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지역주의가 상관의 부하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지역주의가 상관의 부하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regionalism to the supervisor's trust-in-subordinate : in the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Authors
원숙연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봉희
Abstract
불신을 전제로 한 통제위주의 조직관리방식이 갖는 한계와 환경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조직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전제에서 출발한다. 첫째, 신뢰는 조직의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직관리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수이다. 둘째, 우리 나라는 저(低)신뢰의 사회이며 정부관료제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물론 관료제내 구성원간의 신뢰수준도 낮다. 이와 같은 저(低)신뢰의 근저에는 지역주의 라는 독특한 원인이 작용한다. 셋째, 정부관료제내 신뢰를 왜곡하는 구조의 규명과 개선을 통한 구성원간 신뢰의 회복은 조직 자체의 성공은 물론 국민의 대(對)정부 신뢰를 제고하는 중요한 대안이다. 이상의 상황인식 하에서 새로운 조직관리방식으로 등장한 신뢰개념의 체계화와 지역주의가 조직내 대인간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부하에 대한 상관 신뢰의 영향요인 및 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한다. 이를 통해 정부관료제내의 신뢰 제고를 위한 함의와 처방적 대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인간 신뢰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경험적 논의를 종합해 부하에 대한 상관의 신뢰 개념과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개념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 대인간 신뢰의 왜곡을 초래하는 지역주의가 부하에 대한 상관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의 가능성을 신뢰의 역학과 준거집단의 동일성 및 내-집단 편향의 측면에서 이론적·논리적으로 유추하였다. 지역주의가 지연(地緣)을 근거로 나타나므로 지연의 조절 효과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상관과 부하간의 출신지역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동향과 비-동향 집단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개념적 모형의 타당성을 중앙 정부의 16개 부(部)와 16개 청(廳) 소속의 3급에서 7급까지의 공무원 954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조사에 대한 분석은 선형구조관계(Linear Structural Relations: LISREL)를 통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설문 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고 현실성 있는 연구결과의 해석을 위해 16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에 대한 지역주의의 영향력은 동향과 비-동향 집단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내-집단 선호와 외-집단 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발현되는 지역 분파적 태도인 지역주의가 부하에 대한 상관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관과 부하의 출신지역이 다른 경우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지역주의의 발현 근거인 지연의 현저성이 비-동향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지역주의가 능력을 비롯한 부하의 특성에 대한 굴절된 평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의가 부하에 대한 신뢰의 왜곡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교정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부하에 대한 상관 신뢰의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상관이 인지하는 부하와의 관계의 친밀성으로 나타났다. 원활한 의사소통과 감정적 유대 및 상호 유사성에 대한 인식을 근간으로 하는 관계의 친밀성은 부하의 특성에 대한 평가에까지 작용해 능력을 비롯한 부하의 특성을 과소(과대)평가할 가능성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신뢰가 심리적 상태개념인 동시에 신뢰자와 신뢰대상간 관계의 개념으로 신뢰에 있어서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그러나 상관과 부하간 관계의 친밀성이 부하에 대한 상관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의 이면(裏面)에는 지역주의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배가(倍加)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지역주의는 출신지역이 다른(같은) 부하와의 관계의 질을 낮게(높게) 인지하도록 만들어 출신지역이 다른(같은) 부하에 대한 굴절된 평가와 왜곡된 신뢰로 발전할 수도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동향, 비-동향 집단 모두, 상관이 부하를 신뢰하는데 있어서 부하의 능력의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았다. 대인간 신뢰에 있어서 신뢰대상의 능력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기존의 논의와 배치되는 결과이다. 더욱이 부하의 능력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은데 반해 부하가 상관에게 보이는 호의의 영향력은 안정적이고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직사회에서 상관이 부하를 신뢰하는데 있어서 부하의 능력은 중요한 변수가 아닐 수도 있다는 조심스러운 해석을 허락한다. 또한 호의의 영향력을 통한 상관과 부하간 관계의 왜곡 가능성도 보여준다. 공직사회에서 능력이 아닌 여타의 요인이 갖는 영향력과 그에 따른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논의의 타당성을 일부 확인해 주는 결과라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에 대한 우열의 구분 및 상하간 명령복종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권위주의적 문화와 개인의 능력이나 전문성보다는 협력이나 동조 등의 가치가 중시되는 집합주의적 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주로 간접적이기는 하나, 상관이 부하를 신뢰하는데 있어서 응집력이 있고 혁신적이며 공정한 조직분위기가 중요한 영향요인임이 밝혀졌다. 상대적인 영향력은 비-동향 집단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으며 신뢰자의 신뢰성향과 같은 개인심리적 요인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직 행태에 대한 조직내적 상황요인의 영향력을 가늠하게 하는 결과로 조직 행태를 개인의 문제로 한정해 개인효과로 접근하기보다는 조직분위기와 같은 상황적 요인을 통한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는 공직사회에서 왜곡된 신뢰의 존재 가능성과 다양한 형태로 제기되고 있는 조직 및 인사관리의 불공정성에 대한 우려와 불만의 실체를 부분적으로나마 확인해주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부관료제에서 신뢰를 통한 조직관리의 효과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부하에 대한 상관의 신뢰를 왜곡하는 중요한 원인인 지역주의의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지역주의란 일종의 감정이며 정서이므로 이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정책적인 변수로 활용하는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재 공직사회에는 지역주의의 발현을 조장하고 그 효용을 강화시키는 구조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의 해결을 통해 지역주의의 부정적인 효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 지역주의는 지연이라는 사회적 범주화 기준의 현저성을 근거로 한 일종의 집단 편견이다. 