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무용지도자의 교수행동 및 교수가치관 분석연구

Title
무용지도자의 교수행동 및 교수가치관 분석연구
Other Titles
Analyze Teaching Behavior of Dance Instructor and Value of the Professor
Authors
한충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무용지도자교수행동교수가치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eaching behavior of dance instructor and value of the professor. To effectively achieve above goal, I chose to observe 10 selected dance instructor from private dance institute for ju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 from 8 to 10. From those instructors, I narrowed down to 5 final candidates for interview.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calculation. Interview was inductively categorized and analyzed. Firstly, of time allocation of class, the instructors time allocation on individual was 41.74% compare to overall class time allocation was 58.26%. Instructors behavior time allocation was as follows; observation 19.14%, operation 14.36%, instruction 11.77%, positively showing demo 8.83%, correction/positive feedback 6.97%. Secondly, personal background and class environment of final 5 instructor varied upon their age, experience, etc. Majority of them agreed the hardship of running class are insufficient infrastructure, excessive work load after class, inappropriate allocation of layout for studio, etc. Also most of them did not take continuing education or attend seminars. Thirdly, dance instructor's professional value mind was categorized into learner, leader, instructor. As learner minded instructor, their ideal student was whom gives best effort no matter their technical background. For these instructors, their purpose of dancing was to develop body, figure reform, improve artistic sense and express feeling. As for their believe in teaching, main emphasis was on having fun and enjoying it while learning positive side about ballet. Reforming figure of student, learning and improving social skill, creativity, rhythm through production and overall positivity was main goal for leader minded instructors. Ideally, they teach technical knowledge as well as principal and value of movement and show great interest in student's development. Instructor minded instructor operate her class within age oriented class with emphasis on expressing feeling, mime. Sharing ideas and new suggestion was very acceptable within these classes. Student learn to express beauty through their body and for them it was a very joyful express hence these student adopted these class experience into real life. Lastly, professor's behavior can be defined as follows based on their view. 'A Leader' type can be defined as someone whom is based on authoritarianism. she will run class in a lecture style rather than showing demos and interacting with students. They w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students as giving and taking. These classes are usually very strict and the leader would normally instruct verbally and gave lots of negative feedback on what students did. Also delay of classes due to excess workload out side the class was very common. This pattern was evident what their time allocation was as follows; operation 21.61%, unattended class 13.9%, giving instruction 14.41, lecture 11.68%. 'B leader' type was more encouraging compare to above, where instructor would lead students to enjoy the class with frequent free discussion. she would correct movement or techniques in friendly manner. These leader would use rich humors to encourage students rather than reproach their mistakes. Time allocation for these instructor were as follows: negative demos 16.12%, observation 16%, discussion PO 82%, positive feedback 9.68%. 'C leader' was very devoted to students. They tend to give lot of work to improve effectiveness of class. They observe students very closely after showing demo and giving detailed explanation. For these instructors, ideal way to run class is rather than asking students to repeat demo, they emphasized on understanding principal and value. 32.11% of time was spend on observation, 11.37% on lecture and positive feedback and positive demo was 10.68% and 10.25% respectively. 'D leader' was non-interventive and very much focused on overall class environment. For these instructors, role of the instructor was to provide suitable environment to the class such as smooth progress of the class. Feedback was only given not to interrupt class hence instructor avoided giving proactive feedback to students. For these instructors time allocation was as follows: lecture behavior 23.37%, observation 23.33%, lecture 31.3% and positive/negative feedback 12.47%. Lastly, 'E leader' would praise students on wrong doing rather than giving students scolding on their mistakes. These proactive praise very personal to students and instructor gave appropriate explanation and reason to control students. Ultimate goal of the class for these instructor was to build positive mind though ballet. she would prepare class to develop figure of the students. 