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어린이그림책의 비문자 체계적 언어소통에 관한 연구

Title
어린이그림책의 비문자 체계적 언어소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n the non-character communication of children's picture
Authors
박후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effective picture books for children by examining their understanding various illustration styles. Picture books used to be considered as an educational media. However, as people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children’s education and consumers’ markets have broadened, picture books have been regarded as a unique type of art. In recent days, parents, teachers, children, illustrators, and publishers need to provide more effective picture books for children by planning, examining, and evaluating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of children’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s about the illustrations by their cognitive stage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children’s verbal responses by their preferences.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are 782 children who are from four-year-old to ten-year-old students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n a middle class neighborhood in Seoul. The age groups for this study were divided by two groups, both four to seven-year-old and eight to ten-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the picture cards. These cards were made for this research to know the understanding and preferences of two children groups, and to examine their verbal responses. The illustrations in these cards were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picture books. Sloan (1971) and Ramsey (1982)’s criteria were used to differentiate the types of illustration. In addition, Ramsey (1989)’s criteria were used to analyze the types of children’s responses for this research. The rated data were analyzed by adjusted frequency of children’s preference and verbal responses, and chi-square for the difference by ag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the understanding of illustrations is not different from age groups, and the children who did not understand objects immediately did not understand the modified expression well. Second, children preferred theillustration expressed objectively. Younger children preferred more realistic illustrations than the simple expression. Older children were more interested in various types of illustration than younger ones. Third, younger children were less interested in both the expressional illustration and the modified illustration which showed the subjectivity of illustrators. Some older children were interested in the expressional style illustrations. Finally, younger children were more sensitive to color than older children. Older children responded to the objects, based on their environment, knowledge or experience. This research examined the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children about illustrations, and thus showed the data for the publication of effective and helpful picture books for children. Although children prefer the specific types of illustrations, those types of illustrations are not the suitable types for children necessarily: they might like the illustrations which they arefamiliar with from their childhood. In term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can say as follows. Literatures can exist only when the readers and texts are mutually communicated well. Children’s responses about picture books are active, integrated, and changing continuously. Although this research has a limitation to examine children’s interests and preference mainly, the following researches should examine what kind of illustrations children show their interests in particular and keep studying how we can encourage children to be interested in books and arts. Publishers should consider the children’s capacity of understanding and the specific interests about objects. They also have to consider that the readers of picture books are children, not adults, and thus avoid creating the illustrations which parents or teachers are likely to prefer. We should consider th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and the consistency of illustrations and contents of books. By this consideration, picture books could be more helpful for children to build their knowledge and artistic sense. ;본 연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인 그림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림책은 전통적인 학습미디어의 대표적인 도구로 이용되어 왔으나 아동교육의 관심증대와 넓어진 소비시장으로 인하여 다양한 그림책을 접하게 되면서 그림책이 하나의 고유한 예술 형태로 인정받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부모, 교사, 아동, 일러스트레이터와 출판 업계 등은 구체적 커뮤니케이션의 프로그램으로 기획, 실험, 평가하여 좀 더 효율적인 그림책을 아동들에게 제공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력과 선호도가 지각 발단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선호도에 따르는 어린이의 언어적 반응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 교육기관 중 부모의 교육 수준과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간층인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4세에서 10세까지 총 782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교육기관의 학급 교사들은 모두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한 2년 이상의 현장 교사경험이 있는 교사들이고, 선정된 유아의 연령은 2006년 10월을 기준으로 4세-7세와 8-10세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국내 외 동화책을 선별하고 그림의 표현 방법별로 나누어 그림 카드를 제작한 후 어린이 두 그룹을 대상으로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르는 언어적 반응을 알아본다. 표현방법의 분류는 Sloan(1971)과 Ramsey(1982)에 기준에 기초하여 표현양식을 분류하고 ,일러스트의 조형요소인 선, 모양, 공간, 색, 질감, 구도와 조망에 따라 차이를 두어 제작한다. 그림에 대한 유아의 언어적 반응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Ramsey(1989)가 고안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한 유아의 언어적 반응의 유형을 기초로 하였다. 각 어린이의 선호도와 언어적 반응을 빈도분석 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검정을 실시했다.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한 어린이들의 이해와 선호도에 따른 언어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이해도는 연령별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단시간 안에 대상을 이해하지 못한 어린이들은 왜곡된 표현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양식 중 대상에 관한 객관적인 표현의 선호도가 높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단순화되고 양식화된 표현의 그림보다는 실제성이 나타나는 그림을 선호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표현의 양식에 관심을 보였다. 셋째, 낮은 연령의 어린이들은 작가의 주관성이 많이 개입된 왜곡된 표현이나 질감을 살린 표현적 표현의 그림은 흥미를 적게 나타냈으며, 연령이 높은 어린이들은 낮은 비율이긴 하나 작가가 의도한 표현법에 대해 흥미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령이 낮은 어린이들은 연령이 높은 어린이 보다 색채에 대한 반응이 강하며, 연령이 높은 어린이들은 대상에 대해 주변 환경이나 자신들이 알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에 연관시켜 호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의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고 선호하는지 알아봄으로써, 어린이들의 욕구에 맞고 성장에 도움이 되는 책을 출판하는데 자료로 제시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어린이들의 이해도와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는 어린이가 특정한 미술적 요소나 양식을 선호한다고 그것이 어린이에게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강조하지는 않는다. 어린이들은 본능적으로 그러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어릴 적부터 그런 종류의 그림이 주어져 그러한 양식에 익숙해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 노들먼(Nodelman)은 이 문제에 관련하여 어린이들의 선호 조사를 보면 성인들이 그렇게 가르친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우리는 교육현장과 가정에서 그림책을 제공하는 교사와 학부모들, 그리고 그림책을 출판하는 출판사와 작가들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은 독자와 텍스트의 상호교류 위에서 비로소 존재한다. 그림책에 대한 어린이의 독자의 반응도 능동적이고 통합된 것이며, 그러한 반응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책을 읽는 도중 계속 변화되고 작품을 읽고 난 후에도 계속 수정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떠한 그림유형에 관심을 가지고 선호하는지 단적으로 알아보는데 그쳤지만, 어린이들에게 ‘어떤 종류의 그림을 좋아하는가?’ 보다는 어린이가 ‘어떤 종류의 그림에 깊게 반응 하는가?’를 연구하여 어린이가 책과 예술에 평생 동안 흥미를 갖도록 도와주기 위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그림책은 어린이들의 연령별 지각능력을 파악하여 그에 적절한 그림책을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린이들이 책에 흥미를 가지는 데 있어서 대상에 대한 관심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그림책을 제공해야 한다. 그림책을 제작하는 제작자들은 독자가 성인이 아닌 어린이라는 점을 인식하여 자칫 성인의 시각에서 성인의 취향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창조할 수 있는 오류를 인식해야 할 것이며, 어린이의 시각을 고려한 그림책을 제작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그림책이 가르치고 정보를 줄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예술의 힘을 가지고 있음을 알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통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지식과 미적 감각을 키울 수 있도록 제안되어야 한다. 즉, 진정한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잘 어울려 이루어지는 통합체이므로, 장르별로 어린이가 이해하고 선호하는 부분을 이용하여 글과 그림의 조화를 고려하여 제작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