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설측 경사된 하악 제2대구치 직립시 고정원의 연결강선 길이에 따른 간접 골성 고정원의 효과

Title
설측 경사된 하악 제2대구치 직립시 고정원의 연결강선 길이에 따른 간접 골성 고정원의 효과
Other Titles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s with indirect anchorage system for lingually tilted lower second molar
Authors
김은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설측 경사된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을 위해 교정용 미니임플란트(이하 미니임플란트라 함)를 이용함으로써 치료방법이나 설계가 단순해지고 원하지 않는 치아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직접 적용방법과 간접 적용방법이 있다. 간접적용방법은 치아와 미니임플란트를 하나의 고정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미니임플란트의 상부구조에 연결하는 부착물(attachment)의 종류나 설계도 다양하며 식립부위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1대구치와 미니임플란트를 하나의 고정원으로 사용하는 간접 적용방법을 이용하여 설측 경사된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을 시도하였으며 미니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의 변화로 달라지는 연결강선의 길이 증가에 따라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과정에서 나타나는 치아이동양상을 비교, 관찰하였다.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과정에서 나타나는 개개 치아이동 양상을 Calorific Machine^(?)(국내특허번호; 178105 Ewha women Univ., Seoul, Korea)과 치아모형의 3차원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Rapidform 2004™(아이너스기술,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인공치조골부에 하악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등 4개의 실험용 치아를 식립하고, 미니임플란트를 식립하지 않은 1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고정원으로 하악 제1대구치로 사용하되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나머지 세 실험군은 미니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사이,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사이, 제1소구치 근심에 각각 식립하여 이들을 각각 2,3,4 군으로 하였다. .014″(이하 014 로 표기) NiTi, 016 NiTi, 018 NiTi, 016×016 NiTi, 017×025 NiTi, 017×025 SS 호선을 순서대로 삽입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각 군마다 5회씩 반복하였다. 실험 전후에 모형을 1mm 단위의 Computer Tomography(이하 CT 라 함)로 촬영하였고 이를 V-Works 4.0™(사이버메드,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한 후, 모형에 식립된 표지점을 기준으로 Rapidform 2004™를 이용하여 중첩하였다. 실험 전후 치관 및 치근에 부착한 금속구(metal marker)의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X축 변위(수평변위), Y축 변위(수직변위), Z축 변위(전후방변위)를 계측하였다. 실험전후의 개개 치아 이동량의 차이는 ANOVA 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상의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설측 경사된 하악 제2대구치 직립시 고정원 치아인 하악 제1대구치는 연결강선의 길이가 가장 짧은 경우 가장 안정적이었으며, 미니임플란트를 식립하지 않은 경우 이동량이 가장 컸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teeth movement for uprighting lingually tilted lower second molar using the indirect anchorage system.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Calorific machine system^(?) and the Rapidform 2004™. The experimental teeth were embedded in lower artificial posterior segment in dental arch of the Calorific machine^(R). The brackets were bonded to the experimental teeth and arch wires are placed from 014 NiTi to 017*025 SS which were using in aligning the teeth until teeth movement was not observed any more.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s following : Group 1, without miniscrew : Group 2, a mini-implant placed between the 2nd premolar and the 1st molar : Group 3, a mini-implant placed between the 1st premolar and the 2nd premolar : Group 4, a mini-implant placed in the mesial side of the 1st premolar. Three-directional teeth displacements were measured in each group with superimposition of pre and post-experiment in the Rapidform 2004™. Each experiment was repeated five time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ANOVA at p < .05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movement of the lower first molar, an anchor tooth was found as the length of connecting wire decreases. 2. All teeth showed extrusion ,which i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3. The longer the connecting wire is, the more movement in the lingual tilted 2nd molar is found. 4.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he tilted 2nd molar movement between the group 2 and group 3.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lingual tilited 2nd molar can be easily uprighted with the indirect anchorage system. However, it is more effective whe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wire is as short as 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