21.62% of class time was spend on observation, 15.54% on general/positive feedback, 15.1% on Lecture and 13.41% on positive demos. To conclude, effectiveness in teaching is only feasible when instructor understand and accept difference in students skill, ability and eve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difference. As instructor will determine the way to operate class with students, it will be their job to first understand each students and instructor play vital role to succeed in mutually gaining hence choosing ideal way to run class.;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지도자의 교수행동 및 교수가치관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사설무용학원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취미반을 대상으로 발레를 지도하고 있는 무용지도자 10명을 선정하여 교수행동을 관찰하였고, 그 중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5명을 선정하여 교수가치관 연구를 위한 피험 지도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표준편차 및 백분율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면담내용은 귀납적 범주분석을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정리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수업행동 중 지도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은 개인과 41.74%, 학습자 전체와 58.26%로서 주로 학습자 전체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수행동은 탐지 19.14%, 운영 14.36%, 강의 11.77%, 긍정적 시범 8.83%, 교정적/긍정적 피드백 6.97%순으로 탐지와 운영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지도자의 개인적 배경 및 수업환경을 살펴보면, 5명의 무용지도자들은 연령, 경력, 수업여건 등이 다양하였으며, 본인의 의지 및 선생님의 권유로 무용을 시작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용지도자들은 수업여건 중 부족한 시설, 수업 외적인 잔무 및 과중한 업무, 시설배치의 부 적절성 등을 수업여건의 개선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지도자가 현직교육 및 세미나는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지도자의 교수가치관을 학습자관, 지도자관, 수업관으로 분류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관'의 경우 무용테크닉이 뛰어나지 않아도 꾸준히 노력하는 학생, 타인을 배려하며 성실히 수업에 임하는 학생을 가장 이상적인 학생상으로 인식하고있었으며, 무용참여목적은 신체발달, 체형교정, 미적인 감각의 향상, 감정표현 능력 향상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도 신념으로는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하는 지도 및 발레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유발시켜 주는데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관'의 경우, 학습자의 체형을 교정해 주고, 작품을 통한 사회성, 창작성, 리듬감을 향상시켜주며, 전반적인 긍정적 발달에 도움을 주는 조력자로 지도자의 역할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적인 지도자 상으로는 인격적으로 올바르고, 전문적 지식과 함께 동작의 원리와 가치를 일깨워주고, 아이의 배경, 성격,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져주는 지도자를 이상적인 지도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관'의 경우 기본에서 벗어나지 않은 단계별 교육 및 시기에 맞는 연령별 교육과 감정표현의 마임교육, 공감대가 형성되는 따뜻한 분위기의 수업을 이상적인 수업방법 및 분위기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도 내용에 대하여 자신이 신체를 통해 표현되는 미, 몸으로 할 수 있는 아주 즐거운 경험, 예술로서의 무용뿐 아니라 생활무용의 전환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수가치관에 따른 교수행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지도자'는 권위주의적인 교수유형으로 동작의 테크닉과 정확성을 중요시하며, 시범보다는 설명위주의 강의식 수업이 많고, 지시, 재촉과 같은 명령조의 언어를 많이 사용한다. 학습자와의 관계를 일방적인 수직관계로 인식하며, 발문보다는 주입식 설명, 체벌, 수업에 대한 엄격한 통제, 부정적 피드백 제공 등 학습자를 고려하기보다는 지도자의 주관대로 수업을 이끌어나가고 있었다. 또한 과중한 업무로 수업의 지연 및 운영, 무관행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지도자의 교수행동은 운영 21.61%, 무관행동 13.9%, 지시 14.41%, 강의 11.68%로 나타났으며, 기타행동으로 체벌 1.9%가 나타났다. 'B지도자'는 격려형으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격려와 웃음으로 학습자가 편안하게 수업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내며, 수업 전반의 모든 사항을 발문과 격려를 통하여 진행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제시한 동작을 학습자가 수행하지 못할 때는 좌절하지 않도록 빨리 수정해주며, 아이들의 잘못을 크게 확대, 비난하기보다는 웃음과 유머로 동작을 흉내내어 수정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B지도자의 교수행동은 부정적 시범 16.12%, 탐지 16%, 발문 10.82%, 교정적/긍정적 피드백 9.68%로 나타났다. 'C지도자'는 충실형으로 수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과제를 많이 제시하며, 동작의 자세한 설명과 시범을 보인 후 학습자를 탐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도방법에 있어서 꼼꼼하고 체계적인 틀을 가지고 있으며, 동작을 무조건적으로 따라 하기보다는 원리와 가치를 일깨워주는 선생님을 가장 이상적인 지도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C지도자의 교수행동은 탐지 32.11%, 강의 11.37%, 교정적/긍정적 피드백 10.69%, 긍정즉 시범 10.25%로 나타났다. 'D지도자'는 방임형으로 수업의 전체적인 흐름에 주력하며, 지도자보다 학습자가 더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여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 지도자로서의 역할은 수업의 원활한 진행, 자리 정렬, 음악 교체 등 소극적인 자세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자를 통제하기보다는 오히려 방치해두는 스타일로써 이것을 수업의 하나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피드백보다는 수업의 맥이 끊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D지도자에게 나타나는 교수행동은 운영 23.37%, 탐지 23.33%, 강의 31.3%, 교정적/긍정적 피드백 12.47%로 나타났다. 'E지도자'는 칭찬형으로 동작의 교정보다는 즐거움과 흥미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기에 비난과 야단보다는 적극적인 칭찬으로 개인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다. 학생을 통제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무조건적인 비난과 야단보다는 타당한 이유와 설명으로 학습자를 통제하며, 수업의 최종목표를 발레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길러주는 데에 두고 있었다. 60분의 수업시간을 학습자의 신체적 리듬을 고려하여 계획하며, 학습자의 신체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E지도자에게 나타나는 교수행동은 탐지 21.62%, 일반적/긍정적 피드백 15.54%, 강의 15.1%, 긍정적 시범 13.41%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무용의 효율적인 교수를 위하여 지도자들은 가르치는 학습자의 특성, 가르치고 있는 지도내용, 가르치는 곳의 여러 가지 환경적 특성을 정확하고 자세히 이해해야 하며, 다양한 교수유형 중 수업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교수유형을 선택, 결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가치관은 교수행동과 상호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무용을 통한 즐거움'을 수업의 목표로 인식하였다면, 지도자의 역할은 무용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으로 기술적인 면보다는 정의적 영역의 긍정적인 사고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습자와의 관계를 수직적 관계로 인식하고 있는 지도자에게서는 체벌 및 지시와 같은 행동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수행동은 지도자가 인식하고 있는 교수가치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