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한이-
dc.creator홍한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5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504-
dc.description.abstract조각보는 우리나라의 섬유예술 분야 중에서도 이름 없는 아낙네들에 의해 이루어진 그 독특한 면 구성과 파격적인 소재사용으로 독특한 하나의 수공예 분야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조각보는 조선시대 말기로부터의 생활 문화의 공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중국으로부터 유입 되어온 값비싼 견 섬유의 의생활 문화가 자리함에 따라, 옷을 만들고 남은 천들을 이용하여 재활용하는 마음으로 한 땀 한 땀 이루어낸 작품들이 남아 전해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몬드리안의 기하학적 추상주의를 중심으로 기하학적인 선과 단순한 색채를 중심으로 작업을 전개시켜 나갔다. 피에트 몬드리안은 금욕적이고 절제된 새로운 조형성의 탐구와 순수한 조형세계를 나타내고, 구체적인 형태재현을 거부하고 보다 원초적이고, 보편적 관계인 수직, 수평의 비대칭적인 관계를 추구했다. 본 연구의 작품전개에 있어서, 소재로는 천연노방과 새틴 노방을 사용하고 색채는 3원색으로 국한시키고 여기에 흑, 백, 회색 의 무채색을 주조 색으로 하고 난색계의 유채색을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다. 선의 구성에 있어서 우연성, 불안감 내지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는 사선은 배제하고, 수직, 수평적인 선들의 반복에 의한 화면 구성을 추구하여 순수 추상의 세계로 표현하였다. 화면의 배색계획은 수직, 수평의 비대칭적 관계에서 출발한 면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제작의 도에 따라, 먼저 주제가 되는 유채색 또는 무채색의 조각 천을 중심으로 하여 무채색을 주조 색으로 한 구성을 하였다. 바느질법 은 전통적으로 명주와 조각보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감침질 법을 사용하여 풀기 있는 노방의 성질을 감안하여 앞면과 뒷면을 겹쳐 흠질 하고 창구멍으로 뒤집는 겹보를 제작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노방이 가지고 있는 바느질 제작 시 발생하는 뒤틀림을 사선적인 면 구성에 의한 표현보다는 기하학적인 추상주의 에 수직. 수평적인 선 구성과 그 맥락을 같이 하여, 정방형들의 비대칭적인 구성을 추구하였다. 작품제작 과정에서 무채색의 조각보의 단색조 침염의 섬유표현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고자 조각천의 장식적이고, 강조와 구성상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노방에 검정색으로 홀치기 염을 하여 얻어낸 물결무늬와 묘염에 의해 얻어낸 마치 도자기의 귀얄문에서 보여 지는 가는 붓 터치의 무늬가 있는 조각 천을 조각보의 중심 에 배치하였다. 조각 천으로 또한 부드러운 여성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연분홍색의 귀얄문의 조각 천으로 배치를 시도하였고, 홀치기 염에 의한 물결무늬의 주홍색 조각 천으로 면 배치를 함으로써 조각보의 조형성을 더욱 높였다. 본 연구는 기하학적 추상주의에서 표현하는 무채색과 수직과 수평의 선 구성을 기본으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염색기법을 도입하여 조각보의 면 구성에 있어서 조형성을 추구한 결과 노방소재에 단색조 침염에 의한 표현방식보다는 절제된 색채와 무늬의 적절한 배치를 통한 조각보의 구성적인 면에서 더욱 여성성을 강조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전통미와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낼 수 있었다.;Bojagi, a kind of patchwork, has been established by nameless women in Korea, but it is a traditional handicraft or a genre of textile art characterized by unique composition of planes and exceptional use of materials. Such Bojagis began to be made during late Chosun dynasty when our apparel life began to be industrialized, while cheap silk fabrics began to be imported from China. Then, women used or recycled the fabric leftovers to produce Bojagis with all their hearts. In this study, a Bojagi was produced by referring to Mondrian's abstract art; geometric lines and simple colors were used primarily. Piet Mondrian pursued new ascetic and controlled forms to express some pure world of forms. He refused reproduction of specific forms and instead, sought for a more primitive and universal asymmetrical relation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For this work, natural yellow and satin yellow were used, while the colors were limited to the three primary ones in addition to the achromatic colors of black, white and gray which were used primarily. Thus, only warm colors were limitedly used. In composition of lines, such oblique lines as may cause a sense of contingency, anxiety or tension were excluded, and instead, the canvas was designed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repeated to express a world of pure abstraction. The color scheme for the canvas was based on a planar composition starting from an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Then,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production, chromatic or achromatic colors were used for the fabric fragments, although achromatic colors were primary ones. On the other hand, 'Gamchimjil' or edge-hemming method which had been used for production of silk patchwork or Bojagi wasapplied for this work.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tarched fabric were folded to be stitched and then, turned over to be adouble patchwork. The twists caused by needlework was used in association wi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 scheme based on the geometric abstraction to design an asymmetrical rectangle rather than compose an oblique plane. In order to avoid a monotone expression of the gradually dyed achromatic Bojagi, decoration was highlighted. In addition, for a harmonious composition, 'Holchigi' or variegation was used for the hems to generate a wave pattern. The wave pattern was combined with 'Myoyeom' to create some delicate brush touches called 'Guiyal pattern' as shown on the surface of a porcelain. The fabric fragment with such a synthetic pattern was deployed in the center of Bojagi.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xpress a soft feminity, light pink Guiyal-patterned fragments were arrangednear the center, while the wave-patterned scarlet fragments produced by the variegation were deployed far from the center. The result was an enhanced form of Bojagi. In this study, a work was produced by using the achromatic colors and vertical/horizontal lines both of which are favored by geometric abstract artists. In addition, dye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create a voluminous work. Instead of the monochrome gradual dyeing, controlled color tones and proper arrangement were used to highlight the feminity of Bojagi in terms of composition and additionally express a traditional aesthetics and a modem beau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1.1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Ⅱ. 기하학적 추상 = 4 2.1 기하학적 추상의 조형적 특성 = 4 2.2 기하학적 추상의 실예 = 14 Ⅲ. 조각보의 관한 고찰 = 28 3.1 조각보의 유래 = 28 3.2 조각보의 양식 = 31 3.3 조각보의 조형성과 기하학적 추상의 관계성 = 38 Ⅳ. 작품제작 및 분석 = 40 1. 작품 제작 의도 = 40 2. 제작과정 = 42 3. 작품 분석 = 44 Ⅴ. 결론 = 70 참고문헌 = 73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679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기하학적 추상-
dc.subject조각보-
dc.subject조형-
dc.title기하학적 추상에 의한 조각보 조형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s of bojagi in view of the geometric abstraction-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