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경옥-
dc.creator진경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0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060-
dc.description.abstract복식은 생활의 실용적 기능을 반영하는 조형 예술의 한 분야로서 그 시대의 문화적 양식에 뿌리를 둔 인간의 의식을 반영한다. 독창적으로 형성되었거나 타지역으로부터 도입된 문화가 그 지역과 민족 특유의 표현으로 정착되었거나 전통문화는 매우 소중한 것이며 전통 문화를 고유 복식에 적용시키는 노력이 부단히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민족의 전통 미술품 중에서 우리 생활 속에 깊이 파고 들어 우리 민족의 정서와 전통성을 잘 나타내면서 변천되어 온 조선 백자, 그 중에서도 투각 필통의 장식 방법이 갖는 화려하고 시원하면서도 환상적인 분위기와, 조형미와 문양미를 현대적인 감각을 가진 복식 디자인에 응용하여 우리 민족 문화의 긍지를 심어줌과 동시에 우리 생활을 활동적인 예술의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 제작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이조 투각 필통에 나타난 문양 중에서 식물문으로 제한하여 문양의 종류와 문양의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투시(see - through, open worked)의 조형미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투시의 기법과 소재를 알아보고 건축물 공예물에 투시 기법이 사용된 예와 투시의 조형미를 도입한 현대 복식의 예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나타난 조선 백자 투각 필통의 문양을 중심으로 현대적 감각에 응용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실물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에는 조선백자 투각필통에 사용된 여러 형태의 문양중에서 형태가 투각도자와 가장 잘 어울리며 작품성이 뛰어나다고 판단된 연화문, 당초문, 목단문 그리고 복숭아문의 문양을 응용하였다. 소재로는 수직 실크를 사용하였고 각 기본 몸판은 검정색을 제외하고는 침염을 하였다. 줄기는 홀치기 기법을 이용한 부분 침염법으로 부분적인 음영을 주었으며, 스트로폴을 사용하여 바이어스로 재단된 수직 실크를 루프 형식으로 만들어 철사를 관입하여 원하는 줄기 모양을 연출하였고, 꽃과 잎은 붓을 사용하여 한장한장 그라데이션을 넣고 그려서 꽃을 엮어 주었다. 투시의 조형성이 나타나는 부분은 바느질 기법을 사용하여 연결 부분을 손바느질로 연결해주었고, 부분적으로 엮기기법을 사용하여 형태를 고정해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시 기법을 응용한 디자인은 화려하고 시원하면서도 환상적인 분위기를 주어 의복에서의 강조적 역할을 하는 디자인의 장식적 기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식물 문양의 특정 양식을 복식에 도입함으로서 우리 고유의 의식속에 있는 연속적, 공통적 요소를 찾아내어서 현대적인 감각을 표출하는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투시 기법의 특성으로 인한 뚫린 부분으로 몸판 쪽의 소재감 및 색상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었다. 넷째, 투시의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한 철사와 스트로폴을 관입한 끈으로 엮어진 줄기의 자유로운 엮기 표현은 문양의 꽃의 형태에서 주는 입체감과 함께 제작과정의 까다로움으로 인해 오히려 미술 의상으로서의 수공예적인 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다섯째, 이조 백자 투각 필통을 응용한 복식디자인은 도자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사상성과 한국의 고유 전통미를 가진 다른 분야에서도 복식에 응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 제시와 함께 독특한 한국 복식 조형의 발전의 길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Fashion is an formative art which reflects pratical function of life and human sense with the basis on cultures of one era, Whether it has been established with its own origin or it has been settled through modification and/or adjustment of other cultures, the tradition is an invaluable culture and thus consistent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ly traditional culture to development of endemic fashions. During this study, it was tried to apply the beauty of shape and figure of one of the precious porcelains from Yi Dynasty, a open-worked porcelain brush case to fashion design with modern sense. While the traditions and the spirits of ancient Korea are well represented by the porcelains of Yi Dysasty, it was consedered to be worth to adapt the decoration of an open-worked porcelain brush case to modern fashion design because of its gorgeous and fantastic and yet rather simple beauty.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fabrication of dresses utilizing the concepts derived from the lierature research were carried out. Firstly, among the various figures appeared in open-worked porcelain brush case of Yi dynasty, the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lant figures were carefully investigated. The formative art of see-through art works was then examined and the techniques and materials of see-through art works were investigated. The examples of application of see-through techniques on architectural product and applied arts and also those of the modern fashion design