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소미-
dc.creator안소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5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520-
dc.description.abstract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s in Math classrooms is the practical way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t is essential significant students are provided their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earning ability of leaners and their needs. However, most of students are assigned their classes by uniformed test and they are only provided physical change such as moving classrooms. There is subtle difference of existing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vercoming the disadvantage of 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s in Math classrooms from managing Math-Homepage and finding a way to improve student's ability and achievement level in mathematical educations.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1-a.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of high-level classroom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1-b.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of low-level classroom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2. What is the change of scholastic achievement high-level and low-level in experiment group? 3. What response will be given by those who have experienced Math-homepage about their experience?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group of 13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K' Middle School in Ansa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had regular Math class four times a week in school. After that they connected with Math-Hompage and studi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lass and personal level. They can ask their questions to teacher through the Question Room. Before execution of this experiment, the circumstance of using computer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questioned about 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s in Math classrooms. At the last stage of this study, they were given some questions about the experience of using Math-Hompage. Also both group -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 were evaluated each unit which is classified by gra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Low-level classroom showed better achievement as the experiment carried out and the assignment was more difficult. 2. In low-level classroom of experiment group showed better achievement in basic stage and supplementary stage, in high-level classroom of this group showed better achievement in intensive stage and basic stage. 3. As a consequence of analysis this research for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using Math Homepage and the progress of using Homepage Board,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generally positive feedback. Therefore, it seems that management of Math-Homepage connected with 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s in Math classrooms could be an efficient tool to elevated the student's ability and achievement levels in Math classrooms under 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s in math classrooms.;수준별 이동수업은 제7차 교육과정인 수준별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실천적인 방법으로써 교육 현장에서의 획일적인 수업방식을 지양하고, 평준화 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운영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정기고사에 의해 학생들을 두개 반 또는 세 개 반으로 분반하고, 교실을 이동하여 수업한다는 물리적인 환경을 제공할 뿐 기존의 수업과 크게 다르지 않은 형태의 일제식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반의 학생들에게는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동일한 형태의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의욕이나 학업성취가 수준별 이동수업을 하기전보다 높아진다고 보기 어려우며, 상반에서는 중간이하 수준의 학생들에 대한 학습 확인이 부족하여 단지 하반에 비해 학습 진도가 빠르다는 점 외에 각 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업이 제공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반 학생들에게는 수업에서의 기본적인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여 학습 결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재학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하반 내의 중상위권 학생들에게는 기본학습을 실시한 후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상반의 경우도 상반 내의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수업 진도에 따른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수준에 맞는 실질적인 개별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이는 학습량이 늘어남을 의미하며 이러한 학습 활동은 정규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기는 한계가 있다. 이에 서로 다른 수준의 학습 내용을 공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이버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김홍원, 2004, p.7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한 수학 홈페이지의 운영이 상반과 하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수학 홈페이지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학 홈페이지를 운영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 간에는 학업성취 면에서 차이가 있는가? 1-가. 