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찰흙 교수방법에 따른 찰흙활동의 효과 연구

Title
찰흙 교수방법에 따른 찰흙활동의 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Influence of Cla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Authors
원계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찰흙 교수방법찰흙활동찰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hildren were infuluenced through clay in their clay expression, drawing and verbal development by the types of teacher's teaching method. For this purpose, several problems were set up. 1. Is there any differance in clay expression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teacher's teaching method in clay? 2. Is there any differance in drawing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teacher's teaching method in clay? 3. Is there any differance in verbal development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s of teacher's teaching method in clay? For every research problem, it was compared if there were any differances according to the sex of children. The subjects were 5 year old children in one kindergarten that were located in Dorim-dong Seoul. For this research, 76 children were selected at random. 37 children among them were taught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in that clay program which was used in 'Smilansky's previos study' and the rest of children were provided the clay typically. To analyse the clay expression of children analysis bases were adap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were used by Jun Sung-Su. To analyse the drawing of children analysis bases were adap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were used by Lee Kung-Ae. To analyse the verbal development of children Clay Verbs Test and Verbal Enumeration Test were adap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were used 'Smilansky's previous study' . This test was conducted by 3 teachers who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lready got tester discipline for interscorer agreement(Interscorer agreement between testers, .93-1.0). The collected data 72 except 4 were analyzed by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COVA for difference of each group. In general, the findings indicates that 1. Compared to controlled group, the clay express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superior significantl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yween boys and girls of experimental group. Of the 5 subtests, three subtest - 'each part of the body', 'detailed expression of body', 'form of detailed body'- were significant differnt according to two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 three dimentional' and 'movement'. 2. Compared to controlled group, the drawing of experimental group was superior significantl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boys and girls of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3 subtests - 'each part of the body', 'detailed expression of body' and 'movement'.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verbal development in two group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ys and girls of experimental group.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clay verbs test score in two groups and sexes.;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기관의 찰흙활동에 대한 교수방법이 유아의 찰흙 작품의 표현과 인물화 그리기 및 구어능력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찰흙활동에 대한 교수방법에 따라 유아의 찰흙 표현에 차이가 있는가? 2. 찰흙활동에 대한 교수방법에 따라 유아의 그리기 표현에 차이가 있는가? 3. 찰흙활동에 대한 교수방법에 따라 유아의 구어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각각의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도림동에 위치한 ㄷ유치원에 다니는 중산층의 만 5세 유아 76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이중 37명에게는 Smilansky, Hagan, Lewis 의 선행연구(1989) 에서 사용된 찰흙 교수법이 주 3회씩 4주동안 실시되었고, 나머지 39명에게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없이 유아가 선택적으로 활동을 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찰흙이 계속 주어졌다. 유아의 찰흙 표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성수(1991)가 사용한 분석기준을 연구 목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유아의 그리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경애(1988)의 분석 기준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유아의 구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milansky, Hagan, Lewis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신체 부위 명칭에 대한 어휘력 테스트(Verbal Enumeration Test)' 와 '찰흙 관련 용어 이해력 테스트(Clay Verb Test)'을 사용하였다. 검사는 3명의 유아교육 전공자에 의해서 사전, 사후에 한번씩 실시되었다. 이때 검사자간의 일치도를 높이기 위하여 검사자 훈련을 한후 실시되었으며 검사자간의 일치도는 .93 - 1.0 이었다. 수집된 자료들중 검사 일자에 결석을 하였거나 실험이 완료되기 전에 이사를 가서 불완전해진 4명에 대한 자료를 제외한 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test방법으로 분석 비교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의 집단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ANCOV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찰흙 활동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찰흙의 표현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실험집단내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찰흙 작품 표현성의 하부 척도중에서 '신체의 세부적인 표현'과 '세부적인 표현 양식'에서는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입체성', '몸의 각 부분의 표현' 및 '움직임의 표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유아의 찰흙활동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인물화 그리기의 표현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실험집단 내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인물화 그리기 표현성의 세가지 하부 척도 '몸의 각 부분의 표현', '세부적인 표현', '움직임 표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유아의 찰흙활동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어휘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실험집단 내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유아의 찰흙활동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찰흙 관련 용어 이해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실험집단 내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