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식사패턴별 사회 경제적 특성 및 혈액 성상 비교 연구

Title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식사패턴별 사회 경제적 특성 및 혈액 성상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blood profiles according to dietary pattern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uthors
김하나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ackground: Diet is a potentially risk factor for diabetes mellitus. Dietary patterns may exert greater effects on health than individual foods, nutrients or food groups.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fine dietary patterns in the representative diabetes mellitus and to explore their association with other factors. Method: A stratified random population sample of 350 subjects (167 male, 192 female) was recruited. We assessed socioeconomic, lifestyle factors and food consumption by a 24-hr recall method. We investigated fasting blood glucose (FBS), hemoglobin A1c (HbA1c), lipid profile. Food items from the diet records were aggregated into 19 food groups before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Four dietary patterns emerged from factor analysis with different factor score. Cluster analysis using factor scor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sults: We identified 3 major dietary patterns. The first cluster(n = 174) was characterized with high consumption of milk and meats so determined as "Milk and Meats". The second cluster(n = 76) was characterized with high consumption of eggs, wheat flours and fruits so determined as "Eggs and Wheat flours". The third cluster(n = 100) was characterized with high consumption of other grains, legumes, seeds and nuts, vegetables and fishes seashells so determined as "Healthy". The "Milk and Meat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lder age, occupation, diabetes mellitus duration and treatment duration. Major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assessed by NAR(Nutrients Adequacy Ratio) and MAR(Mean Adequacy Ratio) of the three dietary patterns were compared. Mean energy intakes of three groups were 1925, 2144, 1969 kcal in "Milk and Meats", "Eggs and Wheat flours" and "Healthy" respectively. The "Healthy" had the highest MAR of fourteen nutr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sulin, c-peptid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by pattern groups. The "Healthy" had lower levels in fasting blood glucose (FBS), hemoglobin A1c (HbA1c). Conclusions: There were three distinctive patterns that were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nutrient intake, and blood profile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Healthy" was positively associated diabetes mellitus. A dietary pattern characterized by frequent consumption of other grains, legumes, seeds and nuts, vegetables and fishes seashells intake may be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developing a diabetes mellitus. The conclusion could be made that dietary pattern analysis in a valuable method for assessing dietary intakes to explain diabetes mellitus.;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주요한 식사 패턴을 분석하고 식사 패턴에 따른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족형태, 직업 등 사회 경제적 특성, 영양소 섭취 실태, 그리고 혈액 성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5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서울 소재 대학 병원의 당뇨병 센터를 내원한 환자 중 초진환자와 재진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식사교육을 받은 남자 165명, 여자 185명으로 총 35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추출된 19가지 식품군의 섭취 빈도를 이용하여 요인 분석 방법 중주성분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나타난 요인 점수를 다시 군집 분석의 하나인 K- 평균 군집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추출된 식사 패턴에 따른 사회 경제적인 특성, 체위, 혈압, 영양소 섭취 상태, 혈액 성분 등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세 가지의 주요한 식사 패턴이 추출되었다. 우유 및 유제품류와 육류의 섭취가 높은 “우유와 육류 패턴군”에서는 다른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연령이 높았고, 유병기간과 치료기간이 다른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다. 일일 영양소 섭취량을 평균 필요량의 백분율로 산출한 결과 에너지, 비타민 E, 비타민 B2, 엽산의 백분율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126 mg/dL 이상 고혈당군 비율과 8% 이상 당화 혈색소의 비율이 다른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난류, 밀가루 제품류의 섭취가 높은 “난류와 밀가루 패턴군”에서는 다른 패턴 군보다 유의하게 연령이 낮았고, 경제적인 활동을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열량, 탄수화물,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다른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고, 엽산의 백분율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126 mg/dL 이상 고혈당군의 비율이 “건강식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채소류, 두류, 종실류, 어패류, 잡곡류의 섭취가 높은 “건강식 패턴군”에서는 다른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경제적 활동을 적게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고, 비타민 A, E, C, B1, B2, B6, 나이아신, 엽산, 칼슘, 인, 철분 섭취량이 다른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다른 패턴군과 달리 식사의 전반적인 질을 반영하는 평균 적정 섭취비율(mean adequacy ratio, MAR)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공복 혈당이 109 mg/dL 미만 정상군과, 110 - 125 mg/dL 고혈당군에서 다른 패턴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된 “우유와 육류 패턴군”과 “난류와 밀가루 패턴군”은 “건강식 패턴군”보다 당뇨병 환자의 기본적 혈액검사인 공복혈당과 당화 혈색소의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고, “건강식 패턴군” 은 다른 패턴군과 달리 식사의 전반적인 질이 높게 나타났고, 공복 혈당과 당화 혈색소의 수치가 낮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여 당뇨병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건강식 패턴군”이 바람직 하리하고 생각된다. 또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사 패턴 분석 방법은 식사 전체의 경향을 다루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 개인에 따른 적절한 식사 지침을 마련하는 데에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되어지며, 앞으로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에서 식사 패턴 연구는 더 많은 대상자와 지역, 연령, 계층에 따라 더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