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교직특성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인식 연구

Title
교직특성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concerning the Rights and Du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Authors
안정모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교직특성유치원 교사권리의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교직의 특성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교직의 특성과 교원의 권리·의무에 대한 인식정도는 공·사립별, 경력별, 학력별의 세가지 변인에 따라 그룹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교직의 전문성과 교원의 권리·의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원장의 인식과는 차이가 있는가? 2. 교직의 공공성과 교원의 권리·의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원장의 인식과는 차이가 있는가? 3. 교직의 근로자성과 교원의 권리·의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원장의 인식과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공립 병설 유치원교사와 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원장 및 교사 184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도구 및 방법으로는 질문지를 통한 조사 방법으로 실행하였다. 사용된 질문지는 백명희에 의해 사용된 질문지를 수정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변인간의 비교를 위해 F검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직의 전문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사립별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공립유치원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경력별·학력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때 유치원교사는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원장도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교직전문인으로서의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사립별, 경력별, 학력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유치원 교사는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원장의 전문인으로서의 권리에 대한 인식은 보통으로 교사의 인식보다 낮았다. 교직전문인으로서의 의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사립별과 경력별에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보통으로 나타난 반면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찬성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경력이 높아질수록 유치원 교사들은 보통에서 찬성하는 쪽으로 더 높게 인식하였다. 전체적으로 유치원 교사는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도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2. 교직의 공공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가지 변인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때 유치원 교사는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원장은 찬성하고 있지만 교사보다는 낮게 인식하였다. 공직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가지 변인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때 유치원 교사는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원장은 보통으로 교사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공직자로서의 의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분석결과, 공·사립별과 경력별에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공립유치원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경력이 10년이상된 교사가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전체적으로 볼때 유치원 교사는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으며 원장도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3. 교직의 근로자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가지 변인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때 유치원 교사는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 원장은 반대로 인식하여 교사보다 낮았다. 교직 근로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가지 변인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때 유치원 교사는 찬성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 원장의 인식은 보통으로 교사보다 낮았다. 교직 근로자로서의 의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가지 변인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때 유치원 교사는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 의미있는 차이는 없으며 원장도 보통으로 인식하였다.;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ttitude and consciousness concerning the rigths and duties of kindergarten instructors which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termined congruent to the realization of the golas set out by the researcher. The goal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sciousness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three variables of public or private, one's career record, one's educational background concerning the rights and duties of kindergarten instru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eaching profession. 1. Does the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congruent rights and duties of being a kindergarten instructor differ according to each variable, furthermore does this differ from the cognitive attitude of the headmaster? 2. Does the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public natu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congruent rights and duties of being a kindergarten instructor differ according to each variable, furthermore does this differ from the cognitive attitude of the headmaster? 3. Does the kindergarten teacher's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labor/wage-earner's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 congruent rights and duties of being a kindergarten instructor differ according to each variable, furthermore does this differ from the cognitive attitude of the headmaster? The subjects of said study were 184 persons including teachers and headmaster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methods and tools utilized for this study were questionnaries and research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revised versions first used by Paik Myung Hee.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underwent the F-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cognition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 a meaningful difference was recognizable in the variable of publicly or privately established kindergartens. Teachers in publicly established kindergartens tended to have a higher level of cogniton than that of techers in privately established kindergarten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one's career record and one's educational background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recognizable. On the whole th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had a positive cogn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and they too generally had a positive cogni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account of the rights as to being a professional instructor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ublicly or privately, one's career record and one's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whole th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had a positive cognition.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on account of the rights as to being a professional instructor was arerage and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recognizable only in the group of publicly or privarely and one's career record established kindergartens regarding the duties which are congruent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eachers in privately established kindergartens was average while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cognition of teachers in publicly established kindergartens was higher and more positive. Furthermore kindergarten teachers displayed that the penchant towards higher consciousness correlated with the work experience or number of years they had in the field. On the whol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had an average cogni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recognizable and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was also average.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cognition regarding the public nature of the kindergarten teacher,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recognizable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n the whole the kindergarten teacher generally had a positive coginition.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The headmaster had a positive degree of cognition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recognizable between the three variables regarding the rights which are congruent to the public natu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On the whole th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had a positive degree of cognition.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was average and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recognizable only in the group of publicly or privately and one's career record established kindergartens regarding the duties which are congruent to the public natu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ers in privately established kindergartens had a higher degree of cognition than teachers in publicly established kindergartens. Furthermore, thos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nence in the teaching profession had the highest degree of cogni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and they too had a positive cognition. 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cognition regarding the labor/wage-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teacher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recognizable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n the whol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had an average degree of cognition.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Kindergarten headmasters had a lower degree of cognition than that of the teacher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recognizable between the three variables regarding the rights which are congruent to the wage-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On the whole th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had a positive degree of cognition.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was average and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recognizable between the three variables regarding the duties which are congruent to the wage-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On the whole the kindergarten teachers had an average degree of cogni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gnition of the headmaster and they too had an average cogn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