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향아-
dc.creator김향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0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064-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도시의 경관은 대부분 건물군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도시의 형태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지역공간의 구성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건축공간의 디자인은 그것이 나타나는 거리라는 공간의 디자인으로, 다시 도시의 환경디자인으로 전개되어 간다. 건축물은 아무 것도 없는 공간에 단독으로 놓여지는 일은 드물며, 대개 집합하고 他者와 맞버틴다든지 하면서 어떤 강력한 아름다움을 표현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건축물간의 조화, 거리와의 조화가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는 것이다. 20세기와 21세기가 엇갈리는 시기에 있어서, 이제 우리의 도시는 그 거리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보고 도시의 미학을 창출한다는 믿음으로 도시환경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현대 대부분의 도시인들은 지향하는 생활과 감각이 다채롭고 다면화하여 문화욕구나 라이프 스타일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상업공간은 상품의 구매뿐만 아니라 정보교환 및 상점의 이미지 전달의 장으로써 여겨지고 있다. 특히 고객에게 시각적 첫인상을 주는 상업공간의 Facade 디자인은 그 공간의 상징적 가치를 표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건물외부의 보행자에게 도시환경으로서의 시각적 즐거움도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도심의 가로변에 위치한 상업공간들은 더욱더 중요한 도시환경조성의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Facade 디자인과 그 외부환경 디자인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시환경의 긍정적 이미지와 그 발전적인 모형의 제안을 전제로 하여 문제해결의 목적에 부합하는 다학문적 접근방식에 의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으로 진행하게 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도시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그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도시환경에서의 가로 공간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 가로 공간이 인간형태의 場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가로 공간의 기능, 형태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 가로 공간에서 보행자 공간의 중요성에 관한 측면을 연구 하였다. - 게슈탈트 이론의 관점에서 가로환경과 건축물의 조화를 연구하였다. 2. 도시 환경으로서의 가로 공간과 상업공간의 조화에 대해 살펴 보았다. - 상업공간(Retail Shop)의 발달과정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가로 환경의 이미지(Image) 에 따른 정체성(Identity)확립에 있어서 상업공간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3. 상업공간에 있어서 Facade 디자인의 중요성과 그 기능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하였다. Facade의 구성 요소 - Show Window Display, 출입구(Entrance), 외부사인물(Sign) -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4. 상업공간의 Facade 디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사례를 제시하였다. 5. 위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환경속에서의 상업공간 Facade 디자인의 실험적 모델을 제안 하였다. 6. 디자인 결과에 대한 평가로 연구의 전과정을 종합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보행자 전용 가로공간의 소규모 상점(Retail Shop)街로 한정하여 보행자가 안전한 활동공간을 보장받으며 자유롭게 쇼핑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즉 단순한 상점가 이상의 문화공간으로 연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Now, the scene of the city is mostly laid in a great multitude of buildings. These buildings play an important part in determining a form of the city, and at the same time ar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region space representing a image of the city. The design of the construction space is progressed from a space design of the street that it represents, to a environment design of the city. The building is rarely constructed alone in an empty space, usually has to manifest itself a strong picturesqueness with being in others. In this meaning, the harmony among buildings and among streets is stressed as a main subject. In time crossing the 20th century into the 21th, now we must review the streets of the city again, and grope the new direction of the city environment with having a faith that creates a beauty of the city. Almost modern citizens intend to a variegated and many sided life and sensation, so culture desire or lifestyle becomes different rapidly. In this situation the commercial space is considering as a space purchasing goods, exchanging information, and delivering a image of the shop. Therefore, facade design that send a visual first impression to customers plays the major role of expressing a symbolic value of the space and must furnish a visual pleasure as a city environment to peclestrians of the outer of building. Accordingly, commercial spaces standing streets in the center of a city become had the more important meaning as the construction of the city environment.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offer an affirmative image of the city environment and its developmental model. The procedure and approach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 help an understanding of the city environment, this study considers its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e street space in the city environment. -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street space is the field of human behaviors, investigating theoretically on the function, shape, of the street space. - Studying the aspect of the significance the pedestrian space in the street space. - Studying the congruity the street environment and buildings from the view of the gestalt, theory. 2. This study considers a congruity of the commercial space and the street space as a city environment. - Study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retail shop and marketing communications. - Theoretically studying influences of the retail shop on the establishment its identity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street environment. 3. This study considers theoretically the weighty,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cade design in retail shops, and investigates components of facade, that is Show Window Display, Entrance, Sign and so on. 4. This study classifies facade design of the retail shop by types and offers a case. 5. Based on the fore-theory, this study proposes a experimental model of the facade design of the retail shop in a city environment. 6. Finally, this study synthesizes the whole design process and comes to a conclusion by the evaluation of the design outcome. The scope of this study 1s limited the retail shop street of only pedestrian street and purposes to present a culture space, not a simple retail street in order that pedestrians can do shopping and rest freely in a safe activity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목차 = ⅲ 1. 서론 = 1 1.1. 硏究의 背景 및 目的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都市環境體系로서의 街路空間과 商業空間에 관한 一般的 考察 = 4 2.1. 도시환경에서 街路空間의 의미 = 4 2.1.1 가로공간의 기능과 특성 = 5 2.1.2. 空間槪念에 의한 街路의 空間構造 = 12 2.1.3. 街路環境과 步行者 空間 = 14 2.2. 게슈탈트의 觀點에서 본 街路環境 = 19 2.2.1. 도형(Figure)과 배경(Ground)의 관계 = 20 2.2.2. 부분과 전체의 관계 = 24 2.3. 都市環境으로서의 商業空間 = 26 2.3.1.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장(Field)으로서의 Retail Shop = 26 2.3.2. 가로환경 image의 정체성(identity)과 상업공간 = 32 3. 상업공간의 Facade에 관한 논의 = 36 3.1. Facade의 일반적 의미 = 36 3.2. Storefronts로서의 기능 및 특성 = 40 3.2.1. Show Window Display = 43 3.2.2. 출입구 (Entrance) = 49 3.2.3. 외부사인물 (Sign) = 51 3.3. Retail Shop 파사드의 유형별 사례연구 = 53 4. 디자인 과정 및 공간적용 = 57 4.1. 디자인 개요 및 진행과정 = 57 4.2. 프로그래밍 단계 = 60 4.2.1. 대상지 선정 = 60 4.2.2. 선정대상지의 현황 분석 = 64 4.2.3. 디자인의 기준 및 목표설정 = 68 4.4. 디자인 단계 = 72 4.4.1 디자인 개념 = 72 4.4.2. 공간 구성의 기본계책 = 78 4.4.3. 이미지의 시각화 및 해결안 = 81 4.4.3.1 외부환경 디자인 = 81 4.4.3.2. 파사드 디자인 = 89 4.5. 종합 및 평가 = 104 5. 결론 = 106 참고문헌 = 108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697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미적도시가로환경-
dc.subject상업공간-
dc.subjectfacade 디자인-
dc.subjectretail shop-
dc.title미적 도시가로환경 체계로서의 상업공간 facade 디자인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retail shop facade를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Method of Facade Design of Commercial Space as an Organization of the Aesthetic City Street Environment : Especially on the Facade Design of Retail Shop-
dc.format.pageviii, 11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