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世完-
dc.creator金世完-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66-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the study of the songs in 『The Juvenile』 which was published first by Choi, Nam-sun and represented in the enlightened age, and『 A Collection of the School Songs』,which was authorized by the government of that age. These songs which emerged and spread during this age in Korea are called “Chang Ga”. This enlightened age started from 1894 when “Kab-Oh Revolution” began and ended in 1910 when Japanese began forced occupation, was a trasitional stage which the new culture was crossing over the existing one. “Chang Ga” was a new cultural style which emerged and developed during the enlightened age. This thesis will discuss the essence of “Chang Ga” and how it affected the this enlightened age. The following is the structure of the discussion. In Chapter Ⅱ, the situation of the enlightened age that have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Chang Ga” will be observed. The Cho-sun dynasty was faced with a perilous phase that was caused by the challenge of constantly foreign invasion and the civil war during the la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is period gave rise to a modern consciousness which caused by a reformation of modernization in every nook and corner of that society with “Gob-Oh Revolution”. At this time, the spread of the hymn also gave a direct influence upon the emergence of “Chang Ga”. In Chapter Ⅲ, the “Chang Ga” which was prominent in 『The Juvenile』 published by Choi, Nam-Sun will be discussed,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origin of 7 · 5 melody-song which are most frequently carried in this magazin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beginnings of 7 · 5 melody songs are found the hymns. In 1908, the 7 · 5 melody-song was widespread by putting the lyrics to the rhythm of the song called the <Comin’ thro’ the rye>, a Scottish folk song, wa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7 · 5 melody’s wide-spread popularity and produced lots of other musical works because it interior beauty. In addition, the fact that “Chang Ga” had a illuminating role with the words in 『The Juvenile』 is being discussed. For example the fact that 7 · 5 melody-songs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process of putting words into the rhythm like < Comin’ thro’ the rye> that was a Scottish folk song and was popularized in Japan, has been revealed. And also the fact that 7 · 5 melody was spread so fast and produced lots of works because it has interior beauty is being showed. In addition, the fact “Chang Ga” had a illuminating role through the words of “Chang Ga” in 『The Juvenile』 is being discussed. Lastly in chapter 4, the point that 『A collection of the School songs』 imitated a style of a collection of Japanese songs and the point that that collection was exploited as a tool of Japanese control, are clarified. So the fact tha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gave a great influence on creation of future “Chang Ga” later on; is discovered. And in this collection, because “Chang Ga” shows a human image adjusting itself in that policy, we can discover the fact that the role of “Chang Ga” has follen down to a way to make a Japanese colonial policy firmly since Korea-Japan annexation ;본 논문은 개화기의 대표적 창가라 볼 수 있는 최남선의 『少年』 지창가와 『學部唱歌集』 의 창가에 대한 연구이다. 1894년 갑오개혁부터 1910년 일제강점까지의 개화기는 신(新)·구(舊) 문화가 교차되는 과도기였는데, 창가는 이러한 시기와 한 축에서 발생하여 전개되어간 새로운 문화적 양식이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과의 연계 속에서 창가의 본질에 접근해 가고자 하였다. 논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창가의 발생 배경이 되는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끊임없이 내습하는 외세의 도전과 조선후기의 내부적 모순 속에서 조선사회는 심각한 국면을 맞았는데, 그러는 가운데 갑오개혁을 계기로 근대의식이 발흥하여 근대화를 위한 개혁이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 때 개신교의 찬송가 보급은 창가가 발생하게 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최남선의 『소년』지 창가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소년』지에 많이 나타나는 7·5조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간 연군된 바에 따르면 7·5조 창가는 그 율조가 찬송가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7·5조가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보급되었던 것은 최남선이 1908년 일본에서 스코틀랜드 민요인 <밀밭에서>라는 곡조를 수입하면서 그와같은 곡조의 리듬에 가사를 붙여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년』의 7·5조류(6·5, 8·5조)창가는 스코틀랜드 민요인 <밀밭에서>와 같은 리듬에 가사를 맞추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7·5조의 빠른 보급과 왕성한 제작은 7·5조가 내재적으로 갖는 미학적 성격이 작용했으리라고 생각되었다. 또한, 『소년』지 창가의 가사를 통해서는 창가가 계몽적인 기능을 수행해 나갔다는 것이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일본의 종속 아래에서 간행되었던 『학부창가집』이 일본의 정치적 지배의 영향을 지대히 받아 일본의 창가들을 번안하여 그대로 수록하였다는 점과 우리나라에서 차후의 창가제작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 책에서 창가의 가사는 일본의 식민정책에 순응하는 인간상을 노래하고 있어 결국, 창가의 기능은 한일합방이후부터는 일제의 식민정책의 수단으로 전락하고 말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3 Ⅱ. 개화기 창가의 역사적 배경 = 5 A. 개화기의 시대상황 = 6 B. 근대의식의 발흥 = 9 1. 근대식 언론의 발달 = 10 2. 서구식 교육의 보급 = 13 3. 국문운동의 전개 = 14 4. 기독교의 문화활동과 그 영향 = 15 Ⅲ. 최남선의『소년』지 창가 = 20 A. 최남선 창가의 배경 = 20 1. 최남선의 생애와 문학활동 = 20 2. 최남선의 창가제작 = 22 B.『소년』지 창가와 7·5조 = 23 1.『소년』지 의 창가 = 23 2. 7·5조의 등장 = 26 3. 음악적 측면에서 본 7·5조 창가의 수용 = 31 C.『소년』지 창가의 내용 분석 = 38 Ⅳ.『학부 창가집 』 = 47 A.『학부 창가집』의 간행 과정과 체재 = 47 1. 간행과정 = 47 2. 체재 = 52 B. 일본 창가와의 관련 및 영향 = 56 1. 일본 창가의 개념과 형성과정 = 57 2.『학부창가집』과 일본 창가와의 관련 = 60 3.『학부 창가집』에 미친 일본의 영향 = 64 C.『학부창가집』의 내용 분석 = 74 Ⅴ. 결론 = 80 참고문헌 = 84 영문초록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090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개화기-
dc.subject창가-
dc.subject최남선-
dc.subject학부창가집-
dc.title開化期 唱歌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최남선의「少年」지 창가와「學部唱歌集」의 창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f Songs of the Enlightened Age : Concentrating on the songs of the magazine,「The Juvenile」, published by Choi, Nam-Sun and「A Collection of the School Song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