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지원성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환경색채계획 연구

Title
지원성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환경색채계획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on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by Reinforcing Affordance
Authors
이아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cuses on improving quality of life, offering an opportunity for diverse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 in creative environments and providing human beings with positive behavior affordance through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The recent tide of changes demands paradigm shift in the various fields of society, and the biggest change is required in the education sector. The education process itself has changed to meet this demand, and such changes has led to the request for a new type of education facility, differentiating from previously uniformed spaces. Although the quality of school facilities has improved in terms of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there has been less progress in detailed environmental color aspects. The environmental color has an important impact on establish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can give positive influences on human beings when used purposefully and reasonably. However,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approaches have not been much established despite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al color should be considered core design tools. Elementary school facility functions as a cultural environment where children experience basic social activities and various studies, as their intellectu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occur. Also, elementary schools can be utilized as recreational places shared by residents and places for lifetime education, and play a significant environmental role to form the entire city’s scenery. Therefore, educational facility should function as the environment which ultimately meets the various demands of users by assisting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conforming with various spatial needs in the aspect of reinforcing affordance, stimulating the user’s cultural sensibility and harmonizing with the entire city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o set up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y by reinforcing affordance, this research grasps the function of colors that should be applied to each space by analyzing space functions and color functions. It also establishes a standard of exterior dominant color through natural color analysis and the balance of school exterior with its surroundings. Through this process, this research tries to embody the harmonized colors in light of the entire urbane environment. For a detailed color application plan, this research selects an elementary school facility that requires improvements in the color environment, and then analyzes the problems and actual conditions through actual measurements of the present colors. It also carries out a survey to actual users to find out their sensibility color and color images for each space. Then, it offers new possibilities by researching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al spac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 case of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is presented. The next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asonable and systematic research process on the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for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First, through an ecological perception approach, it was possible to meet human beings’ basic needs and reflect affordance which has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s. Second, when environmental colors are viewed in terms of functional and purposeful aspects, higher level approach to the complex and diverse environment was possible, and they could be used as an appropriate medium for providing the optimum environmental affordance. Third, offering positive affordance through well-fitted color plans to users’ sensibility could deliver an improved environment which reinforces space functions and responds to users’ cultural and emotional requests. Fourth,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whole urban environment in quality and aesthetic aspects by providing unique characteristics in harmony with urbane scenery through combined and reasonable approaches rather than a color plan for an individual building. Finally,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could be transformed from simple functional places into dynamic places by rearranging their environmental colors, and in these creative environmental settings users could afford various behavior conditions and meet various demands.;본 연구는 환경색채계획을 통하여 인간에게 긍정적인 행태의 지원성 (affordance)을 제공하며 창조적인 환경에서 이용자가 다양한 사회적·문화적 경험을 하게 하고 삶의 질적 수준의 제고에 기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우리 사회의 각 분야에서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큰 변화를 요구 받는 부분은 교육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교육분야에서는 교육과정 자체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교육과정과 같은 소프트웨어적 변화는 기존에 존재했던 획일적인 교육공간과는 차별화 된 새로운 유형의 교육공간에 대한 시설적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의 이러한 교육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학교시설의 건축 환경적 수준은 질적인 향상을 보이고 있으나, 그 세부 분야인 환경색채의 측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환경색채는 환경의 성격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목적적이고 합리적으로 다루어졌을 때에 인간에게 보다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이렇듯 교육공간에서의 환경색채는 가장 핵심적인 디자인 요소로서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은 미흡한 실정이다. 초등학교는 아동에게 있어 가장 초기단계의 사회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다양한 학습과 활동이 일어나며 지적, 심리적, 정서적 발달이 이루어 지는 하나의 문화적인 환경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지역주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휴식공간과 평생교육의 장으로 활용되며, 전체 도시경관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환경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교육공간은 지원성 제공의 측면에서 다양한 공간적 요구에 부합하여 아동의 행태와 성장발달을 지원하고, 감성에 대응함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감성을 자극시키며, 지역적 특성의 반영을 통해 전체도시 속에서 조화롭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이용자들의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환경으로서의 기능을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원성 강화를 통한 초등학교 환경색채계획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하여 공간별 기능과 색채의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각 공간에 강조되어 적용되어야 할 색채의 기능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학교 외관과 주변환경 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자연색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부주조색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전체 도시경관의 측면에서 조화로운 색채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색채적용 방안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기존의 초등학교 가운데 색채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대상공간을 선정하고 색채현황의 실측조사를 통하여 문제점과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감성에 부합하는 색채와 공간별 색채이미지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내외 교육공간 사례조사를 통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성과를 근거로 대상 초등학교의 환경색채계획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원성 강화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초등학교 환경색채계획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환경색채계획은 생태학적 지각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에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관련성을 가진 지원성을 반영할 수 있었다. 둘째, 환경색채는 기능적이고 합목적적으로 다루어졌을 때에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환경에 대해 보다 한 차원 높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하였으며, 환경 내에서 최적의 지원성을 마련하기 위한 유용한 매체로 활용될 수 있었다. 셋째, 이용자 감성에 부합하는 색채계획으로 보다 긍정적인 지원성을 제공하여 공간의 기능을 강화하고 이용자의 문화적·감성적 요구에 대응하는 풍요로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넷째, 개별 건축물의 색채계획이 아닌 통합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을 통해 도시경관과의 조화 속에 고유한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전체 도시환경의 질적, 미적 개선을 도모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의 환경색채 정비를 통하여 교과학습이라는 단순한 물리적 기능성만을 갖춘 공간에서 탈피하여 이용자가 창조적인 환경 속에서 다양한 행태적 여건을 지원 받고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활력의 장소로서 탈바꿈 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