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새로운 면역 지표로서 혈중 soluble CD30 농도의 의의

Title
새로운 면역 지표로서 혈중 soluble CD30 농도의 의의
Other Titles
Pre-transplant serum soluable CD30 level; Correlation with pannel reactive antibodies and lymphocyte cross matching
Authors
이유은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erum level of soluble form CD30 (sCD30), a marker for T helper 2-type cytokine-producing T cells, is used as a marker of immunologic status of pre-transplant recipient that can predict graft rejection and graft survival. This study compared pre-transplant serum sCD30 levels with conventional pre-transplant immunologic parameter, such as results of panel-reactive antibodies (PRA) and lymphocyte crossmatching (LCM). Eighty-four adult (more than 20 years old) patients enrolled this study. The blood for immunologic parameter tests was sampled in same time. Measurement of serum sCD30 level was perform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Bender MedSystems, Co. CA, U.S.A.). We tested PRA using a commercially ELISA kit (Lambda Cell Tray Lymphocytotoxicity assay)(One Lambda Inc. CA, U.S.A.). And we established T cell by Modified NIH(National institute center of health)/Johnson's Method/AHG(Anti human globulin), and B cell by warm test. Mean score of sCD30 was 84.50 ± 38.67 U/ml, ranged from 12.21 to 194.66 U/ml. The sCD30 level of elderly(more than 50 years old) was 70.36 ± 6.63 U/ml,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younger patient (91.96 ± 5.18)(p=0.014). The result of LCM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f sCD30 level (39.33 ± 8.58 U/ml in LCM positive group versus 38.32 ± 5.65 U/ml in LCM negative group, p=0.248). And high sCD30 (more than 86 U/ml) could not predict the positive result of LCM.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sCD30 to LCM was merely 24.3% and 60.0% (p=0.133).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D30 level and PRA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um sCD30 level and conventional immunologic parameter such as PRA and LCM results. These results show the necessity of the pre-transplant monitoring of the sCD30 level as an independent immunologic parameter.;이식 전 수여자의 면역 상태를 측정하는 것은 급성 거부 반응을 예방하고, 이식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를 위해 공-수여자간의 면역학적 감작정도(sensitization)을 측정하는 림프구 교차반응(lymphocyte crossmatching)과 수여자의 면역학적 상태(immunologic status) 혹은 감작 정도를 확인하는 PRA(panel reactive antibody) 검사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CD4, CD8+ T 세포에서 분비되어 Th1/Th2간의 반응을 조절하여 T 세포의 활성화 지표로 알려진 혈중 soluble CD30(sCD30)의 농도가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혈중 sCD30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식신 생존율이 낮았으며, 급성 거부 반응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혈중 sCD30 농도는 기존의 검사와 함께 병행하여 시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검사결과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이식을 계획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 전 면역상태, 혹은 감작 상태의 지표로서 혈중 sCD30 농도와, PRA 검사, 공여자와의 림프구 교차반응검사를 시행함으로서 각 검사 결과간의 상관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식을 준비 중인 20세 이상 성인 84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한 혈액채취는 동일한 시간에 이루어졌으며, 혈중 CD30 농도는 sCD30 ELISA kit (Bender MedSystems. Co. CA, U.S.A.)로 ELISA 방법으로 측정하며, PRA 검사는 screening PRA 검사법으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인 Lambda Cell Tray Lymphocytotoxicity assay(One Lambda Inc.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림프구 교차반응 검사는 T 세포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기 위하여 Modified NIH(national institute center of health)/Johnson's Method, AHG(anti human globulin) 방법과, B세포에 대한 항체 검사로 warm 항체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여자의 sCD30은 12.2U/ml에서 194.7U/ml이었으며, 평균 sCD30은 84.5 ± 38.7U/ml 이었다. 50세 이상 환자의 sCD30 농도는 70.4 ± 6.6U/ml로 50세 미만 환자(92.0 ± 5.2)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p=0.014), 회귀 분석상 연령과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p=0.116). LCM 양성군의 sCD30 농도는 78.2 ± 8.58 U/ml 이었으며, LCM 음성군의 sCD30 농도는 90.0 ± 5.65 U/ml 로서 LCM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p=0.248). 혈중 sCD30 농도에 따라 LCM을 예측할 수 있는 예민도는 42.9%, 특이도 39.1%, 양성 예측도 24.3%, 음성 예측도 60.0%로, 두 검사간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133). PRA 역시 양성군의 sCD30 농도는 86.1 ± 8.7U/ml로서 음성군의 82.5 ± 7.0 U/ml와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52). 또한 혈중 sCD30으로 PRA을 예측할 수 있는 예민도는 80.0%, 특이도 55.6%, 양성 예측도 36.0%, 음성 예측도 64.5%로 역시 두 검사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594). 혈중 sCD30 농도는 이식대기자의 면역학적인 감작정도를 나타내는 기존의 PRA 검사나 림프구 교차반응 검사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이식대기자의 면역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면역학적 지표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