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혜-
dc.contributor.author문순영-
dc.creator문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4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407-
dc.description.abstract장신구(Jewelry)가 독립된 디자인 분야로 급속히 성장하면서 그 디자인에 있어서도 매우 다양화·세분화되고 있다. 주얼리 브랜드들은 계속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계적인 의상 브랜드에서도 장신구 제품을 앞 다투어 출시하고 있다. 장신구의 역사를 살펴보면 금속을 사용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장신구 중에서도 금속 장신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금속이 장신구 재료로 애호되는 이유는 잘 변화하지 않는 영원성·희귀성과 함께 다양한 조형물로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금속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반면에 딱딱하고 차가운 성질로 인해 장신구를 표현하는데 있어서는 대부분 기하학적이거나 패턴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금속 장신구의 표현기법이 다양함과 동시에 부드러움을 표현하고자 하는 조형적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금속 장신구(Jewelry)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적 접근과 다양한 제작 기법의 실험을 통해서 부드럽고도 힘이 있는 표현 방법을 찾고자 했으며, 그 표현에 있어서는 식물의 유기적 이미지를 극대화하여 생명력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장신구에 있어서 식물 이미지는 고대에서부터 현대까지 꾸준히 보여 지고 있는데 그 표현의 접근법은 달라도 디자이너에게는 끊임없는 영감을 주고, 장신구를 착용함에 있어서도 장신구를 통한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식물이 주는 풍요로움과 유기이미지의 표현이 주는 생명력은 착용자(着用子)에게 심미적인 만족감과 더불어 정서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장신구에 있어서 식물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는데 조형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작품은 식물의 끊임없이 생장, 변화, 소멸하는 생명력 있는 형상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통해 금속 장신구가 가지고 있는 조형적인 보편성을 되짚어 보고 보편적 표현이 갖는 조형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유기체로서의 식물은 정적이면서도 개방적이고 역동적이며, 끊임없이 생장하고 변화하며 서로를 결합시키고 그 안에서 살아가며 협력한다. 식물에서 느껴지는 율동적이고, 강하고, 부드러운 형태미를 자연에 가깝게 표현하여 유기체가 갖는 고유의 아름다움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신구의 역사상 고대부터 현대까지 중요한 모티브로 표현되어 온 식물의 이미지를 새로운 각도로 해석하여 식물의 생명체가 갖는 미적 특징을 조형적으로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딱딱하고 차가운 금속에 부드러운 조형적 표현을 통하여 금속 장신구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다각적인 실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제작기법의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금속 장신구의 새로운 조형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적 측면으로는 식물의 사실적인 형태를 부각하기 위해서 자연물을 사용하여 몰딩(molding)할 수 있는 제작기법을 실험하게 되었고, 장신구의 제작기법 중에서 정밀 주조기법을 일부 보안·활용하여 작품의 모티브인 나뭇잎과 나무의 가지를 자연물과 똑같은 형태의 금속(sliver)으로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작품은 나뭇잎 모티브를 중심으로 전체를 구상했으며, 식물의 사실적 이미지와 전체적인 형태가 조화되어 극적인 구도를 만들어내고자 노력하였다. 아이템은 목걸이와 브로치로 한하고, 브로치는 단독으로 착용되면서도 목걸이와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를 구성하도록 탈부착 하였다. 색은 절제를 통해서 작품의 형태미를 부각시키고자 했으며, 은의 고유색과 유하착색, 비취와 라피스 라즐리의 원석으로 제한하여 사용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장신구의 개념과 역사를 살펴보고 현대 장신구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금속 장신구의 조형을 위하여 금속 장신구의 제작과정을 연구하고 현대 의상과 금속 장신구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자연과 예술과의 관계를 통해서 장신구에 있어서의 식물 이미지의 미적 특성과 이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신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현대까지의 장신구의 흐름과 경향을 파악하였고 식물의 유기적 형태미의 분석을 통해서 장신구에 적용이 가능한 식물 이미지의 조형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둘째, 식물의 생명력 있는 형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사실적이면서도 극적인 표현방법은 매우 적합하였다. 식물의 이미지를 추상화하지 않고 자연적 형태로 형상화하는 것은 장신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조형적이면서 풍부한 표현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셋째, 금속의 제작 기법 중 정밀 주조 기법을 실험, 연구하여 자연 그대로 형태의 나뭇잎을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 본 제작 기법을 통하여 나뭇잎과 같이 얇으면서도 섬세한 표면을 가진 자연물을 주조기법을 통해서 금속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새로운 기법의 개발을 통해 일정하게 높은 온도에서 타는 모든 소재, 즉 직물 같은 소재까지도 원래와 똑같은 형태의 금속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장신구를 제작하는데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넷째, 소재에 있어서 차갑고 강한 금속을 인간에게 조화될 수 있는 부드러운 형태로 표현으로써, 장신구로 형상화 된 금속이 자연 친화적이면서도 따뜻한 감성을 줄 수 있는 소재로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장신구는 현대 의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의상과의 긴밀한 디자인적 관계를 통해서 장신구를 제작해야 함을 절감하였고, 장신구의 소재나 기법 그 디자인 방법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이미지의 조형미를 형상화하여 새로운 금속의 제작기법을 연구한 결과 독특한 조형성이 결부된 장신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미흡하나마 금속 장신구의 새로운 표현 기법의 경우가 되어 장신구 디자인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장신구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다양한 제작기법을 개발되며 금속 장신구의 조형적 표현 영역이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As the jewelry has rapidly grown as an independent design field, its design has very much verified and fractionized. The brands of the jewelry continue to grow and worldwide garment brands have been introducing jewelry into markets. The jewelry had been designed in a way to well-match with garments through all the times, modern garments seeking "total fashion" keep closer relation with it. The history of jewelry on a full scale began with the use of metal. The reason why metal is favored as a major material for jewelry falls on its natu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into various moldings with unchangeable eternity and rareness.