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발화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 수정이 성인 영어 학습자의 중간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Title
발화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 수정이 성인 영어 학습자의 중간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elf-Cor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Interlanguage of Adult EFL Learners
Authors
이재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발화자기 수정성인 영어 학습자중간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국제화, 세계화 시대 속에서 중추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영어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과 같은 환경 (EFL 학습 환경)에서는 목표어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 이유로는 수업시간에 말하기 영역이 제대로 수행되어 있지 않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가지 언어 기능 중 말하기 기능은 실제 목표어를 사용해야 할 필요성과 기회가 거의 없는 것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말하기 기능은 상대방과의 상호 작용이라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실시간(real time)에 언어를 처리해야 하는 시간 제약이 있다. 제한된 시간 안에 제 2 언어 학습자는 상대방의 전달 내용을 이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전달 내용을 산출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효과적인 말하기 능력 향상 방안의 일부로써 중간어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 수정이 말하기 능력과 중간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자기 수정을 통해 목표어와 중간어의 차이에 주목하는 것이 성인 영어 학습자의 중간어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총 24차시의 말하기 수업에 대한 자기 수정을 수행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말하기 사전 인터뷰와 사후 인터뷰 평가, 자가 수정 내용, 설문지 분석과 중요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자기 수정은 학습자들의 중간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수정 후 학습자의 중간어가 정확도, 유창도 및 복잡도의 측면에서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 수정 후 복잡도는 학습자의 발화 특징이나 발화 상황 등에 영향을 가장 받지 않고 대대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자기 수정이 학습자로 하여금 중간어와 목표어의 차이에 주목하게 하면서 목표어 구문을 내재화시키는 것을 촉진시킴으로써 보다 더 복잡한 구문을 처리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습자들의 자기 수정 유형의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이 부족한 영역이나 자신이 선호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형태와 의미에 모두에 주의를 기울여 수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명의 학습자들은 영어의 형태, 의미, 음에 모두 골고루 주의를 기울였으며, 특히 자신 스스로가 취약하다고 느끼는 부분과 자신이 즐겨하는 학습 유형과 관련된 유형에 대해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는 점이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기 수정 활동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중간어 발달 수준이나 영어학습 선호 방법과 맞는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자율적인 학습 개별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지속적인 자기 수정 훈련은 영어 말하기 학습 전략 중 인지 전략 사용을 다른 전략 사용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시켰다. 그리고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도 자기 수정은 영어학습 및 태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수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오류나 말하기 수준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만듦으로써 목표어 자체를 조작하는 것과 관련된 인지 전략과 현재의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가 수정 자체에 대하여 활동 초기 단계에서는 부정저인 반응과 긍정적인 반응이 상존하였으나, 활동이 점차 진행되면서 점차 긍정적인 반응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자기 수정을 통해 자신의 영어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수정 활동이 학습자의 전략 사용 및 정의적 측면 변화에 유용한 학습 활동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영어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수정이 성인 영어 학습자들의 중간어 발달 그리고 영어학습 및 전략 사용에 대하며 효과적임을 시사해 주므로, 성인 영어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둘째, 학습자가 교사의 피드백이나 도움 없이 문법적으로 옳고 원어민 화자가 사용하는 목표어에 가깝게 수정할 있는 방법을 학습자에게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는 자기 수정이 제 2 언어 처리 과정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연구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학습자의 성찰(reflection) 등의 방법으로 보충된 자기 수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소수의 학습자를 실험 대상으로 한 연구였기 때문에 양적 연구를 통한 일반화가 필요하다.;The importance of English as pivotal language of communication is significantly increasing. But, in the context of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with few immediate opportunities to use the English real communication, adult EFL learners have a lot of difficulty in acquiring the communicative ability, especially in speaking. Therefore, the interlanguage of an adult EFL learner tends to 'fossiliz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correction as a way to prevent th 'fossilization' of the learner language in speech. Self-correction can help the learner to notice the gap of the target language and the interlanguage. The subjects, five E Woman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about four months.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transcribing and correcting their own speech after the speaking class.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showed improvements in their interlanguage in the three aspects which are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Especially,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s which the participants produced in the speech is the most outstanding achieve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self-correction helps the participants to consolidate their English structures to be willing to take risks in making more complicated English . Second, the subjects noticed the meaning as well as the form of language during the self-correction activity. The frequencies with which the participants noticed the special area seems to be related to the leaners' weakness in speech or the learning preferences. Third, the participants' attitudes in general, use of strategy, and reactions of self-correction activity were fairly positive. In conclusion, self-correction activity should be incorporated into English learning as an autonomous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h on the self-correction activity needs to be conducted to reveal the generalization of the effects. And participants' reflection on self-correction should be supplemented to examine influences on the speech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