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현주-
dc.creator황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5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5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개인면담의 현황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개인면담의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개인면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중 개인면담을 실시하는 33곳의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으며 개인면담 경험이 있는 교사 116명, 그리고 이 기관의 4·5세 반에 자녀를 보내고 있으며 개인면담 경험이 있는 부모 280명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분석은 질문지의 결과를 각 항목별로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과 부모들은 개인면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와 부모는 개인면담이 필요한 이유를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치원과 가정간의 일관성 있는 교육을 위해 개인면담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개인면담은 연간 2회 실시되는 곳이 많았으며, 학기초와 학기말에 주로 실시되었고, 소요시간은 11분~20분이 많았다. 부모들은 실시되고 있는 면담보다 더 많은 횟수, 다양한 시기, 긴 시간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면담시 교사가 준비하는 물리적 준비물은 책상, 시간표, 유아의 작품 등이었으며, 개인면담을 위한 교실환경에서는 책상배치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면담시 대부분의 교사는 표정, 자세, 목소리, 복장 등의 외적 태도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면담의 안내는 모든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2주전에 가정통신을 활용한 방법이 많이 활용되었고 부모들도 1~2주전에 가정통신을 통해 안내받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다. 개인면담시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유아들을 동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알리고 있었으나, 부모들은 개인면담동안 기관에서 자녀를 돌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부모가 주양육자가 아닌경우 개인면담시 주양육자의 참여에 대해서는 부모와 교사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개인면담을 위해 모든 교사들은 자료를 수집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수집하는 자료는 관찰기록과 유아의 작품으로 나타났다. 개인면담에 필요한 자료의 종류 선정은 주로 다른 교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개인면담을 위해 모은 자료의 정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정리시기는 교사의 개인적 판단에 따라 수시로 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개인면담의 진행시 기관에서 부모에게 자료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모들도 자료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집에 가지고 가는 자료는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부모들은 개인면담 후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개인면담시 부모에게 제시되는 자료의 종류는 유아의 작품모음이나 기록양식에 정리한 것이 많았으며 부모들은 좀 더 다양한 자료의 제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이 원하는 개인면담의 내용은 사회/정서발달, 자녀에게 맞는 교육방법, 표현능력발달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가 교사에게 많이 질문하는 내용으로는 사회성, 학습능력에 대한 것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들은 개인면담시 연령별로 내용의 차이가 있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개인면담 진행시 인사를 나누고 부모를 따뜻하게 맞이하고, 유아의 문 제에 대해 말하기 전에 좋은 점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밀이 보장된다는 것을 알려주어 신뢰감을 형성하는 방법은 많이 활용하지 않고 있었다. 교사들은 개인면담시 부모의 예상치 못한 어려운 질문이나 생각의 차이가 있을 때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개인면담 후 부모들은 대체로 상담한 내용을 참고하여 행동으로 옮기고 있었으며 개인면담의 내용을 가족과 함께 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개인면담 후의 활동으로 스스로를 평가하고 있었으며, 부모와 대화한 면담의 내용을 문서로 남기거나 비공식적으로 교사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면담의 추후활동에서는 다른 업무 때문에 면담결과를 상세히 검토, 반영할 수 없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면담을 위한 원내장학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교사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한 교사교육 내용으로는 개인면담시 부모와의 효과적인 대화방법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들은 개인면담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만족하는 이유는 교사가 자녀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잘 알려 주어서, 교사가 자녀를 잘 파악하고 있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들이 개인면담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자녀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잘 알려 주지 않아서, 유아의 발달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아서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들은 개인면담 준비와 관련된 업무량의 증가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개인면담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능력부족과 개인면담에 대한 교사교육 부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개선점에서는 개인면담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능력과 개인면담 준비와 관련된 업무량 증가에 대한 개선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면담에 대한 교사교육도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ersonal interview and the teachers' and parents' demands in the kindergarten.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atus quo of the personal interview in the kindergarten? 