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유아의 사회극놀이 수준과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사회극놀이 수준과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ndcommunication of the children
Authors
조순옥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은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nd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topic. To elaborate, it aims to provide the teachers at work with helpful tips in using sociodramatic play and communication by examining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language behavior, type of communication, and coherence discouese according to the area such as urban vs, rural areas,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such as same sex group, i.e., a girls-only group, a boys-only group, or a mixed group, and the topic such as family vs. hospital. For the above purpose, the researcher draw up.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Ⅰ. How does the level of sociodramatic play change accore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and the topic? Ⅰ-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overall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nd the inferior factors according to the area? Ⅰ-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overall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nd the inferior factors according to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Ⅰ-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overall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nd the inferior factors according to the topic? Ⅱ. How is communication in sociodramatic play accord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topic? Ⅱ-1. Are there differences in all language behavior accord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topic? Ⅱ-2. Are there differences in pretence enactment and pretence planning language accord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topic? Ⅱ-3.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category and the type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topic? Ⅱ-4. Are there differences in coherence discourse accord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topic?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selected from two areas: mid-size city and rural areas. The Kindergarten B locaued in City I in Chonbuk province was chosen for the urban area; the day-care center K and H located in S Myon and H Myon in Chonbuk were chosen for the rural area. The subjects were children of ages four and five. There were four children in each group. There were six boys-only groups, six girls-only groups, and six mixed-groups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re were 72 subjects in each area, which makes a total of 144 subjects for this research. For this research, we used the measuring tools for sociodramatic play developed by Similansky and Shaefer (1990). The researcher used the standard for pretence planning and pretence enactment language by Black(1989), Miller-Gray(1997), for communication by Leaper (1991). Lin(1997) s categories were used for coherence episod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produce a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topics Ⅰ and Ⅱ. Scheffe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a pos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verall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ccording to the area. However, in inferior factor of interaction, the urban group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rural group. In the overall level of sociodramatic play according to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the girls-only group showed a higher level. Among the inferior factors, the girls-only group showed a higher level in the following factors: interaction, imitative role-play, persistence in role-play, make-believe with actions and situations. Regarding the theme, in the overall and inferior factors of sociodramatic play difference was documented with hospital theme showed a higher level than family. Among the inferior factors, the hospital theme showed a higher level in the factors of interaction, imitative role-play, persistence of role-play, make-believe with actions and situations. Second, regard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area,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topic, the results in all language behavior, pretence enactment and pretence planning, category and type of communication, and coherence discourse are as follows. There was difference in all language behavior according to the area, the topic. That is, the children in urban group used more language behavior than those in the rural group and the children in the hospital topic used more language behavior than in family theme. There was no difference in language behavior according to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There were difference in the pretence planning language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topic. That is, the children in the urban group used more than