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비평적 탐구 감상학습을 위한 교수매체 연구

Title
비평적 탐구 감상학습을 위한 교수매체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Instructional Media for Critical Inquiry Appreciation Learning : High school 1st grade
Authors
오윤선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A new point of view is required in appreciation of Post-modern Art to find out a true meaning of works of art. This innovative concept is strongly related to an idea of pursuing newness which is one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Ar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art appreciation focused on the idea transformation by applying a critical research method for critical appreciation of the Post-modern Art. Instruction Media refers to a product of all communication revolutions used to convey the essential elements of teaching activity to students including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Today, instruction media are considered as a comprehensive and overall concept which includes people, messages, environment and facilities, along with audio-visual materials and textbooks. Art appreciation is one of the basic factors in art education and art criticism is an essential part of art appreciation. The usage of criticism in art appreciation could be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selection and accommodation of appropriate information in society. In today's society where the images are overflowing, it could also contribute to developing Visual Literacy in selecting and accommodating the righteous value of various images. The art reflecting the flow of the time should have instructional methods of appreciation according to its various styles. In this study, the appropriate models and works of art are proposed for appreciation as a whole to read the intricacies, apart from partial and formal appreciation method as a circulatory and inquiring appreciation attitude base on the Critical Inquiry originated from Dewey's Reflective Thinking. This Critical Inquiry is closely related to constructivism. Therefore, it could be speculated that these Critical Inquiry parallels with the study of constructivism. Hence, if the Critical Inquiry and study of constructivism is effectively connected and proposed of teaching method for art appreciation, it would enable more concise and intricate appreciation and critical classes. I expect that the application of contemporary art into education fields would be activated more intensively for the art to be realized within human life and educated as a subject for appreciation.;21세기 사회는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문화를 향유하고자 하는 관심과 노력이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산업이 국가경쟁력의 토대가 되는 시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 미술교육은 문화적 소양을 갖춘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고도의 정보화 사회 속에서 올바른 가치판단과 미의식을 가지고 삶의 주체로서 나아가는 인간육성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미술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예술로써 미술 감상교육은 문화를 이해하고 사회를 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하여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간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 될 수 있다. 미술 감상은 미술교육에 있어 이렇듯 중요한 기본 요소의 하나이고 미술 비평은 미술 감상에서 중요한 부분이 된다. 미술 감상에서 비평을 활용하는 것은 다양한 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서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오늘날 시각문화 중심사회에서 무분별한 이미지들의 올바른 가치판단과 수용을 위해 시각적 해독력을 키우기 위한 토대를 만드는 밑바탕이 될 수 있음에 그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상의 전환에 초점을 둔 현대미술을 감상하는데 있어 비평적 탐구 감상 학습모형을 적용한 교수매체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술교육의 감상과 비평을 알고 발상의 전환을 위한 현대미술의 맥락을 이해하여 비평적 탐구 감상 학습모형을 제시한 후,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교수매체를 제안하기 위하여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의 교과서를 분석하고 작품과의 만남, 문제제기, 가설추론, 문제해결, 문제적용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순환적 성격의 비평적 탐구 감상 학습모형을 고안하였다. 교수매체(Instructional Media)란 교수활동에 필요한 사항을 학습자에게 조직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통신혁명의 산물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교수자, 교재, 칠판 등은 물론 다양한 학습 환경까지도 포함될 수 있다. 종래에는 교수매체를 교수활동에 사용하는 기계나 자료에 한정시켜 생각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 매체를 보는 시각이 넓어지게 되면서 교수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와 교수자간에 사용되는 모든 수단을 교수매체로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수매체를 시청각기재와 교재뿐만 아니라 인적자원(people), 전달하는 내용(message), 학습 환경(environment), 시설(facilities) 등의 모두를 포함하는 포괄적이고도 종합적인 개념으로 보게 되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04)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한 시대의 미술은 그 양식의 변화에 따라 감상하는 교수 방법 또한 달라져야 한다. 듀이(Dewey)의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에 기초한 비평적 탐구(Critical Inquiry)는 현대미술의 발상의 전환, 확장된 개념에 걸 맞는 순환적이고 탐구적인 감상태도로 기존의 부분적이고 형식적인 감상에서 맥락을 읽는 전체로서의 감상을 하는데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비평적 탐구를 적용한 순환적 성격의 학습모형은 현대미술의 감상에 있어 더욱 발전된 비평적, 확산적 사고력을 요하는 방법으로 보다 문화적, 역사적 맥락속에서 깊이 있는 감상과 비평수업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비평적 탐구 감상학습은 교수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시된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기존에 알지 못했거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작품을 선택하여 스스로 탐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그에 맞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교수자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식과 정보가 학생의 활발한 탐구를 유도하여 원활하고 깊이 있는 감상학습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동시대 미술의 적용이 교육현장에서 보다 활성화되어 미술이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아닌 삶 속에서 구현되고, 감상의 주체로서 미술을 즐기며 살아갈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