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자기점검법의 활용이 시작장애 유아의 미술활동 수행과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점검법의 활용이 시작장애 유아의 미술활동 수행과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using self-monitoring on improving on-yask behavior and decreasing of disturbance behavior with visually impairment young children at art class
Authors
김은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Keywords
자기점검법시작장애미술활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시각장애 유아는 지적인 능력이 일반적인 수준에서 지체를 보이지 않아도 무의식적으로 몸을 흔들거나 책상을 두드리는 등의 유치부 활동에 방해가 되는 부정적인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행동들은 교사의 지시나 지도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행동이 중지되기는 하나 유지 시간이 짧고 다시 반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대상유아들은 이러한 부적절한 행동을 통해 자신의 과제 수행과 동료 유아들의 수업 활동에 방해를 미치게 됨은 물론 수업활동 중에 필요한 주의집중 행동 및 과제 수행 행동의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을 조기에 적절하게 교정해 주지 않으면 부적절한 행동 양식을 습관화하게 되어 시각장애 유아들의 원만한 학교생활 태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통합을 방해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장애 유아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은 그들이 스스로 외부의 통제에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행동을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점검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부 활동 중에 여러 형태의 방해 행동을 보이는 시각장애 유아들을 대상으로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방해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과제 수행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울러 자기점검법의 중재 결과로 변화된 행동이 유지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미술 활동 시간 중에 자신의 과제 수행을 방해하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 세 명의 시각장애 유아들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자기 점검법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유아는 전맹, 또는 저시력을 가진 시각장애 유아 중 인지적인 결함은 거의 보이지 않으나 부적절한 행동양식을 보이고 미술활동 중 방해행동을 빈번하게 나타내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유부의 3명의 시각장애 유아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자기점검법 중재는 유아들이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소 근육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자기 점검법의 절차에는 대상 유아가 자신의 행동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시각장애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기록과 자기그래프 작성 방법을 특별하게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유아 모두 자기 점검법을 통하여 미술활동 시간에 보이던 방해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대상 유아 모두 자기 점검법을 통하여 과제수행행동이 향상되었다 셋째, 유지검사에서 대상 유아 모두 중재시의 행동변화가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종합하여 볼 때 자기 점검법의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고 수업 중에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시각장애 유아들의 방해 행동을 감소시키고 과제수행행동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효과적이며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f attention and disturbance behavior and on-task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ly impairment In this study, there young children with visually impairment were selected from kindergarden of special school, who had inattention and external control problem.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ir percentage of on-task behavior were increased, and percentage of disturbance behavior were decreased.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arget young children were trained to use self-monitoring techniques. Follow-up observation was implemented 4 weeks after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 1. Self-monitoring decreased the young children disturbance behavior during art class 2. Self-monitoring of atten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on-task behavior during art class 3. Increased level of on-task behavior and decreased level of disturbance behavior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can learn self-monitoring techniques and treat self-monitoring alone can be successfully used a powerful intervention technique on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to manage on-task behavior and disturbance behavior in preschool settings It is relatively simple to implement, quickly reaches the point at which it requires little supervision time and can be effective in helping children become more successful and independent in their classroom and in everyday life. And self-monitoring is promising research dire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attention across a variety of tasks, behaviors children and environ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