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선민-
dc.creator이선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구성은 총 5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제2장에서는 수도권규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수도권규제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수도권 규제정책의 의의와 목적, 필요성에 관하여 알아보고, 수도권 규제에 대한 찬반론을 바탕으로 수도권 규제정책의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논문의 분석틀을 마련했고 제3장에서는 수도권규제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의 수도권규제정책 시대별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참여정부의 수도권규제정책의 추진현황과 수도권규제에 관한 입장을 정리하고 외국의 사례를 조사한 뒤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연구하였다. 제4장에서는 참여정부의 수도권규제정책에 관한 분석을 효율성과 형평성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을 해 보고, 참여정부의 수도권규제정책의 개선 방향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 연구의 요약과 함께 한계를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었다. 수도권의 문제는 지역간 불균형발전에서 기인한 것으로, 수도권규제의 궁극적 목표는 국가균형발전이다. 빠른 성장과 양적 팽창을 우선에 두었던 정부의 정책으로 국가 불균형의 양극화 현상이 초래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시정하기 위하여 수도권 규제를 하여왔으나 각종 기능의 수도권 집중현상으로 수도권과밀화와 지방불균형은 더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현행 수도권 규제정책이 비수도권에 미치게 될 영향을 분석하고, 수도권규제정책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살펴본 뒤 참여정부의 수도권규제정책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참여정부의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루어 국가 경쟁력을 강화’라는 국정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과정을 연구하였다. 또한, 올바른 수도권규제정책을 통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균형발전을 선도하고 수도권규제정책의 개선방향을 앞으로의 국가균형발전정책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정부는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효율성 측면에서 수도권 과밀억제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함으로써 수도권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형평성 측면에서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도권의 건전한 발전을 과학적이고 민주적으로 계획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민간부문이 상호 협력하여 관리해 나가야할 것이다. 수도권 규제정책 유지로 행정수도의 이전과 국가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지방이전을 유도하고, 수도권 과밀화를 방지하기 위해 입지규제와 총량제 등 수도권의 거대화로 인한 국가경쟁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방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고 수도권과 지방의 역할 분담을 통하여 상생발전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 결국 전체 국민경제의 성장과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중앙과 지방의 불균형을 벗어나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효율성과 형평성의 관점에서 수도권규제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데에 미약하나마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This study consists of 5 chapters in all. Chapter 1 discussed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while chapter 2 investigated background, significanc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Korean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as a theoretic consideration about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analyzing effects and problems with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on the basis of pros and cons on the regulations. From these preliminary research to form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for this study, chapter 3 reviewed historical changes of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to overview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outlin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and positions about the regulation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assessed implications from overseas cases. In chapter 4,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and equity and explore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Finally, the summary and limi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 chapter 5, as a conclusion. Stemmed from the im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ultimately seek for the balance of the national development. Fast growth and expansion-driven government policies resulted in polarization of national imbalance and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have been implemented in an effort to eliminate such phenomena, but still concentration of various functions on the national capital area is in turn deepening congestion in the Korean national capital area and the im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rom such perspectives,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the current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on other regions in the country, outlined historical changes of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before tackling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of the incumbent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examined the policy process for fulfilling the task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o reduce the congestion in the national capital area and achieve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or sharpen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lead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between the capital area and other regions by means of proper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and suggest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apital area regulations to achiev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or the future. In light of decentraliz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be dedicated to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to control the congestion in the national capital area persist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in the capital area, while in terms of equity, scientific and democratic planning for sound development of the area is needed to be managed in cooperation among and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each region. Under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accomplish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at large and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by promoting the m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capital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o other non-capital regions through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such as location controls and caps, to prevent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from being weakened due to continuous expansion of the capital area and hold back the congestion in the area, increasing investment in other regions and appropriately assigning roles between the national capital area and non-capital regions, as part of win-win strategi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it put emphasis over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capital area regul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efficiency and equity and suggested directions to reach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reduce the imbalance between the capital area and local reg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2장 수도권 규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제1절 수도권 규제 정책 3 1. 수도권의 정의 3 2. 수도권규제정책의 의의 3 제2절 수도권 규제의 목적과 필요성 6 1. 수도권 규제의 배경 6 2. 수도권 규제의 필요성 9 제3절 수도권 규제의 효과 및 부작용 21 1. 수도권 규제의 효과 21 2. 수도권 규제의 부작용 27 제4절 논문의 분석틀 29 제3장 수도권 규제의 현황 31 제1절 우리나라 수도권규제정책의 시대별 변천과정 31 1. 문제인식기(1964~1969) 31 2. 시책형성기(1970~1977) 33 3. 정책추진기(1977~1994) 35 4. 시책전환기(1994년 이후) 48 5. 참여정부의 수도권 규제정책 51 제2절 외국의 수도권 규제 56 1. 프랑스 57 2. 영국 58 3. 독일 59 4. 일본 60 5. 외국의 시사점 62 제4장 참여정부의 수도권규제정책 분석 63 제1절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억제 63 1. 입지규제 63 2. 공장총량제 66 3. 과밀부담금 67 4. 오염총량제 67 제2절 수도권·비수도권간 격차해소 68 1. 대학규제 68 2. 행정수도 이전 71 3. 국가 공공기관 및 공기업 지방이전 72 제3절 참여정부의 수도권 규제정책의 개선방향 74 1. 지역균형발전정책과 수도권정책의 연계 필요성 74 2. 수도권 관리의 기본 방향과 원칙의 정립 75 제5장 결론 77 참고문헌 80 <부록> 83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34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참여정부의 수도권규제정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gulation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dc.creator.othernameLEE, Seon-Min-
dc.format.pagev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