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교우관계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교우관계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Re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in Class
Authors
조은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교우관계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함으로서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D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선택하여 한 학급을 실험 집단으로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28명을 4개의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미술교과시간과 특별활동시간을 활용하여 5주 동안 매주 2회기, 1회기에 8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실험설계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채택하였다.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그 효과를 교우관계척도와 학급응집력 척도로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통제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여 실험처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더불어 아동들의 세부적인 행동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각 회기별 수업일지, 학습일지를 통해 주요사례를 추출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만 사전 사후 학교생활화검사(Kinestic School Drawing; KSD)를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활동 과정평가지를 통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들의 생각과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우관계를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특히 교우관계의 하위영역 중 ‘친구유무와 신뢰도’, ‘친구와의 공동생활’ 영역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은 진실되고 신뢰있는 친구가 곁에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친구와 상호 협동하여 원활하게 공동 생활하는 부분이 두드러지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학급 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급 응집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학급 응집력의 하위영역인 ‘환경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 모든 영역에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학급 친구들과 밀접한 인간관계를 갖고, 서로 신뢰하면서 학급 활동에 참여를 잘 하였으며, 학급에 대한 긍지 및 만족감이 높았졌음을 시사한다. 또한 공동체의식이 증대되었으며, 친구들간에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 수신하여 서로의 공통된 이해에 도달되는 정도가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수업일지, 아동의 각 회기별 미술활동, 학교생활화(KSD)의 사전·사후그림과 언어적 반응, 집단활동 과정평가지에서 친구들에 대한 이해심과 배려심이 증가하여 교우관계가 개선되고, 학급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질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집단미술치료는 교우관계를 개선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키워줌으로써 학급응집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성장과 공동체 의식을 키우고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문제 예방 및 중재에 효과적인 상담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on peer re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in cla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sixth grade classes of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One clas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o the contro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8 students divided into four groups, for five weeks (twice a week and ten times in total).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program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comparing pretest and posttest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Moreover, to observe changes in children’s behavior in detail, episodes from the group sess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the KSD (Kinetic School Drawing) test was administer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participants opinions and reactions 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also analyzed by having children fill in the group activities evaluation pap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peer relation by positively affecting peer relationship. Especially, ‘The number of friends and trust’ and ‘Community life with friends’, the subcategories of ‘Peer Relatio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t proves that thos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ended to think they have trustworthy friends and remarkably improved in managing community life while collaborating with friend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siderably improved the group cohesiveness by positively affecting the class cohesion. It showed an effect on all subcategories of ‘Group Cohesiveness’, ‘Atmosphere’, ‘Mutual trust’, ‘Morale’, ‘Unity’, and ‘Communication’. It suggests that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d clos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trusted each other, actively took part in class activities, and elevated pride and satisfactions in class. It also improved collec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by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messages. Thir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howe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peer relationship and positive class atmosphere resulted from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sympathy between friends through art activities, KSD pre and post drawings, verbal reactions, and group activities evaluation pap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peer re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in class by cultivating collective thinking.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be helpful for children in promoting self development, cultivating collective thinking, and forming sound peer relationship. Furthermore, it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counseling skill for the prevention and mediation of children’s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