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영아-
dc.creator정영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5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81-
dc.description.abstractThrough this research, the Investigate interior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and border expression of outside space, groped for entrance space design expression method. The Entrance space has multi-dimensional symbolism as well as mean of control for the in and out. It exists as the room and pass building as start with reaching. It has personality of public and public, inside and outside, invitation and refusal, interchange and defense, confidence and reservation, and has role of intermediate gradually. It has three meaning as follow; First, it is way connecting indoor and outside and bridge role. Second, it role of the control in social, physical, this is mean a resident's safety. Third, it has symbolic meaning for resident's position, a use of building, social structure. The formation of entrance space has connection of space. It consists of qualification of space. The Limitation of space need to surround in contour because is not enough center of space. Its emphasized balance of space and wall that enclose space, roof, floor and the entry becomes definite. The reason, because entrance with center is emphasized from person's space. The Boundaryof Space means limit of some space and is relieved between at the same time different two spaces or area. The line and surface of space or place occurrence a separation of area, in and out, that and this by standard its. The construction is act of interior and external, and wall is vigilance for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1980, politics, economy, culture structure is taking and advocated the multi-Identity from uniformity thought. Because construction removes form extremely, appeared trend to cut the past and outside to connect form. The construction custom had meaning of confrontation at in and out but It is no been the border gradually in present. The Concept of the border is border space between interior and external, Modern architects converge the expression of space. The construction is attempt to make interior essentially and important about the space for in and 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inside and outside border of modern architecture has extensity of outside space, indeterminacy sex, transparency. First, the characteristic of extensity of the border has incestuous space and open space. Introduction of light and room in the space feeling closed appeared the area of in and out. The opening subtraction is difference for in and out and be coexist various space and interior space. The Interior space has other protective layer that is outside space.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e border makes indistinct boundary though break perspective drawing center of construction modern. Also, reiteration of side makes indistinct the boundary of in & out, The Image of imagination has strict relation of in and out. So, it is vague in the space of in and out. Third, The transparency of the border is space membrane concept more than space structure and is expressed through cladding. Construction is making concept a vague to the exclusion of material of construction and finish processing. The Modern architecture, the border of indoor·outside space has characteristic to ambiguous. But, The entrance space must have form definite construction to achieve smooth49 function in whole building. The entrance space is first place that visitor arrives in the building. It is independent room to achieve function of building effectively and has partial functions of whole building and organic relation. The entrance space of whole building has former different nature, accessibility, symbolism. First, the entrance acts role of space that accomplish conversion to the interior world not public world. Second, beginning of transfer is related of position with the building whole being to indoor outside space. The Entrance that act as threshold of indoor·outside space acts of important role indoor outside for looking for a way. Third, the entrance space separates and connects indoor and outside though plastic form. It looks carving and