기에는 가장 적은 수를 나타냈다. 각 시기별로 『국어』 교과서의 전체 체제를 분석한 결과, 5차 교육과정기를 제외한 모든 시기에서 교과서 수록 단원이 읽기나 문학 영역에 편중되었으며, 전 시기를 통틀어 문학 영역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전시가는 해방 이후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 총 69단원이 설정되어 전체 단원수의 11.6%를 차지하였다. 가장 낮은 비중을 보인 시기는 4단원 (5.9%)이 실린 실린 미군정기이며, 대한민국 초창기에는 15단원 (18.3%)이 실려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Ⅳ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에 실린 고전시가 작품의 시기별 수록 양상과 갈래별 수록 양상을 살펴 고전시가 단원 변천의 통시적 고찰을 구체화하였다. 미군정기에는 시조와 가사 작품만 수록되어 특정 갈래에 편중된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대한민국 초창기에는 시조와 가사 외에 백제가요, 고려속요, 악장, 민요, 잡가, 번역한시 등의 갈래를 새로 수록하여 고전시가 갈래의 폭이 가장 넓었다. 가장 많은 작품을 수록한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향가와 경기체가가 처음으로 수록되었고, 악장도 <용비어천가> 외에 3편의 작품이 이 시기에만 더 수록되었다. 5차 교육과정기에는 고전시가 작품이 4차 교육과정기에 비해 무려 40편이나 줄어, 총 11편의 작품이 실렸다. 따라서 고전시가 작품이 가장 적게 수록되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 시기마다 빠짐없이 교과서에 수록된 갈래는 시조와 가사였다. 그러나 갈래별로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수를 보면 시조가 전체 작품의 약 60%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번역한시(약 23%)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밖에 가사, 고려속요, 악장, 향가, 잡가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고 상고시가, 백제가요, 경기체가, 민요는 전 시기를 통해 한 번만 수록하였다. Ⅴ장에서는 앞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바탕으로 고전시가 단원 변천의 방향과 문제점을 종합하여 살펴보았다. 교과서 단원의 영역별 배분이 일정한 기준 없이 자의적으로 이루어져 문학 영역뿐 아니라 전 영역에서 형평성을 잃었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의 비중도 대한민국 초창기와 1, 2차 교육과정기에만 균형을 이루었고, 다른 시기에는 한 편에 편중되었다. 고전시가 작품 수록에 있어서는 시조와 번역한시 두 갈래에 집중되었고, 특히 번역한시의 경우 중국한시의 비중이 높았다.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일부 갈래에 편중된 인식을 갖게 할 우려가 있고, 상대적으로 다른 갈래의 작품을 감상할 기회를 상실한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국문학적 연구 성과가 교과서의 제재 선택에 잘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시가 작품을 국어학의 제재로서 더 중요하게 다룬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므로 제5차 교육과정기의 『문학』교과서 편찬 방침에서 고전과 현대문학의 비중을 4 : 6으로 설정한 것과 같이 『국어』교과서 편찬시에도 일정한 비중을 설정되어 형평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국문학적 연구 성과를 교과서 제재 선택에 반영하여 여러 갈래에서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정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작품을 체험하도록 배려해야겠다. 특히 제5차 교육과정기에는 『국어』에서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을 강조하였고 『문학』교과를 따로 설정하여, 『국어』 과목에서는 문학교육을 소홀히 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심지어 문학 작품을 언어 기능 신장을 위한 자료 정도로 간주하게 했다. 따라서 고전시가 교육이 올바른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국어』에서 언어 기능 교육과 문학 교육이 상보적으로 작용하여야 할 것이며, 읽기 영역과 문학 특히 고전 문학 영역과의 효율적인 관련이 앞으로 더욱 심도있게 논의되고 반영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해방 이후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살펴본 고전시가 단원의 변천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어 교과에서의 고전문학 교육 특히 고전시가 교육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고전시가 교육내용의 이상적인 선정을 통해 교과목표 달성의 극대화를 꾀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The textbook is a kind of data to embody the spiri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classroom. But we has importantly treated the textbook enough to identify the textbook lesson itself with the curriculum object in our school education until now. First of all, as the Korean textbook was an Authorized Textbook almost edited and published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has not only played an important role but also had an greatly effect on education. Consequently in this thesis I inten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direction and change of education with each period by carefully analyzing the works that were collected within the textbook, which perhaps has a mean a lot in looking back upon education until now and exploring ways toward the future. Thus in this thesis I considered the process on the changes in the classical poetry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by analyzing the classical poetry chapters within the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used in the High School from liberation to now. In Chapter Ⅱ, above all, I classified into seven stages from the American- occupied period to the period of the 5th Curriculum after liberation. And I analyzed object and subjec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and investigated actual conditions among the edit for the Korean textbook based upon educational curriculum by studying the educational process of each period. In Chapter Ⅲ, I analyzed all system of the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studied the process of the change each period on the density of classical poetry within the literature part of the Korean Textbook. And I considered consequence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alyze and the editional policy of the Textbook in Chapter Ⅱ. In Chapter Ⅳ, I embodied the change of the times for the changes of classical poetry chapters by studying the shape of the collect according to each period & genre by genre of classical poetry works which were collected in the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In Chapter Ⅴ, I collectively considered the change current and problems of the classical poetry chapters, based upon having said above. A study on the changes in classical poetry chapters with the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fter liberation,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Korean textbook ,especially may be useful study for the gretest achieve of lesson goal with reform status for classical poetry education and select ideal for educational subject of classical poe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