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 과정 및 변화 요인 연구

Title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 과정 및 변화 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unseling process and changing factors perceived by the avoidant clients : in perspective of the attachment theory
Authors
지승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This study is to trace the counseling process of the avoidant clients and figure out what kind of factors make the change.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counseling process between the avoidant clients and the counselors - how the clients would trust their counselors, and how they would solve a set of problems - using the Consensual Quality Research. The condition of the study was that a kind of stable relationship has been already established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avoidant client. These are the questions upon which study Ⅰ has started: (1) In what way do the internal working models of the avoidant clients affect the relation to the counselors? (2) What kind of things do the avoidant clients count as an outcome? (3) What kind of factors do the avoidant clients think has brought the outcome of the counseling? (4) How do the avoidant clients react to any negative experiences that might happen in the counseling process and manage those experiences? The results of study Ⅰ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avoidant clients have had the negative inner working models of self and others, which influenced their relationship to counselors in the early stage of the counseling. But as the counseling went on, they have overcome any distrust or doubt and shown trust to the counselors. In addition, they have got internal representations of their counselors which can be regarded as a sign of attachment. Secondly, the attitude of avoidant clients showed remarkable change in their relationship to others, and they were able to explore, understand and reach a conclusion on themselves, and even face their own problems in a different way. All the changes that the avoindant clients recognized have never been don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average of the counseling sessions was up to 34.6 which can not be regarded as a brief therapy, and the clients recognized themselves that they were in the early or middle stage of the counseling process. The less the number of the sessions they have been through, the smaller or less remarkable the outcome w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s and their counselors. Thirdly, a set of factors have brought the outcome of the counseling that the avoidant clients perceived as satisfying results,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all was that counselors provided a secure base to the clients. Upon the secure base, the clients were to accept the guidance from their counselors and explore themselves, and even tried to challenge themselves. The secure base has led the avoidant clients to aware and express their complicated affects that they have oppressed and never let out because they have very strict structure to regulate their affects. And it has also have them open their weaknesses or secrets to their counselors and let them help to solve their problems. Lastly, the avoidant clients have experienced their counseling sessions in a negative way when they have a feeling that their counselors can not satisfy their needs or expectation, that they themselves can not satisfy their counselors expectation, and that the change or any progress has been delayed or never happened so fast as they expected. When one of the above mentioned cases happen, the clients themselves may mention about it, but sometimes they just wait until their counselors bring up the questions about it. The negative feelings would be resolved when the counselors show their concerns about the clients negative feelings and ask questions about them, and then, the counseling process get back to its right track. But when the counselors don t figure out the clients indirect mention about their negative feelings, or such feelings have not been treated enough in the middle of the counseling process, it would definitely affect the continuing counseling process, for there still remain the undissolved negative feelings in the clients mind. With this result of the first step, I have reached a conclusion that we need a scale to specify the attachment patterns of the clients to their counselors, which served study Ⅱ as its basis. To set up the Client Attachment to Counselor Scale, Client Attachment to Therapist Scale(CATS) has been translated. For the data collection, cli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only after they had completed at least five sessions of individual counseling. The factor analysis has been done upon 113 subjects, and the three factors have been extracted which were also found in CATS. Considering upon the factor loading, item-total correlations, and the contents of the items, the final 25 items including 9 items about secure subscale, 7 items about preoccupied subscale, 9 items about avoidant subscale were chosen to set up for the Client Attachment to Counselor Scal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s α) covered from .68 to .79, and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from .68 to .79. The pattern of correlations with Working Alliance Inventory, Self-Esteem Questionnaire and Ego Function-Object Relations Questionnaire supporte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lients Attachment to Counselor Scale. ; 본 연구는 애착이론의 조망에서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 과정 및 변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 Ⅰ에서는 현재 상담자와 꽤 안정된 관계를 형성한 회피형 내담자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상담자와 신뢰를 형성하고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해 나가는지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회피형 내담자의 내적 작동모델이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는가? (2) 회피형 내담자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상담의 성과는 무엇인가? (3) 회피형 내담자들은 상담의 성과를 가져온 요인을 무엇이라고 지각하는가? (4) 상담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사건들에 대해 내담자는 어떻게 반응하고 다루는가? 연구 Ⅰ의 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회피형 내담자의 대부분이 상담 초기에 자기와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내적 작동모델을 작동시켰다. 그러나 상담이 진행되면서 상담자에 대해 처음에 가졌던 불신이나 의심이 신뢰로 바뀌었고, 상담자에 대한 애착 형성의 신호로 볼 수 있는 내적 표상도 형성되었다. 둘째, 회피형 내담자들은 대인관계에서 가장 큰 변화가 있었고, 자기를 탐색하고 이해하고 정리했으며, 문제를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회피형이 지각한 이러한 변화는 단기간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다. 상담의 평균 횟수가 단기상담이라고 할 수 없는 평균 34.6회이고, 내담자들 모두 자신의 상담단계를 초기나 중기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상담자와의 관계나 성과의 내용도 횟수가 적을수록 횟수가 많은 내담자에 비해 빈약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중심 문제였던 회피형 내담자들이 지각하는 상담의 성과를 가져온 요인들은 상담자 요인과 내담자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상담자가 안전한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내담자들은 이 안전한 기반 위에서 상담자의 안내를 받아 자신을 탐색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할 수 있었다. 안전한 기반은 감정을 조절하는 구조가 엄격하여 감정 인식과 표현이 억압되는 회피형 내담자에게 억눌리고 복잡한 정서를 표현할 수 있게 해주었고, 남에게 드러낼 수 없는 약점이나 비밀을 상담자에게만은 개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게 해주었다. 넷째, 상담자와 관계를 형성해 가는 과정에서 회피형 내담자는 대부분 상담자가 자기의 기대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고 느낄 때 또는 내담자 자신이 상담자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느낄 때, 그리고 변화가 없고 진전이 더디다고 느껴질 때 부정적인 느낌을 경험하였다. 이럴 때 내담자가 먼저 상담자에게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내담자들은 혼자 처리하거나 상담자가 물어봐 줄 때까지 기다렸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 변화를 예민하게 감지하고 물어봐 주고 다루어주면 부정적인 감정들이 해결되고 상담을 지속시킬 수 있었다. 반면에 내담자의 우회하는 표현을 알아듣지 못하거나 이야기가 되더라도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으면 미진한 감정이 계속 남아 심할 경우 상담의 지속에도 영향을 주었다. 연구 Ⅰ의 결과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애착 유형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척도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연구 Ⅱ가 시행되었다.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애착 척도 를 만들기 위해 치료자에 대한 내담자의 애착 척도(CATS) 를 번안하여 5회 이상 개인상담을 한 내담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원래의 척도(CATS)와 마찬가지로 세 개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각 문항의 요인부하량과 요인별 문항-총점 상관 및 문항의 내용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총 25문항(안정 9문항, 몰입 7문항, 회피 9문항)의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애착 척도를 구성하였다. 각 요인별 내적일치도는 .75에서 .86 수준이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8에서 .79 수준이었다. 자존감, 자아기능-대상관계, 작업동맹 척도들과의 상관은 번안된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애착 척도의 타당도를 지지해 주었다. 본 연구는 애착이론의 조망에서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과정과 상담자와의 관계를 질적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과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애착 유형을 확인할 수 있는 척도를 타당화함으로써 상담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