form optical focus that pull person's divine poet. Fourth, construction environment has potentiality symbolic meaning about people. This Symbolism appeared the way to compose area. To entrance in whole building, symbolic presentation is more emphasized. The entrance space design of modern architecture looks expression tendency for the aesthetic form over the practical doorway between the border of inside and outside. The entrance space achieves role of optical focus to visitor and interior users adopting definite form and formation form. The form of Entrance space provide symbolic environment to user. This four type examine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for modeling (造形性), symbolism (象徵性), transition (轉移性), accessibility(接近性) in whole building. Result of entrance space design expression type analysis of modern architecture is as following. First, Entrance space in space embosses that image of entrance, express functional difference of space and symbolic heft of interior space. transitionenclosing space about transparency and patency of material, according to door form and scale, act transition space between importantly space of in and out, form the line of flow of interior space. Second, the entrance space is formed form of volume of two spaces between other two spaces. The entrance space connect separate to interconnected two spaces change of visual and time, contrast of surface and quality, change of high between the others space. Third, the entrance space is formed through different space and each others. The entrance space can adopt more dynamic form because in gear with different space. Each space has direction to entrance because share entrance space and partial space. Fourth, entrance space is formed to shock-absorbing space between building front. Entrance space provide a rest space to building users, as openness is big, outside users can experience open surrounding. Also, it’s act role that pull person's point to indoor and outside not perfectly divide in and out. The expression of entrance space of modern can know that is having characteristic of form more definite construction form. Specially, look tendency the formative and symbolism in whole building. This research, the entrance expressed about way to embody various expression method by formative and symbolism. By investigator proposes type of expression, desire to be utilized usefully to designers' business.;본 연구를 통해 현대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경계 표현을 고찰하고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 방법을 모색하였다. 현대건축의 입구공간 디자인은 애매모호해진 내•외부의 경계 사이에서 실용적인 개구부 이상으로 형태 미학적인 표현 경향을 보인다. 입구공간은 명확한 형태와 때로는 조각적인 형태를 취함으로써 방문객과 내부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인 초점의 역할을 수행한다. 조각적인 형태의 입구공간은 사용자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입구공간은 단순한 출입을 통제하는 의미를 넘어서는 다차원적인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입구공간은 ‘실(室)’로서 존재하며, 도착하든가 출발할 때 건물 내•외에 걸쳐 통과하게 된다. 그 공간은 공적과 사적, 내부와 외부, 초대와 거절, 교류와 방어, 확신과 유보 등 양극단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으며, 완만하게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입구공간의 기능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는 통로로 사람들이 드나드는 개구부의 역할을 한다. 둘째 사회적•물리적으로 누구나 출입할 수 없는 통제의 역할을 하며 이는 거주자의 안전성과 관련이 있다. 셋째 입구공간은 거주자의 사회적인 지위나 건물의 용도, 사회적인 구조, 공동체와의 관계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입구공간의 형성은 공간의 경계와 관련이 있다. 공간의 경계는 공간의 한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간을 한정하려면 공간의 중심을 지시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윤곽으로 에워쌀 필요가 있다. 즉 공간의 중심과 공간을 둘러싸는 벽, 덮는 지붕, 떠받치는 바닥이 강조되고, 이 공간으로 들어서는 입구가 명확해진다. 그 이유는 사람이 사는 공간에서는 중심과 함께 입구가 강조되기 때문이다. 공간의 경계(Boundary of Space)는 어떤 공간의 한계를 의미하며 동시에 서로 다른 두 공간이나 영역 사이에 놓이게 된다. 평면상 혹은 공간상의 선과 면은 그것을 기준으로 하며 안과 밖 이쪽과 저쪽 등과 같은 영역의 분리를 유발하게 한다. 건축은 내부와 외부의 작용이며 벽은 안과 밖을 구획하는 경계선으로 작용한다. 1980년대 접어들면서 기존의 정치, 경제, 문화 구조가 해체되면서 그 동안 위계적이고 획일화 된 중심체제하에서 억압된 다양한 주체들과 요소들이 스스로의 다원적인 정체성을 주창하기 시작하였다. 건축에 있어서는 형태를 극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더 이상 형태를 매개로 연결되는 외부 혹은 과거와의 단절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건축적 관습에서는 내부와 외부는 대립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그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기 시작하였다. 현대건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계의 개념은 내부와 외부의 그 사이의 경계 공간이 되고, 현대 건축가들은 이러한 공간의 표현에 집중하게 된다. 