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조운주-
dc.creator조운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7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based on the research on cooperating teacher training and the need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tudy was desined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were the need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requirements of society, and the research on cooperating teacher training? 2. How was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constructed? 3. How was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implemented, evaluated, and emended? 3-1. How was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implemented, evaluated? 3-2. How was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amended? 3-3. How was a model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The research on cooperat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analysed. And the perspective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cooperat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surveyed. The individuals who took part in the survey were 195 experienced teachers of student teaching from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Chungbuk district. A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was constructed based on academic requests and the perspective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cooperating teacher training.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was organized into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program management. Twenty two cooperating teachers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ed teachers with three to sixe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the Chungbuk district.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even day training program from August 18th, 2000 to August 23th, 2000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seven day training program from August 28th, 2000 to Septemver 4th, 2000. Twenty-one student teachers were placed with the twenty trained cooperating teachers during the four weeks period. In order to measure the objectives of the training program, cooperating teachers were asked (1)to assess a questionnaire of perspectives on cooperating teacchers roles, (2)to draw a concept-map on cooperating teachers roles, (3)to write a journal about the training program and student teaching, and (4)to assess the questionnaire of implementing cooperating teachers roles. In order to measure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management of the training programs, cooperating teachers were asked to assess the questionnaire of program procedure and program construction. The data od the concept-map was analysed with paired t-test, and the other data was used for content analysis. A finial model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was developed after evaluations and amendments.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re (1)to recognize cooperating teachers roles, (2)to understand student teachers and promote reliable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 teachers, (3)to promote disposition of professional support to teaching methods and clinical supervision, and (4)to improve reflective thinking of cooperating teacher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1)orient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2)cooperating teachers roles, (3) properties of student teachers, (4)reliable relationships with student teachers, (5)support for effective teaching, (6)clinical supervision, (7) reflective thinking, and (8)guidance of children. The cont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kindergarten management is following course. But the following course can be included when participants request it. The teaching methods of the program use various methods such as lectures, discussions, role play, case-studies, workshops, and audio-visual teaching. Subjects of the program are experienced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trainers of cooperating teachers are the professors of universities or colleges. Total training period of cooperating teachers are 25 hours, but training season, time, and period can be managed flexibly according to teachers requests.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is operated at universities or colleges of student teachers. Training equipment, quiet atmosphere, and comfortable tables and seats are essential in the training rooms for cooperating teachers.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지도교사 교육에 대한 문헌 고찰 및 유치원 현장 교사들의 요구에 기초하여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을 구성하고, 구성된 프로그램(안)의 시행·평가 및 수정·보완 과정을 통하여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2.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의 구성은 어떠한가? 3.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의 평가 및 수정은 어떠한가? 3-1.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의 시행·평가결과는 어떠한가? 3-2.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의 수정·보완 내용은 무엇인가? 3-3. 개발된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어떠한가? 유아 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의 개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근거로 실습지도교사 교육에 대한 문헌은 고찰하고, 실습지도교사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실습지도교사들의 요구는 충청북도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 중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19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둘째, 문헌에서 제시하는 것과 현장 실습지도교사들의 요구에 기초하여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수방법, 운영방법을 선정·조직하여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구성된 프로그램(안)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충청북도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 3년에서 16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실습지도교사 교육을 실시하였다. 공립교사들은 2000년 8월 16일에서 23일까지, 사립교사들은 2000년 8월 28일에서 9월 4일까지 각 7일간의 교육을 받았다. 교육에 참여한 교사들 가운데 20명의 교사는 2000년 9월 18일부터 10월 14일까지 청주과학대학 유아교육과 실습생(21명)을 지도하였다.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을 받기 이전과 이후에 교사들로 하여금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설문지 및 개념도를 작성하게 하였다. 교사들은 교육을 받는 동안과 실습생을 지도하는 동안 저널쓰기를 하였다. 실습생을 직접 지도한 후에는 실습지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 방법 및 운영의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서 매회 교육이 끝날 때마다 프로그램의 과정을 평가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최종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수집된 자료들 중에서 개념도는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paired t-test)를 검증하였고, 개념도를 제외한 다른 자료들은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근거로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을 수정·보완하여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①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을 인식한다 ②실습생을 이해하고 신뢰적인 관계 형성 능력을 기른다 ③교수학습 및 수업 지도 등의 전문적인 지도 능력을 기른다 ④실습지도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증진한다 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①실습지도교사 교육과정 오리엔테이션 ②실습지도교사의 역할 ③실습생의 특성 ④신뢰적인 관계형성 ⑤효율적인 교수활동 지도 ⑥수업지도 ⑦반성적 사고 ⑧유아지도이다. 부모와의 관계, 유치원 운영관리의 내용은 심화과정으로 선정하여 교사들의 요구에 따라 교육내용에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의 교수방법은 강의, 토의, 역할놀이, 사례, 워크숍, 비디오 시청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교육대상자는 실습생을 지도할 유치원의 경력교사이고, 교육은 실습생이 소속한 대학의 교수가 담당한다. 총 교육시간은 25시간으로 구성하고 교사들의 요구에 따라 교육시기, 1일 교육시간, 교육기간을 융통성 있게 운영한다. 교육장소는 실습생이 소속한 대학에서 실시한다. 교육장소에는 필요한 기자재를 준비하고, 토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리를 배치하며,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등 쾌적한 교육 환경을 구성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실습지도교사의 중요성 7 B.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1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7 A.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틀 27 B. 예비연구 29 C. 실습지도교사 요구조사 31 D.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 구성 35 E.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 시행 및 수정 35 Ⅳ. 실습지도교사 요구조사 결과 42 A.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요구 44 B.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45 C. 교육 운영에 대한 요구 47 D. 교육 참여 의사 51 Ⅴ.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 구성 53 A. 목표 선정 53 B. 내용 선정 및 조직 54 C. 교수방법 선정 및 조직 57 D. 운영방법 선정 58 E. 문제점 61 Ⅵ.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 평가 및 수정 64 A. 프로그램(안) 시행·평가결과 64 B. 프로그램(안) 수정·보완 99 C. 프로그램 모형 개발 103 Ⅶ. 논의 및 결론 109 A. 논의 109 B. 결론 및 제언 112 참고문헌 118 부 록 129 영문초록 1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080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eveloping a model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