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6 Download: 0

요통군과 비요통군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차이

Title
요통군과 비요통군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s about Nursing Practice Activity, Working Environment, Body Mechanic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Low Back Pain Group and No Low Back Pain Group in ICU Nurse
Authors
유남순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요통은 전체인구의 80% 이상이 일생 중 한번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서 요추부위에 나타날 수 있는 동통증후군을 광범위하게 표현하는 용어이며, 간호직은 직업성 요통이 빈발하는 20개 직업 중 하나이다.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는 주로 서서 근무하고 보행양이 많으며 누워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하므로 신체역학에 반대되는 동작을 행하기 쉽고 직무스트레스도 크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발생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요통과 요통발생 관련요인으로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06년 5월 9일부터 2006년 5월 25일 사이에 서울시내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8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2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도구는 요통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였으며, 간호업무활동과 작업환경은 박미희(2003)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신체역학은 이현주(2002)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5)이 개발하고 박춘화와 고효정(1999)이 수정 보완하여 만든 55문항을 이용하였고, 직무만족도는 미네소타 산업관계 연구소에서 개발하고 이상금(1996)이 번역해서 사용한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요통관련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급성요통군, 만성요통군, 비요통군간의 요통관련 특성과 요통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실수, 백분율, chi-square 검정, Fisher’s exact test, t-검정, ANOVA, Scheff 검정을 시행하였다. 세 그룹간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검정, Fisher’s exact test, ANOVA, Scheffe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세 그룹간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ANOVA, Scheffe 검정을 시행하였고, 세 그룹간의 요통강도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총대상자는 238명으로 이들의 요통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28.9세, 키는 161.1cm, 몸무게는 52.6kg, BMI는 20.29kg/m²이고,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가 93.3%이고, 요통의발생시기는?중환자실 근무 후?가 81.7%로 가장 높았다. 2) 급성요통군, 만성요통군, 비요통군간의 요통관련 특성의 차이 중 근무형태는 3교대 근무가 급성요통군은 91.2%, 만성요통군은 98.8%, 비요통군은 85.0%로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8). 급성요통군과 만성요통군의 요통강도는 각각 평균 4.19점, 평균 5.7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 3) 세 그룹간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의 차이는 간호업무활동 중 평균 체위변경횟수는 급성요통군, 만성요통군, 비요통군 각각 9.57회, 13.57회, 7.16회이며(p = .012), 구강간호횟수는 4-6회 미만이 급성요통군은 7.4%, 만성요통군은 20.7%이나 비요통군은 0%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12). 세 그룹간의 작업환경과 신체역학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세 그룹간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무만족도는 급성요통군이 만성요통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015). 5) 세 그룹의 요통강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급성요통군 (r= -.390, p= .000), 만성요통군(r = -.313, p = .006), 비요통군(r = -.700, p = .001)의 모든 그룹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간호업무활동 중 체위변경횟수와 구강간호횟수는 요통군이 비요통군보다 많아서 요통과 관련이 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요통강도,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으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미 선행연구에서 알려진 것처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만 서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골격계 부담 작업 부서인 중환자실에 간호사를 배치하기 전 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해야하며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low back pain ICU nurses' and its risk factors including nursing practice activity, working environment, body mechanic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nsity of low back pa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collected data from 9, May, 2006 to 25, May, 2006 using organized questionnaires to 238 ICU nurses working in 8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eng-gi Province. The tools were used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practice activity, working environment and body mechanics to assess the degree of low back pain, an organized questionnaires to assess job stress, and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s to assess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 SPSS 12.0., and figured out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OVA, Scheff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 1) The mean age was 28.9, height 161.1cm, weight 52.6kg, BMI 20.29kg/m² and 3-shift work 93.3%. The onset of low back pain is "after working in ICU ", answered highest 81.7%. 2) Among the factors, 3-shift work factored acute back pain group 91.2%, chronic back pain group 98.8% and no back pain group 85.0%, showing correlation(p =.008). The average degree of back pain of acute back pain group and chronic back pain group was 4.19 and 5.77,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p = .000). 3) Nursing practice activity among acute back pain group, chronic back pain group and no back pain group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verage time of position change was 9.57, 13.57 and 7.16(p = .012). For the oral hygiene frequency under 4-6 times, acute back pain group was 7.4% and chronic back pain group was 20.7% and no back pain group was 0% 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p=.012). Working environment and body mechanics of these thre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4)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tress among three groups and for job satisfaction, acute back pain group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chronic back pain group(p=.015). 5) The relation of the degree of back pa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ree group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all groups - acute back pain group(r=-.390, p=.000), chronic back pain group(r=-.313, p=.006) and no back pain group(r=-.700,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rom nurses' nursing job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units, the frequency of changing the posture and that of oral hygiene were related to back pain. And although was expected a relation among the degree of back pai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ut it showed that there was relation among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