수학 홈페이지를 운영한 실험집단의 하반과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의 하반 간에는 학업성취면에서 차이가 있는가? 1-나. 수학 홈페이지를 운영한 실험집단의 상반과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의 상반 간에는 학업성취면에서 차이가 있는가? 2. 수학 홈페이지를 운영한 실험집단 내에서 상반과 하반의 학업 성취도 변화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한 수학 홈페이지 운영에서 게시판을 통한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본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경기도 안산시 소재 K중학교 2학년 총4개 학급 136명의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개 학급 중 두 개 학급을 섞어서 분반한 상반과 하반을 비교집단으로, 나머지 두 개 학급을 섞어서 분반한 상반과 하반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학교의 정규 수학 수업을 한 주4회는 수학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업진도와 개인별 수준에 맞춰 개별학습하고, 질문방을 통하여 학습 내용을 교사에게 질문하였다. 연구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이용 환경에 대한 기초조사와 수학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교의 수학수업에서 각 단원 학습이 끝나는 시점에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 중, 하 세 수준으로 구성된 단원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수학 홈페이지 이용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학 홈페이지 이용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때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4차에 걸친 단원평가의 결과를 통해서 실험집단의 상반 학생들은 중, 상수준 문제에 대해 높은 학업성취를 보였다. 중수준 문제에 대한 결과에서는 안정적인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한 수학 홈페이지의 운영이 상반 내의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수업에서의 기본 내용을 숙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수준 문제에 대한 결과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이 더욱 높은 학업 성취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상반 내의 중하위권 학생들이 수학 홈페이지 운영을 통해 수업에서의 기본 내용을 숙지한 후 심화단계의 학습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4차에 걸친 단원평가의 결과를 통해서 실험집단의 하반 학생들은 상수준의 문제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중․하 수준의 문제에서 향상된 학업 성취를 보였다. 상반 학생들에 비해 하반 학생들은 학습속도가 느려 단기간에 상승 그래프를 보이진 않았지만 연구가 진행될수록 점점 안정적으로 향상되는 추세를 보였고. 학습과제가 어려울수록 학업성취 효과를 보였다. 중수준의 문제에서는 더욱 높은 학업 성취를 보였는데, 이는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하여 수학 홈페이지를 운영함으로써 하반 내의 중상위권 학생들에게 정규 수업시간에는 다루지 못했던 심화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 기회가 제공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단원평가의 결과를 수준별 문제로 나누어 채점하고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내의 하반 학생들은 중․하 수준의 문제에서 , 상반 학생들은 중․상 수준의 문제에서 각각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반 학생들은 상반 학생들에 비해 학업 성취 효과가 느리게 나타났는데, 이는 하반 학생들의 경우 개별적으로 학습 속도가 느리고 선수학습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 있어서도 수학 홈페이지를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하여 운영함으로써 학습속도가 느린 하반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와 수준에 맞는 학습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한 수학 홈페이지 운영을 경험한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 및 홈페이지에서의 게시판 이용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한 수학 홈페이지 운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상반과 하반 학생간의 학습 속도 차이를 고려해 볼 때, 보다 긴 연구기간동안 학습에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수학 홈페이지에 제시되어 있는 수준별 학습과제와 학습 과정에 대한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질문방에서의 게시판을 통한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학 홈페이지를 운영할 때, 상반에서의 상수준 학생들과 하반에서의 하수준 학생들에 대해서도 각 수준에 맞는 학습과제를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도 효과가 있으리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상반․하반으로 편성한 것에 맞추어 수학 홈페이지에서의 학습 수준을 보충, 기본, 심화의 세 수준으로 나누었지만, 각 학교에서의 수준별 이동수업 편성 방식에 따라 적합한 학습 수준으로 나누고 각각에 맞는 학습과제의 개발을 제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5 A.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 5 1.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요 5 가.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5 나.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7 2. 수준별 이동수업의 의미와 문제점 9 가. 수준별 이동수업의 의미 9 나.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현황 10 3.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관한 선행연구 13 B. 웹을 활용한 수학교육 16 1. 웹기반 교육 17 2. 사이버 공간에서의 학습 18 3. 웹기반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22 4. 웹을 활용한 수학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2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6 A. 연구대상 26 B. 연구일정 27 C. 실험방법 및 절차 29 1. 인터넷 사용에 관한 기초 조사 및 결과 29 2.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설문 조사 및 결과 34 3. 수학 홈페이지의 구성과 운영 과정 43 4. 단원 평가에 의한 학업성취도 검사 50 Ⅳ. 연구결과 및 분석 54 A. 연구문제 1에 대한 분석 결과 54 B. 연구 문제 2에 대한 분석 결과 58 C. 연구 문제 3에 대한 분석 결과 61 Ⅴ. 결론 및 제언 79 A. 결론 79 B. 제언 82 참고문헌 83 부록 85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74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연계한 수학 홈페이지 운영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On the Effect of Using a Math-Homepage in a Differentiated Grade 8 Mathematics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Ahn, ShoMi-
dc.format.pagexi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