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jewelry in the relation with garments, and to pursue an independent molding area through new approaches to design and various experiments. The botanical images are to be alive in molding shape while maximizing organic images is focused on in its expression. It aims to express intrinsic m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botany as natural shape and rhythmic, strong but soft aesthetic feature of life in the total structure. For the aspect of methodology, a fabrication technique to mold using "real stuffs" is experimented. The silver jewelry identical to the real leaves and twigs, which are the motives of the work, is made supplementing and utilizing molding technique of the jewelry fabrica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 focusing on realistic expression of the plants, as a whole, the expression of molding characteristics from the dramatic composition of curved lines and areasis tried. The beauty of form in the work is also highlighted by restraining the use of col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and the area of the expression of the metallic jewelry by visualization work inspiring the design of the jewelry. Also developing experimental fabrication skills will lead to the new molding skills for the metallic jewe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jewelry is reviewed and the cla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jewelries are studied. The fabrication process is studied for the metallic jewelry mol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dern clothing and metallic jewelry is also analyzed.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ar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otanical images and the design of the jewelry using the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t is turned out that reviewing the history of the jewelry, the botanic images are the deterministic subject expressing the spirit of the times of Art Nouveau for the jewelry and the images are the subject of the constant expression of the jewelry. Second, it is verified that the botanical images have an implication of the organic image of the nature, the shape of the plant gives meaning Third, various uses of the metallic fabrication techniques to express the natural lines and orgato the jewelry molding and can be the constant source of inspiration for the design.nic structure of the jewelry design are reviewed. Fourth, as a very important factor of the modern garments, the jewelry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 with the garments. In this study,a design of the jewelry with unique molding characteristics is developed from the study of new metallic fabrication techniques with the visualiz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botanical images. It is expected that the comprehensive study on the jewelry should be pursued, various techniques be developed and the area of the expression of the metallic jewelry be expan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Ⅹ 1. 서 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4 2.1 금속 장신구(Jewelry)에 관한 일반적 고찰 = 4 2.1.1 장신구의 개념과 역사 = 4 2.1.2 현대 장신구의 종류와 경향 = 24 2.1.3 금속장신구의 제작기법 및 제작과정 = 36 2.2. 식물과 디자인 = 44 2.2.1 식물의 미적 특징 = 44 2.2.2 식물의 유기적 형태미와 디자인 = 54 2.2.3 식물의 유기적 형태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사례 = 60 3. 작품제작 = 73 3.1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73 3.1.1 제작의도 = 73 3.1.2 작품제작 방법 및 과정 = 74 3.2 작품 및 해설 = 78 4. 결론 및 제언 = 130 참고문헌 = 132 ABSTRACT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100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식물의 유기적 형태미를 응용한 금속 장신구(Jewelry) 디자인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of metal jewelry adapting botanical images-
dc.creator.othernameMoon, Sun-Young-
dc.format.pagexii, 1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