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상님-
dc.creator한상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5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51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극화가능한 단원을 극화하여 아동들 스스로 무대를 꾸미고 의상을 제작하며 효과 음악을 선택하는 등 적극적인 작업과정을 중요시하고 자연스런 대화요법을 중심으로 실시한 극화활동이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동의 극화활동이 자아개념 형성에 어떤 관계가 있나? 2. 극화활동을 한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국민학교 3학년 아동 88명이다. 아동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극화활동을 10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대로 시행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에 사용된 자아개념 경사는 정 원식에 의하여 표준화된 검사지로 총 10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소득점수의 평균차에 대한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극화활동을 한 아동의 집단이 하지 않은 아동의 집단보다 개인의 전체적인 자아 존중감을 나타내는 총 자아긍정 점수와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며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자아수용 점수가 각각 P<.05에서 유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항상성 및 안정성을 나타내는 변산성 점수와 자아평가 점수, 분포 점수에서는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극화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아동의 자아개념의 형성은 성별간에 있어서 여아가 남아보다 성격적 자아와 가정적 자아 점수에서 유의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5).;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formation and children's dramatic activities . Following questions were given for this purpose. 1. What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dramatic activities and self-concept formation? 2. Are self-concept formation processes different between boys and girls?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88 in K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children. (Girls: 43. Boys: 45).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 In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had dramatic activities .in the control group , But Children had no dramatic activity. Experimental procedures are prat est ,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he self-concept test Cool was used for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hich is consisted of 100 items, standardized by Won Shik Chung. In analysis of data,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Experimental group childrens a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childrens in the total points of self-affirmation, self-acceptance. (P<.05). And variable scores do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results of dramatic activities leflected in children's self concept formation, girls showed higher score in personal self and family self than boys. (P<.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2 C. 가설의 설정 = 2 D.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자아개념의 정의 및 발달이론 = 4 B. 극화활동 = 15 C. 극화활동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 2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6 A. 연구의 대상 = 26 B. 측정도구 = 27 C. 연구절차 = 28 D. 극화내용 = 32 E. 분석방법 = 3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4 A. 아동의 극화활동과 자아개념 형성과의 관계 = 34 B. 아동의 성별의 차 = 36 Ⅴ. 결론 및 논의 = 39 참고문헌 = 42 부록 = 47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14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극화활동-
dc.subject자아개념-
dc.title아동의 극화활동과 자아개념 형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dramatic activities and self- concept formati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