those in the rural group and the children used more in hospital topic than in family topic. In pretence enactment language, there we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opic. That is, there was found more often in the girls-only group and the children used more often in hospital topic. In the category of communication, the urban group used more collaboration category, whereas the rural group used more withdrawal category and the children in the hospital topic used more control, collaboration, obligation, withdrawal category than in family topic. In the type of communication, the urban group used self-reference, criticism of others, suggestion, description of action, question, turnabout acceptance, and turnabout rejection more often, whereas the rural group used physical attack, no response more often, whereas the rural group used physical attack, no response more often, whereas the rural group used physical attack, no response more often. Regarding the sex compositon of the group, the boy-only group used more self-reference, physical attack type. In the type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opic, the children in the hospital theme used more physical attack, simple rejection, description of action, question, simple acceptance type than in family theme. Regarding the area, the urban group had more coherence episode than the rural group. As for the sex composition of the group, the girls-only group had more. whereas irrelevant discourse was found more often in the boys-only group. In coherence according to the topic, the children in the hospital topic used. more had more short episode than in family topic.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른 사회극놀이 수준 및 의사소통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즉 도시와 농촌 지역간, 남아 집단과 여아 집단, 그리고 혼성 집단 등 집단 성구성간, 그리고 가정과 병원 주제에 따른 사회극놀이 수준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사회극놀이 내에서 언어 행동, 의사소통 유형, 그리고 응집 대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Ⅰ. 유아의 사회극놀이 수준은 지역,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라 어떠한가? Ⅰ-1. 유아의 사회극놀이 전체 및 하위요인 수준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Ⅰ-2. 유아의 사회극놀이 전체 및 하위요인 수준은 집단 성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Ⅰ-3. 유아의 사회극놀이 전체 및 하위요인 수준은 주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 사회극놀이 내에서 의사소통은 지역,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라 어떠한가? Ⅱ-1. 총 언어 행동은 지역,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2. 가장협의 및 가장놀이 언어는 지역,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3. 의사소통 범주 및 유형은,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4. 응집 대화는 지역,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 지역과 기관은 도시는 전북 Ⅰ시에 위치하는 B유치원과 농촌은 전북 S면의 K어린이집과 H면의 H어린이집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는 만 4-5세이며, 동성집단에는 남아6집단 24명, 여아 6집단 24명, 혼성 6집답 24명으로 가 지역에 72명씩 총 144명이었다. 연구 절차는 지역과 집단 성구성에 따른 사회극놀이 수준과 의사소통을 조사하기 위해 가정 과 병원 2가지 주제를 1주 간격으로 유아들이 첫 주에는 가정 주제, 두 번째 주에는 병원 주제에 20분씩 참여하게 했다. 본 연구의 사회극놀이 측정도구는 Similansky와 Shaefer(1990)의 사회극놀이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장계획 및 가장놀이 언어는 Black(1989)과 Miller-Gray(1997)의 분류 기준을, 의사소통은 Leaperr(1991)의 분류 기준을, 응집 에피소드는 Lin(1997)의 범주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연구문제Ⅰ과 연구문제Ⅱ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일원 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e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놀이 전체 수준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없다. 그러난 하위요인인 상호작용에서는 도시가 농촌보다 높게 나타났다. 집단 성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사회극놀이 전체 및 하위요인 수준은 사물 가작화를 제외한 상호작용, 역할 가작화, 역할 지속성, 행동과 상황의 가작화에서 여아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주제에 따른 사회극놀이 수준에 차이가 있었는데 가정 주제보다 병원 주제에서 사회극놀이 전체 및 상호작용, 역할 가작화, 역할 지속성, 행동과 상황의 가작화를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의 하위요인 별로 지역에 따른 총 언어 행동은 도시가 농촌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성구성에 따른 총 언어 행동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주제에 따른 총 언어 행동은 가정 주제보다 병원 주제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가장 협의 언어는 도시가 농촌보다 더 많이 사용 했으며, 가정 주제보다 병원 주제에서 많이 나타났고, 집단 성 구성간에 차이가 없었다. 가장놀이 언어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가장놀이 언어는 여아집단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가장놀이 언어는 가정 주제보다 병원 주제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의사소통 범주에서 지역과 주제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집단 성구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즉 도시 유아가 협동 범주를, 농촌 유아가 우칙 범주를 더 많이 사용했다. 가정 주제보다 병원 주제에서 통제, 협동, 순응, 위축범주는 더 많이 나타났다. 의사소통 유형은 지역, 집단 성 구성, 주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도시 유아는 자기참조, 타인비판, 제안, 정의, 질문, 전향 수용, 전향 거부 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농촌 유아는 신체 공격, 무반응 유형을 더 많이 사용 하였다. 남아 집단은 의사소통 유형 중 자기 참조와 신체공격 유형을 많이 사용했다. 의사소통 유형 중 신체 공격, 단순 거부, 정의, 질문, 단순 수용 유형은 가정 주제보다 병원 주제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응집 에피소드에 차이가 있었는데 도시가 농촌보다 응집 에피소드롤 더 많이 사용하였다. 집단 성 구성에 따라 응빕 에피소드에 차이가 있었는데 여아집단이 응집 에피소드를 더 많이 사용 하였고, 남아 집단은 비 관련 대화를 많이 사용하였다. 주제에 따른 응지 대화는 짧은 에피소드의 경우 가정 주제보다 병원 주제에서 더 많이 사용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