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혈액투석 환자의 빈혈치료에 있어 epoetin alfa와 darbepoetin alfa의 효과 및 약품비용 비교

Title
혈액투석 환자의 빈혈치료에 있어 epoetin alfa와 darbepoetin alfa의 효과 및 약품비용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for the treatment of renal anemia in hemodialysis patients
Authors
남수연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신성 빈혈은 말기신부전 환자의 주요한 합병증으로 신기능 부전에 의한 내인성 erythropoietin 생성부족이 일차적인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rythropoietin은 조혈작용을 조절하는 내인성 호르몬으로 신장에서 분비되어 골수에서 적혈구의 성숙을 자극한다. 1985년 human erythropoietin에 대한 유전자 배열이 확인되어 유전자 재조합 erythropoietin 제제인 epoetin alfa(epoetin)가 생산됨에 따라 만성신부전에 동반된 빈혈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Epoetin은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헤모글로빈 농도를 증가시켜 수혈의 필요성을 줄이고 빈혈과 관련된 증상들을 개선시키는 등 신부전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2001년에는 반감기를 연장하여 투여횟수를 감소시킨 darbepoetin alfa(darbepoetin) 제제가 개발되어 국내에서는 1992년부터 epoetin을, 2004년부터 darbepoetin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의 빈혈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epoetin과 darbepoetin의 투여시작 후 3개월간의 사용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고 두 제제간의 효과 및 약품비용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두 군에서의 hemoglobin 반응율을 분석하였다. 최소 3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약물 모두 피하 주사로 투여되었으며, epoetin 은 주 2-3회, darbepoetin 는 주 1회 투여되었다. 두 약물의 주당 투여량은 epoetin 9,077 ± 1,631 U/주 , darbepoetin 44 ± 11 μg/주 으로 dose only ratio가 206 : 1 이었다. 체중당 주당 투여량의 경우 epoetin 151 ± 38 U/주/kg, darbepoetin 0.78 ± 0.22 μg/주/kg 으로 dose only ratio가 194 : 1 이었다. 평균 1회 투여량은 epoetin 4,029 ± 163 U, darbepoetin 51.86 ± 10.15 μg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epoetin 또는 darbepoetin을 투여 받기 전의 hemoglobin의 평균 농도는 각각 8.61 ± 0.98, 8.92 ± 1.37 g/dL 이었다. 치료 4주 후의 hemoglobin의 평균 농도는 각각의 군에서 9.95 ± 1.27, 9.86 ± 1.39 g/dL 이었고 8주 후에는 hemoglobin의 평균 농도가 각각 10.75 ± 1.12, 10.31 ± 1.10 g/dL 12주후에는 hemoglobin의 평균 농도가 각각 11.18 ± 1.23, 10.70 ± 1.00 g/dL으로 점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약물을 투여하기 전부터 치료 기간 동안의 hemoglobin 변화량은 epoetin 군은 4주 후 1.35 ± 1.32 g/dL, 8주 후 2.15 ± 1.59 g/dL, 12주 후에는 2.57 ± 1.72 g/dL이었고 darbepoetin 군은 4주 후 0.94 ± 0.98 g/dL, 8주 후 1.39 ± 1.25 g/dL, 12주 후에는 1.78 ± 1.28 g/dL이었다. Epoetin 군의 hemoglobin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치료 4주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8주, 12주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Hemoglobin 반응률은 4주 후에는 epoetin 군과 darbepoetin 군에서 각각 48%(15/31), 53%(17/32)으로 나타났다. 8주 후에는 71%(22/31), 63%(20/32)이었으며 12주 후에는 84%(26/31), 78%(25/32)로 epoetin 군이 더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치료 목표치 달성도는 4주 후에는 epoetin 군과 darbepoetin 군에서 각각 26%(8/31), 22%(7/32)였다. 8주 후에는 42%(13/31), 25%(8/32)이었으며 12주 후에는 61%(19/31), 41%(13/32)로 epoetin 군이 더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epoetin은 주 2-3회, darbepoetin은 주 1회 투여되었으며hemoglobin 상승에 대한 효과는 투여 8주, 12주 후에 epoetin 군의 hemoglobin 변화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hemoglobin 반응률이나 치료목표치 달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평균 투여량을 기준으로 약품비용을 분석한 결과 darbepoetin 군이 3-10%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Background. Anemia is a common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nemia in this patients population develops primarily due to a deficiency in endogenous erythropoietin production by inadequately functioning kidneys. Epoetin alfa is genetically form of endogenous erythropoietin that has become the standard of care for erythropoietic support in renal anemias. Darbepoetin alfa is currently marketed for the treatment of anemia. Darbepoetin alfa is a modified version of epoetin alfa that has a significantly longer serum half-life. The decreased clearance of darbepoetin alfa allows this drug to be administered less frequently than epoetin alfa.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osing patterns, hematologic outcomes, and drug cost with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in anemic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with anemia treated with epoetin alfa or darbepoetin alfa. Results. Mean baseline hemoglobin level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Mean weekly doses were epoetin alfa 9,077 ± 1,631 U and darbepoetin alfa 44 ± 11 μg. Administration frequency was 2-3 times per week in the epoetin alfa group and once weekly in the darbepoetin alfa group. The mean changes in hemoglobin from baseline at weeks 4, 8, and 12 were 1.35 ± 1.32, 2.15 ± 1.59, 2.57 ± 1.72 g/dL in the epoetin alfa group and 0.94 ± 0.98, 1.39 ± 1.25, 1.78 ± 1.28 g/dL in the darbepoetin alfa group. Thi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weeks 8 and weeks 12. (P < 0.05) Hemoglobin responses (≥ 1 g/dL increase) was less common with epoetin alfa than darbepoetin alfa at weeks 4 (48% vs 53%) and more common at weeks 8 (71% vs 63%), weeks 12 (84% vs 78%). Patients achieving target hemoglobin were more common with epoetin alfa than darbepoetin alfa at weeks 4(26% vs 22%), weeks 8(42% vs 25%), and weeks 12(61% vs 41%). Based on the doses used in this study, the weekly drug cost for darbepoetin alfa was 3-10% higher than that epoetin alfa. Conclusion. Epoetin alfa treated patients experienced a significantly greater mean changes in hemoglobin from baseline at weeks 8 and 12. Hemoglobin responses and proportion of patients achieving target hemoglobin were greater in the epoetin alfa group than darbepoetin alfa group. But this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