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남녀평등의식에 기반을 둔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성 분석

Title
남녀평등의식에 기반을 둔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성 분석
Other Titles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Preventive Education on Sexual Harrassment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uthors
김미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직장 내 성희롱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1993년 ‘서울대 조교 성희롱 사건’ 을 계기로 성희롱 문제가 인권의 침해로 인식하던 차원에서 고용환경의 문제까지 인식되게 되었으며, 1999년 남녀고용평등법과 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에 성희롱을 금지하는 조항과 이에 관련된 사항들이 명시되면서 사업주에 대해 성희롱 예방 교육이 의무로 부과되었다. 성희롱 예방교육이 법으로 의무 시 되었지만, 성희롱 예방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면 법을 어기지 않기 위해 형식적으로 시행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성희롱의 발생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볼 때 성희롱의 주요 발생원인은 남녀 간 성차별의식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남녀평등의식에 바탕을 두지 않은 기존의 성희롱 예방교육은 효과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성희롱 예방교육에 있어서 남녀평등의식에 바탕을 둔 예방대책이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지만 남녀평등의식에 바탕을 둔 성희롱 예방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성희롱 예방교육을 시행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돌려서 남녀평등의식에 바탕을 둔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였을 시의 효과성과 현행의 성희롱 교육의 효과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한 기관 직원 210명, 남녀평등의식에 바탕을 둔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한 기관 직원 20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수용태도변화, 관행태도 변화, 성차에 대한 고정관념, 성희롱에 대한 고정관념, 교육효과 항목의 신뢰성 검증에서 높은 신뢰성을 보였으며, 가설설정이 적절하게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요인들은 중요한 변수로 판단되었다. 가설검증 결과를 정리해보면 교육내용의 수용태도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교육과 남녀평등 의식에 기반한 성희롱 예방 교육 모두 응답자가 소속한 집단의 구조 개선문제, 본인의 행동 반성 문제 등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성차에 대한 관행태도 부분에 대해서는 남녀평등의식에 기반한 교육이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교육보다 ‘승진 시 남녀차별’, ‘업무 배치에서의 남녀차별’ 부분에 좀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부장적 사회구조’가 아닌 ‘양성평등’의 주제로 다가갔을 때, 성차에 대한 기존의 관행적인 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성차에 대한 고정관념 부분에서는 남녀평등의식을 주제로 교육을 실시한 기관의 응답자들이 일반적인 교육을 실시한 기관의 응답자들보다 성차에 대한 고정관념에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직업문제와 유산문제 등은 가부장적 사회구조와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부분으로 ‘양성평등’의 주제로 풀어갈 때 해결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성희롱 고정관념, 즉 성희롱 발생 원인에 대한 부분에서는 남녀평등의식을 주제로 교육을 실시한 경우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 교육과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성희롱 예방 교육을 실시한 기관의 응답자들은 성희롱이 직장생활과 관련된 부분과 발생 원인을 연관시키고 있으나, 남녀평등의식을 주제로 교육을 실시한 기관의 응답자들은 사회 일반의 관념적 문제와 성희롱 발생 원인을 연관지어 판단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관점의 차이에 따라 교육 효과는 매우 달라 질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같은 사람’으로써 그리고 ‘사회 구조적인 관념’ 부분에서 성희롱에 대한 문제를 접근 했을 때, 가부장 문화나 경직된 조직문화, 피해 부분 등에 대한 인식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기존 성희롱 예방교육 효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녀평등의식에 바탕을 둔 성희롱 예방교육이 필요함을 검증하였다고 할 수 있다.;As women actively make their way into the social activities, sexual harrassment in the workplace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issue. The 1993 incident involving a male professor and a female assistant 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touched off the awareness of poor working environment, a step forward from considering sexual harrassment as human rights infringement. Then, in 1999 as provisions of sexual harrassment prevention and related articles were specified in the Sexual Equality Employment Act and the laws relating the preven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remedies, conducting preventive education on sexual harrassment was required by law to the business owners. While the preventive education on sexual harrassment is required by law,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shows that it is conducted for the sake of formality in order not to breach the law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auses of sexual harrassment reveal that a main cause of it is sexual discrimin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existing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harrassment, which is not based on gender equality, may not be effective. To be sure, the previous studies suggest the need for the preventive measures based on gender equality. However, the studies on its effectiveness is nonexistence.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at the workplace, which have conducted the preventive education on sexual harrassment,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their employees. By doing so, it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reventive education on sexual harrassment and the one based on gender equality. This study questioned 210 school faculties for the general sexual harrassment eduction and 91 workers in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for the one based on gender equality. Study results show that high reliability was found in the items such as changes in the attitude toward acceptance, changes in the attitude toward practices, stereotype of sexual harrassment, and education effectiveness, and the analysis factors to identify that the hypothesis is properly established were divided into four and each factor was determined as a major parameter. Hypothesis verifies that in acceptance attitude toward the education contents, respondents underwent the positive changes in activities such as structural reform of their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reflection on their own attitude for both general and gender equality based sexual harrassment educations. In the attitude toward practices, the education based on gender equality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one in terms of "sexual discrimination in promo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in task deployment". When the education approaches the employees with a subject of "gender equality" rather than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existing attitude toward practices is high. In the stereotype of sexual discrimination, respondents who were subject to the education based on gender equality rather than the general one demonstrated that they experienced a big difference. Especially issues such as job and inheritance of family wealth are closely related to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so it is suggested that such issues can be solved with a subject of "gender equality". In the stereotype of sexual harrassment, i. e. the cause of it, results of the education based on gender equality and the general one show the differences. Respondents subject to the general sexual harrassment education relate the factors of working life to the cause, and respondents participating in the one based on gender equality tend to link the general social notion to the cause. In conclusion, it is verifi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difference in the viewpoints. When the education approached the employees with the sexual harrassment issue in terms of "as a same human" and "the notion of social structure", there were major changes in the awareness of patriarchal culture, rigid corporate culture, and damage.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harrassment based on gender equality is required to address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preventive education of sexual harrass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