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학님-
dc.creator김학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5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9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572-
dc.description.abstractWe are encoutering the new chapter of global shift to the post Cold War, following the latest collapse of communism while new domestic situation has come with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the summit con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ho are the core leading generation in the unified Korea of the future with 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fulfill our nations long-cherished unification. Therefore, under this global situational shift regarding the unification, new policies for school education on the unification are required for student education. Naturally, teacher understanding on this issue, the unification and how to education the unific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building student's view of the unification in a desirable and reasonable way. Therefore,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eachers comprehensive view on the unification.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is paper clarified difference of view point of each teacher and grasped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nd its problems in hands. Theoretical studies were implemented first on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issues such as concepts, purposes, change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Gyeonggi province to examine views and attitud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unification education. First of all, the research camp up with the critical outcome that teachers had a great interest in the unification and strong willingness to develop students individual idea on the unification, based on comprehensive the understanding of the unification. Furthermore, teachers preferred that the unification on Korean peninsular should be achieved gradually and step by step, rather than radically, and had a positive outlook that the unification would bring on improvement on the overall nation as well as individual life once the nation is unified. The research also tole that teachers had stronger willingness to bear unification cost than, the general public; ie. it was evidenced that teachers had realistic and reasonable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the unification. Secondly, in the question of thei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nd its civilians, teachers have negative views about North Korean leaders and the communistic system whereas being positive about the civilians of North Korea. They have especially a highly tolerant attitude toward North Koreans, in the question of whether accepting North Korean after the unification. Thirdly,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unification education, teachers understood that students had little interest in unification lessons, due to their indifference to the issue of the unification itself. Teachers thought that schools treated unification education just as formality when it is actually operated and ascribed this problem to schools university entrance preparation oriented policies. In addition, they pointed out the lack of information and no exist of any general and nationally accepted direction in unification education. Fourthly, on ques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how to improve unification education, they emphasized on increasing classes on unification lessons, and further they focused the lesson should be achieved with diverse outdoor discretional activities. Teachers considered it important to recognize the need for the unification and raise students consciousness of homogeneity of the nation. They also stressed that audio-visual media and hands-on studies are well prepared for enhancing outcomes of the unification class. The research revealed that teachers interest in the unification had been increased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is issue had positively changed in lin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unification. Therefore, proper direc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re-set out so that this positive change could help students build views of the unification in desirable ways. Now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fulfill the peaceful aspect of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at students building proper views and attitudes which will lead to high quality individual lives in the unified country.;공산권의 붕괴와 탈냉전이라고 하는 국제적 환경의 변화, 그리고 남북정상회 담을 통한 남복화해협력 시대 도래에 따라, 남북한이 민족의 숙원인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앞으로 통일세대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 대한 통일교육이 중요하며 따라서 변화된 통일 환경에 맞는 학교통일교육의 재정립이 요청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의 바람직하고 합리적인 통일의식 형성에 있어서 교사들의 통일 및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의 통일 의식을 조사·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교사들의 통일 문제 및 통일 교육에 대한 견해차를 밝히고 현재 학교 통일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서 통일교육의 개념과 목표,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통일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통일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조사를 위해 경기도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교사의 통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통일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통일 실현의지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들은 급진적인 통일보다는 점진적·단계적 통일을 바라고 있었으며, 통일 이후에 국가 및 개인의 삶이 현재 보다 개선될 것이라는 긍정적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통일 이후에 발생하게 되는 통일비용에 대한 부담 의지도 일반 국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통일문제와 관련하여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북한 및 북한 주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북한의 지도층과 공산주의체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 북한의 일반주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통일 이후 북한 주민에 대한 수용태도에서 매우 높은 수용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통일교육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학생들이 통일관련 수업에 관심이 없으며, 그 이유는 통일문제 자체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 통일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해서도 매우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 이유를 입시위주의 교육에 두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통일교육의 문제점으로 통일교육과 관련된 정보와 자료 부족과 통일교육의 합의된 방향 부재를 지적하였다. 넷째, 교사의 통일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통일교육을 위한 수업 시수 확보와 재량활동을 통한 통일교육 활성화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통일교육에서 강조할 점으로 통일의 필요성 인식, 동족의식 고취를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있었으며, 통일교육을 위한 효과적 수업방법으로 시청각매체를 활용한 교육과 체험학습을 통한 통일교육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통일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교사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통일문제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가 곧 학생들의 바람직한 통일관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통일교육의 방향이 설정되고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통일 교육은 학생들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남북한이 서로 합의하고 화해하여 실현할 수 있는 평화적인 측면을 강조해야 하며, 통일된 국가에서 행복한 삶을 이룩하는데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를 길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4 C.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 7 Ⅱ. 통일교육의 이론적 배경 = 8 A. 통일교육의 개념과 목표 = 8 1. 통일교육의 개념 = 8 2. 통일교육의 목표 = 12 B.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 15 1. 반공교육 시기 (1948∼1987) = 16 2. 통일·안보교육 시기 (1987∼1992) = 21 3. 통일교육 시기 (1992∼ ) = 22 C. 통일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 24 Ⅲ. 통일에 대한 중·고교 교사의 인식 및 태도 분석 = 28 A.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28 B. 교사의 통일에 대한 인식 = 30 1. 통일 문제에 대한 관심 = 30 2. 통일에 대한 의지 = 32 3. 통일의 예상 시기에 대한 인식 = 34 4. 통일의 주도 세력에 대한 인식 = 36 5. 통일 후 국가 및 개인 삶의 변화에 대한 인식 = 38 6. 통일 이후 문제점에 대한 인식 = 41 7. 통일 비용 부담에 대한 태도 = 43 8.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태도 = 44 9. 정부의 대북 정책이 이룬 성과 = 48 C. 교사의 북한 및 북한 주민에 대한 인식 = 51 1. 북한 사회 및 주민에 대한 태도 = 51 2. 통일 및 북한에 관한 정보 습득 경로 = 58 3. 통일 후 북한 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 기간 = 59 4. 통일 후 북한 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의 어려움 = 59 5. 통일 후 북한 주민에 대한 수용 태도 = 60 6. 탈북자 관련 정부 정책에 대한 태도 = 62 Ⅳ. 통일교육에 대한 중·고교 교사의 인식 및 태도 분석 = 64 A. 교사의 학교 통일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인식 = 64 1. 수업시간 통일문제에 대한 언급 정도 = 64 2. 통일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정도 = 65 3. 학생들이 통일교육에 무관심한 이유 = 66 4. 학교 통일 교육 운영의 실태 = 68 5. 학교 통일 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유 = 69 6. 학생의 통일의식 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 70 7. 학교 통일교육의 효과에 대한 인식 = 71 8. 현행 학교 통일교육의 문제점 = 73 B. 교사의 학교 통일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 75 1. 통일교육 배정시간 축소에 대한 태도 = 75 2. 도덕·윤리과의 통일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 = 77 3. 재량활동을 통한 통일교육 효과 = 79 4. 학교 통일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중점 방향 = 80 5. 학교 통일교육 내용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 = 84 6. 교과 수업에서 효과적인 통일교육 방법 = 85 7. 과외활동에서 효과적인 통일교육 방법 = 88 Ⅴ. 결론 = 90 참고문헌 = 96 설문지 = 100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876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사-
dc.subject통일관-
dc.subject통일교육-
dc.title교사의 통일관 및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경기 지역 중, 고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eachers' Attitude toward Unification Education-
dc.format.pagev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