2. What are the teachers' and parents' demands for the personal interview in the kindergart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16 teachers in 33 publicㆍprivate kindergartens who have experience in personal interviewing and 280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the fourth and fifth year classes of the kindergartens and who have experience in the personal interviewing proces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For research data,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d parents highly recognized the same need for the personal interview. Especially, they recognized it for consistent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at home. Second, the number of personal interviews were twice per year. They were conducted mostly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term, and the required time was usually 11∼20 minutes. Parents requested more frequency, more opportunity, and longer time than those of the current personal interviews. Third, physical materials prepared for personal interviews by the teachers included children's desks, timetables and work. They mostly considered desk layout in class settings for the personal interview. Most of the teachers took external factors into account such as expressions, postures, voices and dress in the personal interview. The personal interview was mostly announced through home notification 2 weeks before the interview data and the parents mostly preferred home notification 1∼2 weeks before the date. Parents were notified beforehand that they should not accompany their children to the personal interview. The parents thought that the kindergartens shoul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during personal interview. If the parents are not the main child supporters, both the parents and teachers regarded the participation of the main supporters as necessary in the personal interview. Most of the teachers collected data for the personal interview, and observation recordings and children's works were collected. The data was selected after consultation with the teacher's colleagues. The data was mostly collected randomly at the teachers' discretion. Fourth, during the personal interview the data was presented to the parents, who requested the need for it. After the personal interview the data was not offered to the parents, but they requested the need for it. The data was usually presented in the form of collection of children's works or in a recording format. The parents demanded presentation of diverse data from the teachers through verbal explanation or presentation of the test results from such data. The parents requested concern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how to instruct their children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as the desired contents of personal interview. They frequently asked for the teacher's social skills and learning development. The parents expected there to be a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personal interview by ages. The teachers greeted the parents and told them their children's merits before telling of their weaknesses in the personal interview, but ensured the parents reliability of the interview by convinced them of the secrecy of the information obtained. The teachers took unexpected difficult questions from the parents or differences between the parents' and their thoughts too seriously in the personal interview. After the personal interview, in general, the parents reflected on the interview results or talked with their family. The teachers evaluated themselves through activities after the personal interview, and recorde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ith the parents in a document or exchanged information with fellow teachers unofficially. However, their biggest problem was that they could not examine and reflect in detail the interview results due to other miscellaneous duties. Thus implying that the interview results were not utilized in a systematic way. Fifth, encouragement for the personal interview was not positively made in the institutes and teacher training was hardly ever carried out. The content of instruction most needed by the teachers was how to effectively talk with parents in the personal interview. Finally, on the whole the parents were satisfied with personal interview because the teachers explained to them their concern for their children and understood their children well. On the other hand, one reason why the parents were not totally satisfied with the personal interview was that the teachers .did not explain enough of their them their concern for their children and they did not understand enough of their children's development. The teachers regarded the increase in work load related with the personal interview as the largest problem for them and recognized the lack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of teachers' instruction in how to carry out the personal interview, also as problems. In terms of improvement, they deemed the improvement in their professionalism for the personal interview as necessary and the help from the institution as a consequence of the increase in work load to be most pressing needs. Secondl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teachers' instruction on how to carry out the personal interview as necess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부모면담 = 4 B. 개인면담 = 6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연구도구 = 22 C. 연구절차 = 25 D. 자료분석 = 2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7 A. 개인면담의 필요성 = 27 B. 개인면담의 계획 = 29 C. 개인면담의 준비 = 32 D. 개인면담의 진행 = 39 E. 개인면담을 위한 교사교육 = 47 F. 개인면담의 만족도 및 개선방안 = 49 Ⅴ. 논의 및 결론 = 53 A. 논의 = 53 B. 결론 및 제언 = 61 참고문헌 = 65 부록 = 71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140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개인면담-
dc.subject요구-
dc.title유치원 개인면담의 현황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rsonal interview : teachers' and parents' demand in the kindergarten-
dc.format.pagex,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