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유치원의 그룹게임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Title
유치원의 그룹게임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ctual Conditions of Management For Group Games In Kindergarten
Authors
최혜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유치원그룹게임운영실태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use of group games in free activity period in the kindergarten and the teacher's needs for management of group games. The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How does the teacher plan the group game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rording to the teacher's scholatship and career? 2. How does the teacher the group game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ds according to the teacher's scholatship and career? 3. How is the teacher's intervention situation in a group games with the children?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rording to the teacher's scholatship and career? 4. What are the teacher's needs for management of group game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rording to the teacher's scholatship and career?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133 teachers for 5 years old kindergarteners in Seoul. The collected date was analyt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s a ccording to the teacher's scholatrship and career were compared by chi-squ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teacher plan the group games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reason for teachers planing group games is considered that group games can encourge mathematics concept accoding to tescher's scholatship and career, their perceprion was differed significantly subject enough. Group games in most kindergarten are teacher's hand-made. 2. 'Board game' and 'Card game' are the most categories of group games which teachers pratice frequently. Teachers usually pratice the new group games in circle time and According to tescher's scholarship and career, it was differed significantly use the way of teacher's demonstration with latge groups of childen. 3. Most of the teachers paticipate in group games together with children, when the children can not understand the rules or conflict with each other. 4. Teacher's needs for group games management are the supply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group game, teacher's reeducation program and the reference guide book for group games. The needs for contents of the teacher's reeducation program are classroom observation in group games and workshop for making materials for them. The categories of group games that the most teacher want to be supplied are the various kinds of group games, such as guessing game, card game, games involving verbal commands.;본 연구는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실시되는 그룹게임의 운영실태를 밝히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룹게임의 계획현황은 어떠한가? 이는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그룹게임의 실시현황은 어떠한가? 이는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그룹게임의 운영에 대한 교사의 개입현황은 어떠한가? 이는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그룹게임의 운영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이는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만 5세반 유치원 교사 133명이다. 연구대상의 표집은 한국어린이육영회에서 작성한 서울시 22개구별 사립유치원의 주소록에 준해 각 구별로 6기관씩 무선표집을 하였으며, 각 기관별로 3부씩 총 39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회수된 설문지는 133부로 회수율은 33.6%였다. 연구도구로는 그룹게임의 운영현황과 교사의 요구 전반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회수된 설문지를 통해 각 문항별 반응을 백분율로 환산해서 비교하였으며,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 따라 x^(2)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교사들이 그룹게임을 계획할 때 가장 중요한 선정기준은 생활주제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교사의 학력별, 경력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룹게임을 교육과정에 통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유아들이 그룹게임을 통해 수개념을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유치원은 그룹게임을 기관에서 제작하고 있었으며, 그룹게임을 실시하는 별도의 영역을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학력별, 경력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기관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는 그룹게임의 유형은 '판을 이용한 게임'과 '카드게임'이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그룹게임과 함께 놀이규칙표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새로운 그룹게임은 1주에 1활동정도 소개되고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그룹게임은 주로 이야기 나누기 시간동안 전체 유아들에게 교사가 시범을 보이는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었고 이는 교사의 학력,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부분의 교사들은 그룹게임 활동에 개입한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이 그룹게임에 개입하는 상황은 주로 유아들이 게임의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유아들이 서로 갈등을 일으키는 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대부분 유아들이 그룹게임을 좋아하는 편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그룹게임의 운영에 대해 교사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상품화된 그룹게임 교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급을 희망하는 교사용 참고자료집의 형태는 '활동 자료집'으로 나타났으며, 그룹게임과 관련된 수업참관이나 교구제작 워크샵과 같은 교사 연수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의 경력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보급을 희망하는 그룹 게임 교구의 유형은 '알아맞추기 게임', '카드 게임', '언어적 지시게임', '목적물 맞추기 게임' 등 비교적 다양한 유형의 그룹게임들이 상품화되어 보급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그룹게임의 운영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기관에서 그룹게임 교구를 구입해 줄 것과 움직임이 큰 그룹게임을 위한 공간 마련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