따라서 지역주의의 부정적인 영향력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지연의 현저성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신뢰대상이 속한 집단(범주)에 의거한 평가를 지양하고 개인을 독립적으로 개별화하여 범주의 경계를 해체하는 탈범주화(decategorization)와 상호 교차적인(cross-cutting) 멤버쉽을 통해 범주화기준을 다양화하는 재범주화(recategorization)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가족적이고 응집력 있는 분위기의 조성이 중요한 대안이 될 것이다. 즉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소속감을 느끼고 그러한 소속감이 사회적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됨으로써 출신지역과 같은 범주화기준을 대체하고 지연의 현저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지역주의와 같은 내집단 편향에 근거한 비-인격화된 신뢰 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정치-행정관계의 재구조화를 통해 정치 핵심세력의 사적 요구에 반응하도록 유도되고 있는 행정의 유인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즉 공식적인 업무수행 보다는 그러한 요구에 대한 반응 정도에 따른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지역주의적 인사가 지양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인체계가 공직사회의 상관과 부하간의 신뢰를 왜곡하는 지역주의의 부정적인 효용을 강화시키는 심층구조로 작용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 공직사회에서 부하에 대한 왜곡된 신뢰를 강화하는 지역주의의 부정적 효용은 평가제도에도 그 원인이 있다. 따라서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의 확보가 중요한 정책적 대안이 될 수 있다. 평가자로 하여금 평가를 공정하게 하도록 사회적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평가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가제도를 객관화하고 평가과정과 결과를 공개하는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평가주체에 의한 다면평가를 통해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 ;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are forcing organizations to seek more effective and flexible way of managemen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ust in organization. Under the recognition of the changing situation around the organization, the dissertation is based on the underlying premises as follows. First, it is trust which determines the successfulness of the new organizational management. Second, Korea is one of the low-trust societies and the radius of trust extends only as far as the members of one s extended family(familism). Regionalism is a extended type of this familism,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widespread distrust in overall society as well as public organizations in Korea. Third, enhancing the trust in the public organizations is a critical post for the success of public management as well as trust-in-government itself. Under these assum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intrinsically complex and multifaceted construct of trust and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that outlines the factors affecting supervisor s trust-in his(her)-subordinate in the public organizations. Also it tests empirically hypothesized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in the organization theory and management practices in the public organizations. To achieve above goals, this dissertation identifies mechanisms(path) through which interpersonal trust can be produce, drawing from theories having been developed in psychology, social psychology, sociology, and organizational research about trust. These mechanisms(path) provide the theoretical framework used to identify a set of factors hypothesized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trust; including individual factors(psychological factor of the truster/perceived ability, benevolence, integrity and consistency of the trustee), relational intimacy, and organizational factors(organizational structure/organizational climate). First of all, it focuses on Regionalism based on the principle of saliency in social categorization theory. Applied to the issue of ethnocentrism, this dissertation shows how Regionalism affects the superior s trust-in-subordinate in the public organizations. The theoretical model was tested with data corrected from a sample of 954 employees from 16 Ministries and 16 Offices of central government of Korea. As Regionalism might be manifested through the differentiation in birthplaces(地緣),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group(group of people who shares the common birthplace) and out-group(group of people who do not share the common birthplace). All hypotheses are tested by LISRELⅧ. With the statistical analysi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o provide rich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for the empirical results. Theoretical model was broadly supported, yet the patterns of findings differ between in-group and out-group. Results are as follows. One of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 