employing the formative art of see-through techniques were also investigated. With the results from the literature research, 8 actural sizes' of different dresses were fabricated through applying the shapes and figures of open-worked porcelain brush case of Yi Dynasty to the modern fashion sense. Among the various shapes and figures which are often found in porcilain works, the figures of lotus flower, peach and grass were adapted. The hand-made silk was used for fabrication and the most colors were prepared by a gradual dyeing technique except for black color. The partial darkeness of stems were also made by gradual dyeing and the shape of stem was prepared by inserting wires into the loop which was made with long polystyrene foam wapped with hand-made silk. The flowers and leaves were made piece by piece and each -.piece were connected with gradation. For the joint parts, which reveal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e-through technique, each part was connected by hand needling and then shaped with interliking technique.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sigh adapting the concepts of open-worked porcelain could provide gorgeous, clean, erotic while fantastic image and the importance of decoration in fashion design Kas recognized. 2.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adapting the consistent and common essence of our traditions to modern fashion sense through introducing our traditional shapes of plant, which have been wide used in porcelains, to modern dresses. 3. The techniques of see-through could provide more variety in colors and materials in open of dress and thus provide more cubic effects. 4. The liberal interlinking expression of stems prepared by inserting wires into the loop which was made with polystyrene foam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formative beauty of see-through technique could rather express the hand crafted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fashion art due to the 3-dimension impression of the flower shape, 5.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preparation of. openworks in turn encouraged the beauty of hand crafted fashion sense when the concept of open works were applied to fashion design. 6. The successful adaption of the open-worked porcelain brush case to fashion design may sugges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adapt the concept of our other traditional art works to the field of fashion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그림목차 = ⅳ 표목차 = ⅹⅱ 논문개요 = ⅹⅲ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이조 백자 투각 필통에 나타난 문양 = 3 1. 문양의 종류 = 3 2. 문양의 조형적 분석 = 5 B. 조형미와 복식 디자인 = 14 1. 투시의 조형미 = 14 2. 투시의 기법과 소재 = 16 a. 직기를 이용한 기법 = 17 b. 수공예적인 기법 = 19 3. 투시의 조형미를 도입한 현대 복식 = 22 Ⅲ. 작품제작 = 45 A. 제작의도 및 방법 = 45 1. 제작의도 = 45 2. 제작 방법 = 46 B. 작품 해설 = 49 1. 작품Ⅰ의 모티브와 모티브 전개 과정 = 49 2. 작품Ⅰ의 설명 = 50 3. 작품 사진 = 51 4. 도식화 = 53 5. 작품Ⅱ의 모티브와 모티브의 전개 과정 = 55 6. 작품Ⅱ의 설명 = 56 7. 작품 사진 = 57 8. 도식화 = 59 9. 작품Ⅲ, Ⅳ의 모티브와 모티브의 전개 과정 = 61 10. 작품Ⅲ의 설명 = 62 11. 작품 사진 = 63 12. 도식화 = 65 13. 작품Ⅳ의 설명 = 67 14. 작품 사진 = 68 15. 도식화 = 70 16. 작품Ⅴ의 모티브와 모티브의 전개 과정 = 72 17. 작품Ⅴ의 설명 = 73 18. 작품 사진 = 74 19. 도식화 = 76 20. 작품Ⅵ의 모티브와 모티브의 전개 과정 = 77 21. 작품Ⅵ의 설명 = 78 22. 작품 사진 = 79 23. 도식화 = 81 24. 작품Ⅶ,Ⅷ의 모티브와 모티브의 전개 과정 = 83 25. 작품Ⅶ의 설명 = 84 26. 작품 사진 = 85 27. 도식화 = 87 28. 작품Ⅷ의 설명 = 89 29. 작품 사진 = 90 30. 도식화 = 92 Ⅴ. 결론 및 제언 = 94 참고문헌 = 96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185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투시-
dc.subject조형미-
dc.subject복식디자인-
dc.subject이조백자-
dc.subject투각필통-
dc.subject문양-
dc.title투시의 조형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이조 백자 투각 필통의 문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ASHION DESIGN APPLIED WITH DECORATION OF PORCELAIN BRUSH CASE OF YI-DINASTY : With Reference to Pattern-
dc.format.pagexiv. 10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