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소홍렬-
dc.contributor.author박소정-
dc.creator박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4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3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심리 철학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 중심적인 문제로서 심적 인과의 문제와 심성 내용의 자연화 문제를 고찰한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두 이론은 김재권(Jaegwon Kim)의 물리적 실현론(physical realizationism)과 밀리칸(Ruth Millikan)의 생물적 의미론(biosemantics)이다. 1부에서 필자는 궁극적으로 심적 인과가 하나의 간위적 구현(inter-level actualization)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려고 한다. 김재권은 수반 논변(the supervenience argument)를 제시하면서 물리주의 일반이 빠지게 되는 딜레마의 구조를 보이고 그 결과 배제의 원리(the causal exclusion principle)와 상충하는 속성 이원론(property dualism)을 포기해야 할 필요를 주장한 바 있다. 필자는 그러나 수반 논변의 논증 단계와 전제, 특히 배제의 원리가 실제 가동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살펴보면 결과적으로 그러한 주장이 도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수반 논변은 심성을 수반 속성과 구현적 속성(actualizing property)으로 이원화하는 방법을 봉쇄하지 않는다. 이런 관심에서 필자는 김재권이 수반 논변에 대한 물리주의자의 해결책으로 제시한 물리적 실현론을 검토하고, 기능주의 일반에 전제되어 있는 핵심적인 내재주의적(individualistic) 가정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물리적 실현론에 대한 반론으로 제기된 몇 가지 비환원적 논변의 논증적 적합성을 검토한 후, 본고는 밀리칸과 드레츠키(Dretske)가 각기 이론화한 바 있는 고유 기능과 구조적 인과(structuring cause)의 개념을 도입하는 비환원적 논증을 제시한다. 고유 기능론은 2차 속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성향적/기능적 속성이 있다는 점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김재권의 개념적 환원을 상대화할 수 있는 외재주의적 관점을 보여준다. 구조적 인과는 외재주의의 연장으로서 수반적 인과 모델을 통하지 않고 심적 인과를 "간위적 실현"(interl-level actualization)으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여준다. 2부에서 필자는 고유 기능론을 중점적으로 고찰하면서 그것이 심성 내용의 자연화에는 충분히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밀리칸의 이론은 오류 가능성과 심성 내용의 규범성을 자연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잘못된 표상의 문제(the problem of misrepresentation)를 해결할 목적으로 제안된 것이다. 이 이론은 자신의 생물적인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데 실패한 일탈적인 표상 개항의 경우들을 분리하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선언지의 문제(the disjunction problem)를 해결할 수 있는 한 가지 설득력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생물적 범주와 의미론적 범주간의 유비를 제공하면서 그는 심리학이 생물학의 한 분과이며, 표상적 오류는 생물적 오기능의 한 경우라는 점을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P가 예화될 때 그때만 B-개항들을 산출하는 것을 생물적 기능으로 갖는 표상 체계가 P가 예화되지 않은 경우에 B-개항을 산출하는 경우에 표상적인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필자는 이에 대한 한 가지 반례로서 그의 내용 결정 원리를 만족시키면서도 여전히 지향성을 부여하기 힘든 경우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지향적 맥락과 생물적 맥락에서 행위의 비우연적 성공이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요청된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wo related issues in the philosophy of mind: the causal efficacy and intentionality of the mental. More specifically, the dissertation is intended to explain and critically assess two contemporary naturalized projects: Jaegwon Kim s physical realizationism with the functional model of reduction, and Ruth Millikan s biosemantics based on selectionist construal of teleofunction. In Part 1, I shall ultimately venture to suggest that mental causation, when regarded as a matter of "inter-level actualization", can be made intelligible and compatible with the reigns of physics. Kim presents the supervenience argument as posing a dilemma to physicalism in general, to motivate the need to discard property dualism instead of the principle of exclusion. I argue, however, a closer look at the steps and premises, especially the prerequisite conditions under which the principle of exclusion to operate suggests otherwise. The argument shall turn out to be short of deriving the intended conclusion as far as it makes an alternative solution compatible: the division of the mental properties into supervenient properties and "actualizing properties". In the light of this, I review Kim s physical realizationism, a reductionists answer to the supervenience argument, and raise some questions regarding the core individualistic assumption that I doubt to be conclusive and compelling. After reviewing some arguments presented against Kim s realizationism, all intuitively convincing if not complete, I introduce two notions of "proper function", and "structuring cause", each articulated by Millikan and Dretske. As a form of externalist functionalism, the theory of proper function helps to relativize Kim s conceptual reduction by showing that there are causal dispositions not reducible to intrinsic or internal properties. "Structuring causation", a necessary extension of externalism, does not fit in the model of supervenient causation, thus indicates a possibility to assimilate mental causation to "inter-level actualization". Thus, I argue the theory of proper function is appropriate to the extent that it provides a non-reductivistic construal of mental causation. In Part 2, though, I give skeptical reasons how it can turn out to be short of naturalizing content. Millikan s theory purports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error and normativity of content, hence to solve "the problem of misrepresentation". It shows a naturalistically plausible way to solve "the disjunction problem" by accommodating the "aberrant" tokens concerning their abilities to perform the biologically proper functions. Based on an analogy between biological malfunction and misrepresentation, she claims that psychology is a branch of biology, that false beliefs can be assimilated to defective biological categories. She articulates the content determination principle such that when B-tokens are supposed to be produced when and only when P is instantiated, such tokens would be false if produced when P is not instantiated. I present a counter example that satisfies Millikan s conditions for having a proper function yet still makes an unintuitive appeal in content attribution. The non-accidental fit between successful behavior and objects in the two contexts seems to be required in two different wa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장 서론 1 1부 심적 인과의 물리주의적 이해 가능성 10 2장 수반론의 딜레마와 환원적 동기들 10 1. 들어가는 말 10 2. 수반 논변과 배제 원리의 힘 13 3. 심성의 지위: 상차 속성 대 상위 속성 24 3장 물리적 실현론 비판 28 1. 심물 동일화의 전략과 논증 28 2. 문제 제기와 반대 논변들 37 4장 비환원적 물리주의의 가능성 50 1. 외재적 제약의 간위적 함축 50 2. 설명적 후보들 54 2부 의미 내용의 생물적 자연화 비판 64 5장 표상적 오류의 의미론적 적합성 64 1. 문제제기: 잘못된 표상의 문제와 주제 고정 원리 64 2. 잘못된 이상화: 정보/인과론의 한계 68 3. 목적적 기능의 이론적 역할 71 6장 미결정성의 문제와 해결 77 1. 고유 기능론의 내용 결정 원리 77 2. 반박과 대응 81 7장 생물적 환원 불가능성 90 1. 고유 기능론의 딜레마 진단 90 2. 지향적 성공과 생물적 성공 95 결론 103 참고 문헌 107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40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심성과 의미 내용의 환원적 자연화 비판-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ausal efficacy and intentionality of the mental : a critical examination of two naturalized projects-
dc.format.pageiv,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