Regionalism was founded to affect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in the out-group, the group constituted of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from different birthplaces. As a result, Regionalism may be more salient when truster and trustee are members of the out-group. This result has implication that Regionalism is one of the important causes which distorts trust in the public organizations. Second, perceived relational intimacy between supervisor and his/her subordinate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trust-in-subordinate. Additionally, supervisor s perceived quality of interaction with his/her subordinate was related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to the rating of the subordinate s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ability, benevolence, integrity and consistency. This Result indicates, on the one side, trust may be a product of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ies rather than a personality traits exhibited by either party. On the other side, there may exist the negative influences of Regionalism.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Regionalism can make the supervisor underestimates(overestimates) the quality of his/her relationship with his/her subordinate from different(same) birthplace, thus having distorted view of the latter s characteristics. Third, given to its strong theoretical and logical rationale, the lack of support for the effects of subordinate s ability on trust is somewhat surprising. The result was contrary to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effects of the trustee s ability upon interpersonal trust. Also, of particular interest,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benevolence was higher in degree than that of ability may imply that the subordinate s ability might not be so much of an importance, and this may suggest a possibility of a distorted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his/her subordinate. This seems to reflect the authoritative and collectivist culture of the public organizations. Forth, even if it were an indirect effect, organizational climate was a very important predictor of trust-in-subordinate. The degree of its influenc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fluence of the truster s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structural(contextual) approaching to the organizational behavior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tructural efforts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Regionalism upon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public organizations are essential. Regionalism belongs to a feeling, so complete removal of it is impossible and policy alternatives have limits. However, there are some structures to encourage or even intensify negative effects of Regionalism and efforts to eliminate them must be made. First, Regionalism is a kind of intergroup prejudice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between birthplaces(地緣). Therefore, the saliency of differentiation between birthplaces should be reduced through both decategorization to break the boundaries of categorization and recategorization to build the cross-cutting categorization or multiple membership. Second, unreasonable Regionalistic personnel management should be eliminated through reconstruction of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tructures; as no denial can be made that such practices are not deep structure for the negative effects of the Regionalism. Third, performance appraisal practice(system) is one of the reasons which intensifies the negative effects of Regionalism in the public organizations.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evaluation. Open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evaluation and the 360 degree evaluation by various evaluators may be an alternative. Finally, cohesive and family-like organizational climate can increase trust-in-subordinat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decrease the negative effects of Regionalism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trust between supervisor and subordinat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rganizational climate to formulate uniformity and lessen the formality. This will be an excellent alternative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Regionalism and to decrease of the saliency of differentiation between birthplaces(地緣). . Key words: Interpersonal Trust, Trust-in-subordinate, Production of trust, Personal tie Differentiation between birthplaces: 地緣. Regionalism, Social categorization, Intergroup relation, In-group favorism , Out-group bias, Saliency, LISREL, Structural equation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