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미-
dc.creator박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5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9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9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연한의 정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조망수용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연한 경험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육연한 경험에 따라 조망수용 능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교육연한 경험에 따라 사회적 능력과 조망수용 능력 사이에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시내에서 만 3세, 만 4세, 만 5세 반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한 곳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유치원을 3년 연속으로 교육 받은 만 5세 유아 25명(남아 15명, 여아 10명)과 1년 교육을 받은 만 5세 25명 (남아 14명, 여아 11명), 총 5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Pease, Clark과 Crase(1979)의 Iowa Social Competence Scale : Preschool form중 어머니용 질문지를 교사용으로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조망수용 능력 - 지각조망, 인지조망, 감정조망 수용 검사는 Kurdek과 Rodgon(1975)의 것을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로 얻어진 자료는 t 검증, Person의 적률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연한에 따른 「사회적 능력」은 긍정적 측면 즉 지도력과 유능성에서 [3년] 집단 유아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부정적 측면중, 과민성에서는 [1년] 집단 유아들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2. 유치원 교육연한에 따른 유아의 「조망수용 능력」은 [3년] 집단 유아들이 지각조망 수용능력과 감정 조망 수용능력에서 교육연한 [1년]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3. 유치원 교육연한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조망수용 능력과의 상관에서는 교육연한 [3년] 집단유아들이 [1년] 집단 유아들에 비해 더 많은 상관을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following study themes were diagnosed : 1) What is the differenc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eriod of duration of the kindergarten experience? 2) What is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depending period of kindergarten education? 3)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a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y analyzing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ttended kindergartens for 3, 4 and 5 year olds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districts. Furthermore, 25(15 boys, 10 girls) 5 year olds with 3 years of contimous kindergarten education and 25(14 boys, 11 girls) 5 year olds with 1 year schooling were specified as subjects. In order to measure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 Pease Clark and Crase(1979) Iowa Social Competence Scale: Preschool form was revised. The questionnaire categorized for the parent was translated and revised by Song Na Ree(1992) which was reforumlated for this study. As to the measurement of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were tested by Kurdek and Rodgon(l975)s forma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analyzed throngh t-tests, one-way Anova and Person's (적률상관)coefficien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ocial competence in connection with period of education scored positively higher for the [3] year group and negatively higher for the [1] year group. 2. As for the perspetive taking abilities the [3] year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erning the perceptual perceptive taking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3.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3] year group showed were evident in the acceptance of leadership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capability and apprehension were a close second in positive correlations. The prediction of social skills through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gnitive perspetive taking and perceptual perspetive taking in both 1 year and 3 year grou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치원 교육의 연령 및 교육연한 = 5 B. 유아의 사회적 능력 = 7 1. 사회적 능력의 개념 = 7 2. 사회적 능력의 측정 방법 = 12 C. 사회인지와 조망수용 능력 = 17 1. 지각 조망 수용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 21 2. 인지조망수용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 25 3. 감정적 조망수용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 2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3 A. 연구 대상 = 33 B. 측정도구 = 34 C. 연구 절차 = 39 D. 자료처리 = 43 Ⅳ. 결과 및 해석 = 45 A. 유치원 교육연한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 45 B. 유치원 교육연한에 따른 조망 수용 능력 = 46 C. 유치원교육연한에 따른 사회적 능력과 조망수용 능력과의 상관 = 47 Ⅴ. 결론 및 논의 = 50 A. 논의 = 50 B.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60 부록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380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치원교육연한-
dc.subject유아-
dc.subject사회적 능력-
dc.subject조망 수용 능력-
dc.title유치원교육연한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조망 수용 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Kindergarten Education-
dc.format.pagev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