건축은 본질적으로 내부를 만들기 위한 시도이기 때문에 현대 건축의 이러한 개념에서 내•외부 공간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현대건축의 내•외부 경계의 특징은 내-외부공간으로의 확장성, 불확정성, 투명성을 들 수 있다. 첫째 경계의 확장성의 특징은 폐쇄적인 공간과 개방적인 공간의 극적인 연출로 나타난다. 폐쇄감을 느끼게 하는 공간에서의 빛의 도입과 개구부는 안과 밖의 영역 설정으로 나타난다. 개방감은 안과 밖의 구별이 다양한 형태의 과정적 공간과 내부 공간이 공존하면서 내부 공간은 외부 공간이라는 또 다른 보호층을 가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간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경계의 불확정적인 특징은 모던 건축이 가진 투시도적인 중심을 깨뜨림을 통해 경계를 흐릿하게 만든다. 또한 면들의 중첩을 통해 내•외부공간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가상의 이미지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긴밀한 얽힘을 이루어낸다. 즉 내-외부 공간의 경계에서는 애매모호한 상태가 나타나게 된다. 셋째 경계의 투명성은 오늘날 공간을 형성하는데 구조보다는 공간을 덮는 피막 개념으로서 클래딩(Cladding)을 통해 표현된다. 건축의 내•외부를 구성하는 건축의 재료와 마감처리에서 물질감이 배제됨으로써 내•외라는 개념을 애매한 상태로 만들고 있다. 이상으로 현대건축은 내•외부공간의 경계가 애매모호해지고 흐려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내부와 외부공간의 애매모호한 경계에서 형성이 되는 입구공간은 전체 건물에서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명확한 건축적 형태를 지녀야 한다. 입구공간이 전체 건물에서 지니는 특성으로 전이성(轉移性), 접근성(接近性), 조형성(造形性), 상징성(象徵性)을 들 수 있다. 첫째 입구는 공적인 세계로서의 외부와 별로 공적이 아닌 내부 세계로의 전환을 이루는 전이공간의 역할을 한다. 둘째 내•외부공간으로 이동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입구이며 그 건물 전체와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내•외부공간의 문턱 역할을 하고 있는 입구는 내부와 외부로의 움직임을 관여하기 때문에 길 찾기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입구공간은 조소적인 형태를 통해서 내부와 외부공간을 분리하고 연결한다. 이러한 조소적인 형태는 조각적으로 보이며, 사람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시각적인 초점을 형성한다. 넷째 건축환경은 사람들에 대하여 잠재된 상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징성은 영역을 구획하는 방식을 통해 나타난다. 전체 건물에서 입구공간은 인식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징적인 표현이 더욱 강조된다. 연구에서 살펴본 네 가지의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 유형은 공간 조직적인 관점에서 공간 안의 공간조직에서 형성되는 입구공간, 서로 다른 공간을 연결해줌으로써 형성되는 입구공간, 서로 다른 공간과 상호 맞물림을 통해 형성되는 입구공간, 건물 전면부에 완충공간으로 형성되는 입구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이 네 가지의 유형은 입구공간이 전체건물에서 가지는 기능인 조형성(造形性), 상징성(象徵性), 전이성(轉移性), 접근성(接近性)으로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현대건축의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 유형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안의 공간 조직에서 형성되는 입구공간은 조각적인 형태를 취함으로써 입구로서의 그 이미지를 강하게 부각하고, 공간의 기능적 차이와 내부 공간의 상징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재료의 투명성과 개방성의 정도, 문의 형태와 스케일에 따라 외부와 내부의 중요한 공간 사이의 전이공간의 역할을 하며 내부공간으로의 위계적인 동선축을 형성한다. 둘째 입구공간은 성격이 다른 두 공간 사이에서 두 공간의 볼륨에 순응한 형태로 형성된다. 입구공간은 서로 다른 두 공간사이를 시각적, 공간적 연속성 등의 변화, 두 공간사이의 표면이나 질감의 대조, 높이의 변화 등에 의해 상호 연관된 두 공간으로 분리하고 연결한다. 셋째 입구공간은 서로 다른 공간과 상호 맞물림을 통해서 형성된다. 서로 다른 공간과 맞물려 있어 입구공간은 보다 역동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각 공간은 입구공간과 부분적인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입구로의 방향성을 지니게 된다. 넷째 입구공간은 가로와 건물 전면부 사이에 완충공간으로 형성된다. 입구공간은 개방성이 클수록 건물 사용자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외부 이용자들은 개방적인 가로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 이 공간의 크기가 클수록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의 상호 관계 속에서 유력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내부와 외부공간의 완전한 분리가 아닌 내부와 외부로 사람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현대건축의 입구공간의 표현은 내•외부공간의 경계가 애매모호해짐에 따라 독립된 실(室)로서 더욱 명확한 건축적 형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체 건물에서 조형성과 상징성이 강조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입구공간이 조형성과 상징성에 의한 다양한 표현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연구자는 입구디자인 표현의 유형을 제안함으로써 디자이너들의 실무에도 유용하게 활용되어 질 수 있는 것에 가치를 두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2. 입구공간의 정의 및 기능 = 3 2.1. 입구공간의 개념 = 3 2.2. 입구공간의 기능 = 5 3. 현대건축의 경계 표현 특성과 입구공간의 관계 = 9 3.1. 경계의 발생 = 9 3.2. 현대건축의 경계의 특성 = 11 3.3. 내외부 경계와 입구공간과의 관계 = 19 3.4. 입구공간과 건물기능과의 관계 = 21 4. 입구공간 디자인의 사례조사를 통한 표현 유형 분석 = 29 4.1. 공간 안의 공간관계에서 형성되는 입구공간 = 30 4.2. 서로 다른 공간을 연결해줌으로써 형성되는 입구공간 = 33 4.3. 서로 다른 공간과 상호 맞물림을 통해 형성되는 입구공간 = 36 4.4. 건물 전면부에 완충공간으로 형성되는 입구공간 = 39 5. 결론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865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현대건축의 입구공간 디자인 표현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doorway design expression type analysis of modern architecture-
dc.creator.othernameJung, Young-Ah-
dc.format.pagex,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